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2433

경남 이팝나무 천년기념물 3곳

우리나라에서 이팝나무가 천연기념물로 등록된 것은 순천 평중리 이팝나무(천연기념물 제36호:1962.12.07.), 고창 중산리 이팝나무(천연기념물 제183호:1967.02.17), 진안 평지리 이팝나무군(천연기념물 제214호:1968.11.25), 광양읍수와 이팝나무(천연기념물 제235호:1971.09.13), 김해 신천리 이팝나무(천연기념물 제185호:1967.07.18), 양산 신전리 이팝나무(천연기념물 제234호:1971.09.13),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천연기념물 제307호:1982.11.09) 등 7개 본인데 전라도와 경남에 집중되어 있다. 이처럼 이팝나무는 남부지역에 위치한 것은 추위에 약한 나무라는 것을 증명하며, 경남의 경우 물이 많은 지역에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김해 신천리(..

작약

작약의 원산지는 몽골과 우리나라이며, 꽃말은 '부끄러움'이다. 여러해살이풀로서 1m 이하로 자란다. 어린 잎은 데친 후 찬물에 헹구어 쓴 맛과 독성을 제거하여 식용하며, 뿌리를 진통제·해열제·이뇨제 등으로 약용한다. 말린 뿌리는 가루로 만들거나 그대로 물에 끓여 차처럼 음용한다. 작약은 흰색이나 빨간색 또는 여러 가지 혼합된 색의 꽃은 5~6월에 원줄기 끝에서 1개가 핀다. 관상용이나 약초로 재배된다. 토양이 깊고 배수가 잘 되며 약간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꽃받침은 녹색으로 5장이다. 꽃잎은 길이가 5㎝ 정도로서 10장이다. 꽃밥은 많고 노란색이며, 밑씨 3~5개가 암술머리를 뒤로 젖히고 모여난다. 열매는 골돌로 8월에 익는데 중심 쪽이 세로로 터진다. 작약은 연작을 싫어하므로 한번 심어서 수확한..

모란(목단)

집에 심었던 목련이 시들어 죽은 후 아직 다시 키우지 않고 있다. 꽃 사진은 옆집에서 핀 목련을 담았다. 목련을 집에 심었던 것은 뿌리를 약용하기 때문이었는데 뿌리의 껍질을 목단피라 하여 한방에서는 소염·진통제로서 총수염·월경통·부스럼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모란은 예로부터 부귀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설총의 〈화왕계〉에서도 모란은 꽃들의 왕으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당 태종이 신라와 협약을 맺기 위해 덕만공주(진평왕 시기)에게 모란꽃 그림 한 점과 모란씨 석 되(한국 최초 모란꽃)를 보냈는데 그것을 본 덕만공주는“꽃은 화려하다. 허나, 꽃에 벌이 없으니 향기가 없겠구나”라고 말하였다. 나중에 핀 모란 꽃은 실제로 향기가 없었다고 전해진다고 했지만 실제론 설화와는 달리 모란에는 은은한 향기가 있다. ..

창원대학교 주엽나무

콩목 콩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마을 주변, 논밭 경계나 낮은 지대 계곡 및 하천 가장자리에 드물게 자라는 낙엽 지는 큰키나무이다. 줄기는 15~20m, 지름 1m까지 자라는데, 줄기와 가지에는 가시가 많다. 나무껍질은 흑갈색 또는 암회색이며 사마귀처럼 생긴 돌기들이 달려 있다. 잎은 서로 엇갈려 나는데, 5~8쌍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잎은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3~5.5cm, 너비 3cm 정도이며, 위아래 모두 둥글고, 가장자리에는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황록색의 연한 꽃이 총상꽃차례에 무리 지어 핀다. 작은꽃자루는 거의 없으며, 꽃싸개잎은 선형이다. 암술대에 털이 달린다. 열매는 콩꼬투리로 맺히는데, 길이 20cm, 너비 3cm 정도로 커지면서 뒤틀린다. 10월에 결실한다...

