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95

네발나비의 가을 모습

작년에는 8월에 네발나비가 우리 집에 왔는데 올해는 10월 첫날 날아왔다. 여름의 모습 보다 전체의 색깔이 연한 모습으로 가을의 모습을 보여 준다. 아직 알과 애벌레 및 번데기는 만나지 못했다. 항상 성충인 나비의 모습만 보고 있다.  이 속은 우리나라에 2종이 있으며 제주도를 포함한 전 국에 분포하고 아무르, 중국, 일본, 타이완, 베트남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산은 원명 아종으로 다룬다. 여름과 가을형이 있으며 나타나는 시기에 따라 날개색과 모양이 달라진다. 암컷은 수컷보다 크고 날개 가장자리가 둥글다. 3~10월까지 볼 수 있으며 어른벌레로 겨울을 난다. 먹이식물은 뽕나무과, 환삼덩굴, 삼이 있으며, 도시의 개천이나 밭 주변, 해안 지대, 낮은 산지의 계곡 주변 등에서 흔하게 만난다. 우리 집은 인접..

곤충/나비사진 2024.10.01

거제 여차 해변의 청띠제비나비

2021년 9월에 여차에서 홍포로 가는 무지개길 전망대에서 층꽃나무의 꿀을 빠는 청띠제비나비를 만났다. 몇 장의 사진을 남겼지만 흔들이지 않은 좋은 사진은 건지지 못했다. 청띠제비나비는 우리나라 남해안 일대와 울릉도가 북방한계선으로 인도와 동남아시아 일대, 호주의 열대와 아열대에 넓게 분포한다. 1년에 2~3회정도 번식을 하는데 5~9월 사이다. 먹이식물은 녹나무, 후박나무 등 녹나무과이다.   곤충강(hexapoda), 나비목(Lepidoptera), 호랑나비과(Papilionidae), 호랑나비아과(Papilioninae), 청띠제비나비속(Graphium), 청띠제비나비(G. sarpedon)의 학명은 Graphium sarpedon Linnaeus, 1758이다.

곤충/나비사진 2024.09.16

창원 구산봉 자락의 왕자팔랑나비

마을 뒷산인 구산봉에서 만났던 왕자팔랑나비를 구산봉 자락의 산책 중에 다시 만났다. 이 왕자팔랑나비속(Daimio)은 남·동아시아에 7종이 있고 우리나라에는 1종이 있다. 제주도를 포함해 전국에 분포하며 일본, 미안마 북부에 분포한다. 창원 지역에 있는 이 종은 날개의 흰띠가 넓어서 아종으로 다룬다. 수컷은 뒷다리 종아리마디에 긴 털 뭉치가 있다. 한 해에 3번 정도 볼 수 있고 애벌레로 겨울을 난다. 먹이식물은 마과이며 산지의 숲 가장자리나 마을 주변에서 보인다. 빈 공간을 빙빙돌 듯 날다가 재빨리 날개를 펴고 앉으며 엉겅퀴, 나무딸기, 개망초, 꿀풀 등의 꽃에서 흡밀한다. 곤충강(hexapoda), 나비목(Lepidoptera), 팔랑나비과(Hesperiidae), 왕자팔랑나비속(Daimio), 왕자..

곤충/나비사진 2023.10.15

봉암갯벌의 물결부전나비

합포구에 갔다 오던 중 잠시 봉암갯벌 체험장에 들렀다. 민물 때라 갯벌은 모두 수면 아래로 잠겨 기수지역 생물은 보지 못했다. 콩과로 생각되는 풀을 살피던 중 물결부전나비가 작고 노란 꽃에 꿀을 빠는 모습을 보고 사진으로 남겼다. 이 나비는 전 세계의 열대, 아열대, 온대 지역까지 넓게 분포하며 바다를 건너 먼 거리를 이동하는 능력이 있어 가을에 우리나라의 중부 지방에서도 볼 수 있다. 앞날개 길이는 11~19mm이다. 날개 앞면은 담청자색이고 뒷날개의 뒤끝에 검은색 둥근 무늬가 있으며, 뒷면에는 회백색 바탕에 특이한 흰색 물결무늬가 있다. 봄부터 가을까지 세대를 되풀이하나 추운 지방에서는 월동하지 못한다. 암컷은 먹이식물의 꽃봉우리에 알을 하나씩 낳고, 유충은 콩과식물의 열매나 꽃봉오리 속을 파먹어 들..

곤충/나비사진 2023.09.23

뱀허물쌍살벌

사격장 뒤쪽 등산로에 심어 둔 이팝나무를 쳐다보니 뱀이 허물을 벗은 것처럼 보이는 물체가 있어 다가가 보니 벌들이 아래쪽에 붙어 있다. 산행하다 보면 가끔 이 벌집을 만나는데 이번에는 사진으로 남겨 봤다. 쌍살벌류에 속하는 곤충으로 몸은 전체적으로 밝은 황색을 나타내고 각 부위의 무늬는 갈색을 띤다. 몸길이는 13-20mm 정도이고, 몸은 전체적으로 밝은 황색을 나타내고 각 부위의 무늬는 암갈색으로 큰뱀허물쌍살벌에 비해 크기가 다소 작고 무늬색이 짙다. 배마디 1마디는 호리병처럼 되어있으며 얼굴에는 세로의 줄무늬 있다. 영양원을 얻기 위해 주로 꽃을 방문하나 드물게 나무 수액에 접근하는 경우도 있다. 둥지는 주로 1-2m 높이의 교목 및 관목의 가지나 활엽수 잎의 뒷면에 주로 둥지를 튼다. 둥지의 색은 ..

