創始
衣服 黃帝臣胡曺爲之 古世絢髮潤首蔽皮衣薪
의복衣服 황제의 신하 호조胡曺가 만들었다. 옛날에는 머리카락을 묶어 머리를 장식했고, 잡초로 옷을 만들어 몸을 가렸다.
屋廬 古世穴居野處 有巢敎架橧 古皇氏始敎廬扉
옥려屋廬 옛날에는 동굴과 들판에서 살았다. 유소有巢씨가 나무 위에 집 만드는 것을 가르쳤고 고황씨古皇氏가 비로소 문이 달린 오두막 짓는 법을 가르쳤다.
宮室 黃帝作 瓦室桀始爲之 夏桀以前宮室皆茅
궁실宮室 황제가 만들었다. 기와집은 걸桀 임금이 처음 만들었다. 하나라 걸桀 임금 이전의 궁실은 모두 띠로 이은 집이었다.
耕耘 神農氏斵木爲耜 楺木爲耒 始敎種谷
경운耕耘 신농씨神農氏가 나무를 깎아 보습(쟁기날)을 만들고, 나무를 휘어서 쟁기를 만들었으며, 씨를 뿌리는 것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蠶桑 黃帝正妃西陵氏始敎
잠상蠶桑 황제의 정부인인 서능씨가 처음 가르쳤다.
嫁娶 上古未有布帛 衣鳥獸皮 故伏羲制以儷皮爲禮
가취嫁娶 아주 옛날에는 베와 비단이 없었고 새의 깃과 짐승의 가죽으로 옷을 만들었다. 그러므로 복희伏羲가 한쌍의 사슴가죽을 혼인의 예물로 삼도록 하였다.
媒妁 女媧佐太昊正婚姻通媒妁 是爲神媒
매작媒妁(중매) 여와女媧가 태호太昊를 도와 혼인을 바르게 하고 중매쟁이로 왕래했다. 여와를 신매神媒라 한다.
書契 虙羲始造 謂刻木書字 古未有文字 結繩以記事
서계書契 복희虙羲가 처음 만들었다. 나무를 깎아 글자를 새기는 것을 이른다. 예전에는 문자가 없었기에 끈을 묶어 사실을 기록하였다.
字法 史皇氏兄弟三人 一造竺國字 一造天宮字 季爲詰造華字
자법字法 사황씨史皇氏 형제가 세 사람이다. 한명은 축국자竺國字를, 한명은 천궁자天宮字를, 막내 창힐蒼詰은 중국문자를 지었다.
書籍 秦已上刊竹簡 漢後縑帛傳寫 五代馮道始錄梓
서적書籍 진秦나라 이전에 죽간으로 책을 만들었다. 한漢나라 이후에는 겸백縑帛과 같은 비단에 옮겨 적었다. 오대五代 때 풍도馮道가 비로소 목판에 새겼다.
畵 史皇氏作 ★新羅僧率居畵松於壁 鳥雀往往飛入
그림畵 사황씨史皇氏가 만들었다. ★신라 중 솔거率居는 벽에 소나무를 그려 놓았는데 종종 참새가 날아들었다.
籌數 黃帝使隸首作
주수籌數(셈) 황제가 예수隸首를 시켜 만들었다.
曆書 黃帝使容成作
역서曆書 황제가 용성容成을 시켜 만들었다.
六甲 黃帝命大撓 驗斗柄初昏所指月建 以天幹十地枝十二配爲六十甲子 ★天皇氏始制古干支定歲所在 十干亦曰十母 十二支亦曰十二子
육갑六甲 황제가 대요大撓에게 명하여 초저녁에 북두칠성의 자루 부분이 달을 가리키는 것을 살펴서 천간天幹 10개와 지지地枝 12개를 정하고 이를 조합하여 60갑자를 만들었다. ★천황씨가 처음으로 옛 간지로 연도를 정했다. 10간은 10모十母라고도 하며, 12지는 12자十二子라고도 한다.
閏朔 堯時有草生庭 十五日以前日生一葉 以後日落一葉 月小盡則一葉厭而不落 觀知旬朔 置閏月
윤삭閏朔 요堯 임금 때에 정원에 풀이 자라났는데 15일 이전에는 하루에 잎사귀가 하나씩 생겨나고 뒤에는 하루에 하나씩 잎이 떨어졌다. 달이 작아 없어졌는데도 잎사귀 하나가 계속 남아 있는 것을 보고 순삭旬朔¹⁾을 알아 윤달을 두었다.
地皇氏定三辰 分書夜以三十日爲一月
지황씨地皇氏는 삼진三辰²⁾을 정해 낮과 밤을 나누어서 30일을 한 달로 삼았다.
尊卑 禮始遂皇 至黃帝爲文章 定貴賤等夷
존비尊卑 예법은 수인씨로부터 시작하였는데 황제 때에 이르러 문장을 만들어 귀천의 등급을 정하였다.
