역사의 기록/비판.정려각.마애비

영산 만년교 靈山 萬年橋

천부인권 2023. 8. 4. 05:46

2023.7.31.창녕군 영산만년교

『영산만년교 靈山萬年橋』는 창녕군 영산면 동리 274에 위치하며 보물로 지정된 조선시대의 홍교虹橋(무지개다리)이다. 길이는 13.5m, 너비 3m이고 개울 양쪽의 자연 암반을 주춧돌로 삼아 홍예虹蜺라는 반원형 모양의 구조를 이룬 다리이다. 우리나라는 석빙고나 다리를 건설하는 기술로 이 공법을 이용했다. 
『영산만년교 靈山萬年橋』는 정조 4년(1780)에 석공 백진기白進己가 가설했고 고종 29년(1892) 4월에 현감 신관조申觀朝가 석수 김내경金內敬을 시켜 다시 중수했다. 
『영산만년교 靈山萬年橋』 서쪽 입구 홍살문紅箭門 아래에는 「만년교비萬年橋碑」가 있고 우측에는 「남천석교서南川石橋序 병명비幷銘碑」가 있다. 아래에는 이 비들의 원문과 내용을 옮겨 두고자 한다.

 

2023.7.31.창녕군 영산만년교

영산 만년교(보물 제 564호)

 

2023.7.31.창녕군 영산만년교 비와 안내판
2023.7.31.창녕군 영산만년교비

石橋重建記 [原文]
上之二十九年壬辰四月 吾友靈山申觀朝甫馳書諗余曰 邑治之東 舊有石橋其建在 國初癸酉其圯在丁丑大浸世 傳邑之地軸虛疎鑿硯池築是橋 以蒲之以橋之興廢卜邑之腴瘠云 此雖近於形家禍福之說然蓋裁 成輔相之道用不無其理 而深厲淺揭之勞 亦不宜不念 故不歛於民收議 於吏辦金數千圖所以復 舊此靈在管下是役也 公不可無一言 以相之昔鄭子產爲政 於鄭以乘輿濟人孟子曰 惠而不知爲政諸葛武侯嘗言治世 以大德不以小惠其治屬也 橋梁道路無不善理君子 韙之然則公之是役也 可謂知其爲政 而亦豈不惠云乎哉 浮屠氏曰 修橋梁居八幅田之一蓋佛 以慈悶利爲心於靈之民公其活佛也 歟雖然以公之文學才德困 於下邑如枳棘之棲鳳牛刀之割鷄何有 於一橋梁不足爲頌而推而展布 則漏船生靈其歸普濟有日矣 吾於公不能無厚望焉橋之長八間廣居四分之一 而其名萬年橋云爾

 

2023.7.31.창녕군 영산 남천석교비문

南川石橋序 幷銘碑 [原文]
輿樑所以爲萬民利涉而往也 亦王政之一事 則秦之河橋 晋之浮橋 是已今邑之南有溪抱村 而流爲邑基之水口 而其上 詔使貢獻之經過 是以橋木而橋者奧自古矣 而水溢橋圯每有病涉之患矣 一日邑之民相與謀曰 圖久存壓流走莫如伐石 而橋邑居金允寬承侯命鳩財 於民斵他山之石 而築斯橋數月 而功告訖自是民無未濟之憂邑 有壓鎮之理 而石不老於千秋矣 請余文歸書諸石余 以不文獲已遂爲銘曰 橋何以石 圖久適石 何以釿象以虹 不可轉也知其功
大施主幼學南朋溟 
金陽居嘉善宣漢平
業武權以善 
戶長李百新 
吏房張智城 
都監折衝金泰俊
業武金必淳 
業武金允寬
嘉善金大俊
冶匠趙福才 
石手白進己
​乾隆四十五年庚子三月日

남천석교비문 [해석]
수레와 교량은 온 백성이 교통하기에 편리한 것이었던 만큼 과거에도 또한 왕정王政에 있어서 하나의 일이었다. 따라서 진秦나라의 하교河橋나 진晋나라의 부교浮橋가 또한 그런 것이었다. 지금 읍邑의 남쪽에 있는 계곡은 촌락을 안고 흘러서 읍터의 수문이 되고 있으며 큰 길이 그 위에 자리 잡고 있다. 이 길은 사신使臣들이 공물貢物을 바치러 지나는 터라 이런 까닭으로 나무를 엮어 다리를 만든 것이 아주 오래 전부터 였다. 그러나 물이 넘치면 나무다리가 무너져 늘 건너기 어려운 병폐가 있었다. 하루는 읍민들이 서로가 의논하기를 “다리가 오래 견딜 수 있는 계책으로는 돌로 다리를 만드는 것 보다 더 낳은 것이 없다.”고 하였다.
고을에 사는 김윤관金允寬이 현감縣監의 명을 받들어 백성들로부터 재물을 모으고 먼 산의 돌을 깎아서 이 다리를 쌓았는데, 몇 개월 만에 그 일이 비로소 일이 끝났다. 이로부터 백성들로서는 물을 건너지 못하는 걱정이 없어졌우며 읍에는 물을 진압할 방법이 있게 되었으며, 이는 돌이 천년을 지나도록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에게 돌에 새길 글을 부탁하니 나는 문사가 부족하나 사양치 못하고 마침내 명銘을 지었으니 가로되  

 

橋何以石 다리를 어찌하여 돌로 만들었는가? 
圖久適石 오래도록 보존할 방법으로는 돌이 알맞기 때문이지. 
何以釿象以虹 무엇 때문에 무지개 모양으로 깎았는가? 
不可轉也知其功 옮길 수 없게 하려는 것이니, 그 공을 알 것이다.

대시주大施主 유학幼學 남붕명南朋溟 
금양현金陽縣에 사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선한평宣漢平
업무業武 권이선權以善 
호장戶長 이백신李百新 
이방吏房 장지성張智城 
도감都監 절충折衝 김태준金泰俊
업무 김필순金必淳 업무 김윤관金允寬
가선 김대준金大俊
야장冶匠 조복재趙福才 
석수石手 백진기白進己
​건륭乾隆 45년 경자년(정조 4, 1780년) 3월 어느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