사마귀

사격장 뒤쪽에 야생 버섯을 보러 갔다가 다른 것은 보지 못하고 몇 가지 식물과 곤충류를 사진에 담아 내려오던 중 싸리나무에서 메뚜기사냥에 성공한 사마귀를 만났다. 생태계 순환의 운명은 정해져 생사의 인연은 여기까지이다. 생사의 기로에서 누군가가 이익을 얻으면 누군가는 희생되기 마련이다. 몸은 길이 70~85mm이고, 녹색 또는 갈색을 띠며, 뒷날개의 밑부분에 자줏빛 무늬가 없다. 전체적인 모습은 왕사마귀와 흡사하여 겉모습으로는 구별이 쉽지 않다. 거의 모든 종류의 곤충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다. 논, 밭과 같은 들판, 산자락의 풀숲에서 서식한다. 이른 봄 알집에서 깨어난 어린 유충은 탈피를 거듭하여 7월에 성충이 되며, 늦가을에 거품 같은 분비물과 함께 알을 낳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하며, 세계적으로..

날개띠좀잠자리-수컷

봉림공원에서 날개띠좀잠자리의 수컷을 만났다. 이 잠자리는 앉은 자리에 계속 날아와 앉는 습관을 가지고 있는 듯하다. 2022년 9월에 암컷을 만났을 때도 그런 습성으로 인해 사진을 남겼는데 이번 수컷도 그러하다. 날개띠좀잠자리의 암컷과 수컷의 구별은 배 부분의 색이 암컷은 갈색이고, 수컷은 붉은색이다. 날개의 가두리무늬가 암컷은 흰색이고 수컷은 분홍색을 띠고 있다.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잠자리목(Odonata), 잠자리과(Libellulidae), 좀잠자리속(Sympetrum), 날개띠좀잠자리의 학명은 Sympetrum pedemontanum elatum (Selys, 1872)이다. 날개띠좀잠자리-암컷

섬서구메뚜기

우리 집 화단에 있는 방풍에 섬서구메뚜기가 알을 낳고 애벌레가 되어 잎을 몽땅 먹어버리고 섬서구메뚜기 성체가 되어 풀숲에 숨어있다. 2021년에는 산호랑나비 애벌레가 잎을 먹어버려 방풍이 다시 씨앗으로 생겼던 것이었는데 이번엔 섬서구메뚜기의 차지가 되었다. 어릴 때 “소금쟁이”라 불렀는데 진짜 이름을 찾아보니 섬서구메뚜기이다. 몸은 녹색형, 회록색형, 갈색형 등 여러 가지가 있고 머리는 원추형이며 앞날개는 가늘고 길며 끝은 뾰족하고 뒷날개는 투명하게 옅은 황색이다. 초여름부터 가을까지 논밭이나 초원에서 볼 수 있다. 암컷에 비해 수컷은 상당히 작으며, 작은 수컷이 암컷의 등에 올라타 장시간에 걸쳐 함께 지내며 짝짓기를 한다. 각종 식물을 먹는다.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남방노랑나비

남방노랑나비는 중국, 일본 등 열대에서 온대의 따뜻한 지역에 분포하고 우리나라에서 북방한계가 이루어진다. 기본적으로 먹이 식물은 콩과이며 먹이 식물의 번성과 나비의 번영은 같이한다.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남방노랑나비는 아종亞種으로 분류하고 암컷은 수컷보다 크고 날개 가장자리가 둥글다. 계절 마다 모습이 달리 보이는데 가을의 개체들은 날개 가장자리의 검은 띠가 줄어들고 날개 아랫면에 갈색 점무늬가 발달한다. 한해에 서너번 발생하고 어른벌레로 겨울을 나고 겨울에는 더듬이를 날개 사이에 감추는 버릇이 있다. 절지동물(Arthropod), 곤충강(Insecta), 나비목(Lepidoptera), 흰나비과(Pieridae), 노랑나비아과(Coliadinae), 노랑나비속(Colias), 남방노랑나비의 학명은 Eu..

곤충/나비사진 2023.08.25

배얼룩재주나방 애벌레

태복산로 산책로 옆 절개지는 싸리나무를 심었는데 이곳에 무시무시하게 생긴 애벌레 있어 사진으로 남기고 페이스북에 물었더니 배얼룩재주나방 애벌레라 알려 준다. 아직 성체는 본 적이 없다. 배얼룩재주나방 애벌레의 먹이 식물은 콩과식물 종류이며, 싸리나무, 아까시나무, 칡, 등, 등으로성충은 6~8월에 1회 나타나며, 앞가슴에는 주황색 돌기가 한 쌍 있고, 유충은 땅속에서 번데기가 되어 10여일 후 성충으로 우화한다. 절지동물(Arthropod), 곤충강(Insecta), 나비목(Lepidoptera), 밤나방상과(Noctuoidea), 재주나방과(Notodontidae), 배얼룩재주나방속(Phalera), 배얼룩재주나방의 학명은 Phalera grotei Moore, 1852이다.

곤충/나비사진 2023.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