祀享 由於神農之作蜡 郊祀見五帝 享先著三代 春祭曰祠 夏祭曰禴 秋祭曰嘗 冬祭曰烝
사향祀享 신농이 만든 납일臘日³⁾에 올리는 제사蜡에서 유래한다. 교사郊祀⁴⁾는 오제 때에 보이며, 향享은 삼대 이전에 드러난다. 봄 제사를 사祠, 여름 제사를 약禴, 가을 제사를 상嘗, 겨울 제사를 증烝이라고 한다.
宗廟 唐虞立五廟 夏后氏世室 殷人重屋 周人辨廟祧
종묘宗廟 요순 때는 오묘를, 하나라 때에는 세실世室을, 은나라 때에는 중옥重屋을 세웠고, 주나라 때에는 조묘廟祧 ⁵⁾를 갖추었다.
【주석】
순삭旬朔¹⁾ : “① 열흘 ② 한 달”을 뜻하지만 여기서는 29일의 다음 날이 30일이 아니라 초하루가 되어야 함을 깨닫게 되어 윤달을 두게 되었음을 말하고 있다.
삼진三辰²⁾ : 일월성신日月星辰, 즉 해와 달과 별의 총칭
납일臘日³⁾ : 동지 뒤에 셋째 술일戍日. 조선 태조 이후에는 동지 뒤의 셋째 미일未日 天子臘先祖五祀 『예기』, 冬至後三戌 臘祭百神也 『說文』
교사郊祀⁴⁾ : 하늘과 땅에 지내는 제사. 옛날 임금이 동지에는 남쪽 교외에 나가 하늘에 제사 지냈고 하지에는 북쪽 교외에 나가 땅에 제사를 올렸다.
조묘廟祧 ⁵⁾ : 먼 조상[還]을 합사合祀하는 사당祠堂
社稷 顓項祀神農十二世孫句龍爲社 炎帝別子柱爲稷 湯爲旱遷柱 代以周棄,
사직(社稷): 전욱(顓項)이 제사를 지낼 때 신농의 12세 후손인 구룡(句龍)을 사(社)로 삼고, 염제의 별자(別子)인 주(柱)를 직(稷)으로 삼았다. 탕(湯) 임금은 가뭄 때문에 주(柱)를 옮기고 주기로 대신하였다.
學校 舜始建學養老 三代設大學 元魏置四門小學
학교(學校): 순임금이 처음으로 학교를 세워 노인들을 봉양하였다. 삼대[하은주 시대]에는 대학을 세웠고, 전국시대의 위(魏)나라 때에는 태학의 사방 문에 소학을 세웠다.
釋尊文王時已先聖先師 至曹魏齊王芳初祀孔子
석전(釋尊): 문왕 때 이미 선성(先聖)과 선사(先師)를 제사 지냈다. 조조의 위(魏)나라에 이르러 제(齊) 왕방(王芳)이 처음으로 공자에게 제사 지냈다.
神室 三代己設 惟國家行之 程子小其制士庶通行.
신주(神堂): 삼대에 이미 세워졌다. 오로지 나라에서만 모실 수 있었는데, 정자(程子)가 그 제도를 간소화하여 널리 선비들과 서민들도 모시게 되었다.
醫藥 神農氏嘗百草始有之 一口而七十毒
의약(藥): 신농씨가 온갖 풀들을 맛보고 비로소 의약이 있게 되었다. 신농은 하루에 70번 중독되었다.
卜筮 自周時已有, 蓋卜筮之派流,
무격(巫覡): 주나라 때부터 이미 있었다. 대개 복서(卜筮)의 유파이다.
網罟 伏羲氏始結之 佃禽獸漁魚鼈
망고(網罟): 복희씨가 처음으로 만들었다. 금수(禽獸)를 사냥하고 어별(魚鼈)을 잡는 데 사용했다.
城郭 黃帝造 或云鯀作
성곽(城郭): 황제(黃帝)가 만들었는데, 혹자는 곤(鯀)이 만들었다고도 한다.
囿池 成湯作
유지(囿池): 동산과 연못은 탕(湯) 임금이 만들었다.
陶炎帝作
도자기[陶]: 도자기는 염제(炎帝)가 만들었다.
井伯益作
우물[井]: 우물은 백익(伯益)¹⁾이 만들었다.
存雍文作
절구[春]: 절구는 옹문(雍文)²⁾이 만들었다.
杵赤冀作
절구공이[杵]: 절구공이는 적기(赤冀)³⁾가 만들었다.
箕箒小康作
키[箕箒]: 쓰레받기는 소강(小康)⁴⁾ 하나라 우임금의 5세손이 만들었다.
石磑公輸子作
맷돌(石磑]: 맷돌은 공수자(公輸子)가 만들었다.
釜甑黃帝造
솥과 시루[釜甑]: 솥과 시루는 황제가 만들었다.
食器 舜作 黑漆其上
식기(食器): 식기[밥그릇]는 순임금이 만들었는데 겉에는 검게 옷칠을 하였다.
祭器 禹作 黑漆外朱畵內
제기(祭器): 제사그릇은 우임금이 만들었는데, 밖은 검게 옻칠을 하고 안은 붉게 칠했다.
竹器舜作
죽기(竹器): 대나무 그릇은 순임금이 만들었다.
罍爵 黃帝造, 古者汙尊而杯飮.
술독과 술잔 : 술잔은 황제가 만들었다. 옛날에는 땅을 파서 술통으로 삼고[汙尊] 손으로 떠서 마셨다.
匙筯呂泰作.
수저[匙筯]: 수저는 여태(呂泰)가 만들었다.
尺魯會氏作. 度數推步權輿于此,
자[尺]: 자는 노증(魯曾)씨가 만들었다. 도수(度數)와 추보(推步)가 여기에서 비롯되었다.
秤神農作,
저울[秤]: 저울은 신농씨가 만들었다.
升㪷神農作.
승두(升㪷): 되와 말은 신농이 만들었다.
鉅鑿 流莊子作
끌[鉅鑿]: 끌은 맹장자가 만들었다.
斧神農作
도끼[斧]: 도끼는 신농이 만들었다.
弩黃帝造
쇠뇌[弩]: 쇠뇌활는 황제가 만들었다.
弓黃帝臣揮作 一云少昊次妃子般爲弓 正制弓矢.
활[弓]: 활은 황제의 신하 휘(揮)가 만들었다. 혹은 소호(少昊)의 둘째 부인인 자반(子般)이 활을 만들고 활과 화살의 규격을 바로잡았다고 한다.
矢夷則作 或云牟夷作
화살[矢]: 화살은 이(夷)가 만들었는데, 혹은 모이(牟夷)가 만들었다고도 한다. 모두 황제의 신하이다.
【주석】
백익(伯益)¹⁾ : 순임금의 신하
옹문(雍文)²⁾ : 황제의 신하
적기(赤冀)³⁾ : 황제의 신하
소강(小康)⁴⁾ : 하나라 우임금의 5세손
干戈 黃帝始習用之 戈戟殳矛黃帝臣蚩尤作.
간과(干戈): 방폐와 창은 황제가 처음으로 익혀서 이를 사용하였다. 과극(戈戟)과 수모(殳矛)는 황제의 신하 치우(蚩尤)가 만든 것이다.
甲冑少康子輿作 古甲用皮 秦漢來用銕
갑주(甲冑): 소강(少康)의 아들 여(輿)가 만들었다. 옛날에는 갑옷은 가죽을 사용하였는데, 진한 시대에 와서는 철을 사용하였다.
舟黃帝作, 或云虞姁作 未知何代人 魯班裝.
배[舟]: 황제가 만들었다. 혹은 우후(虞姁)가 만들었다고도 하는데 어느 시대 사람인지 알 수 없다. 노반(魯班) 이 장식했다.
柁 張平造.
키[柁]: 장평(張平)이 만들었다.
車黃帝見轉蓬而始制之 或云奚仲作爲夏車正
수레[車]: 황제가 전봉(轉蓬)을 보고 처음 이를 만들었다. 혹은 해중(奚仲)이 하나라의 수레를 바로잡았다고 한다.
人車 傑以人駕車 輿輦之始
인력거[人車]: 걸(傑) 임금이 사람으로 마차를 끌게 하였다. 여련(輿輦)이 여기서 비롯되었다.
大輅 古者以木爲車 至商有輅之名 始異其制
대로(大輅): 옛날에는 나무로 수레를 만들었다. 상나라 때에 이르러 노(輅)라는 명칭이 생겨서 그 형식을 달리하기 시작하였다.
棺槨上世委壑後掩虆梩 舜時瓦棺 殷木造 周牆置翣
관곽(棺槨): 옛날에는 시체를 구덩이에 버려두었으나 후에 덩굴로 만든 삼태기로 덮었다. 순임금 때에는 와관(瓦棺)을 은나라 때에는 나무로 관을 만들었고, 주나라 때에는 관 옆의 널판[牆]에 삽(翣)을 두었다.
碑碣 碑者悲也 碣者短碑 古者書本窆地 後易竪石
비석[碑碣]: 비(碑)는 슬퍼하는 것이고, 갈(碣)은 짧은 비석이다. 옛날에 나무에 새겨서 땅에 묻었는데 나중에는 돌을 세우는 것으로 바뀌었다.
【주석】
'大輅 古者以木爲車 至商有輅之名 始異其制' 부분은 이 책에는 빠져있어 삽입했다.
兒戱原覽
https://blog.daum.net/win690/15939206?category=1498189-형기 形氣
https://blog.daum.net/win690/15939224?category=1498189-창시 創始1
https://blog.daum.net/win690/15939453-창시 創始2 (면류관)
'역사의 기록 > 책과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안선생유집 新安先生遺集 序二 (0) | 2020.12.02 |
---|---|
면산유고 眠山遺稿 민노식 閔魯植 (0) | 2020.12.01 |
남화경 南華經-장자 莊子/소요유 逍遙遊 2 (0) | 2020.11.25 |
남화경 南華經-장자 莊子/소요유 逍遙遊 1 (0) | 2020.11.24 |
아송雅誦-백록동부白鹿洞賦 (0) | 2020.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