창원대학의 가래나무

창원대학 내 가로수로 가래나무가 있을 것이란 생각을 해보지 못했는데, 주엽나무를 발견하면서 함께 보게 됐다. 인터넷에 알려진 자료들에서 가래나무는 중부지방 이북에 서식하는 식물로 알고 있지만 경남지역 지리산에도 서식하는 식물이다. 창원지역 인근에서는 자생지를 보지 못했지만, 창원대학교 가로수로 식재되어 있었다. 가래나무(梓)는 ≪시경(詩經),소아(小雅) 소변(小弁)≫에 이란 글에서 "상재(桑梓)"란 용어가 생겼으며, "상재(桑梓)"는 부모가 심어 놓은 뽕나무와 가래나무가 있는 고향이란 뜻으로 사용한다. 이때 가래나무(梓)는 가구(家具) 만들기를 할 수 있도록 준비(準備)해 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우리 지역에서는 “개추자(개楸子)”라고도 하는데 우리나라 원산이며, 만주까지 산야 100~150..

불모산 수리취

수리취는 국화과 여러해살이풀로, 개취, 떡취, 산우방(山牛蒡)으로도 불린다. 한국, 중국, 일본,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어린 잎을 떡에 넣어서 만든 수리취절편(수리취떡)은 단오의 절기 음식이다. 다 자란 잎은 말리거나 볶아 곱게 비벼서 부싯깃으로 쓴다. 숲이 없던 예전에 햇볕이 잘 들고, 물끼가 많은 지역에 군락을 이룬것을 본 적이 있지만 지금은 거의 사라져 없다. 1m 높이까지 자라고 줄기에 얕은 홈이 패인 듯 세로로 줄이 나 있으며 흰색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에 가까운 타원 모양이며 긴 털이 난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잎 뒷면에는 흰색의 부드러운 털이 빽빽하게 난다. 8~9월에 지름 5cm 정도의 자갈색 꽃이 피는데 땅을 향한다. 총포(總苞)는 흰색 털로 덮여 있고, 꽃..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운문사雲門寺의 앞뜰,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1768-7번지에 위치한 이 소나무는 가지가 낮게 사방으로 퍼지는 반송형태로 밑으로 축 처진 희귀한 모양이다. 이곳의 좌표는 35° 39′ 40″N 128° 57′ 39″E이다. 나무의 높이는 9.4m, 가슴높이 둘레은 3.37m이며, 나이는 400여년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1966년 8월 25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180호로 지정되었다.운문사의 처진소나무는 수형이 매우 아름답고, 전형적인 처진소나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생물학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크며, 문화적 자료로서의 가치도 있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매년 봄·가을에 뿌리 둘레에 막걸리를 물에 타서 뿌려주는 등 정성을 다하여 가꾸고 있다. [출처] 위키백과-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불모산의 단풍취_게발딱지

우리나라 원산인 단풍취는 전국의 산지와 일본, 만주, 중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괴발딱취, 게발딱주, 게발딱지 등 다양한 이름이 존재하는 식물이다. 단풍잎과 비슷하여 단풍취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게발딱지와 같은 별명은 어린 순이 올라 올 때 모습이 게의 발을 닮았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높이 35~80cm에 이르고, 줄기는 가지가 없으며 긴 갈색 털이 있다. 잎은 원줄기 중앙에 4~7개가 돌려나는 것처럼 나며, 원형이다. 잎끝이 7~11개로 얕게 갈라진 다음 다시 3개로 얕게 갈라진다. 양면과 엽병에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원줄기 끝에 수상으로 달리며 총포는 통형이고, 붉은빛이며, 포는 많고 여러 줄로 배열된다. 그 속에 3개의 통상화가 들어 있고 화관은 백색이다. 통부는, 열편이 불규칙하고..

불모산 미나리냉이

우리나라 원산인 미나리냉이는 중국, 일본, 시베리아, 러시아 극동부에 분포하며, 배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이나 골짜기, 개울가, 숲 변두리 그늘진 곳에서 높이 50cm정도로 자란다. 줄기는 높이 50cm까지 자라며 곧게 선다.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이 5~7개인 깃꼴겹잎이고, 잎자루가 길이 15cm 정도로 길다. 작은 잎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3~6월에 피며 줄기와 가지 끝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 조각과 꽃잎이 4장씩 달리고 꽃잎은 길이 8~10mm쯤 되는데 꽃받침보다 2배 또는 그 이상 길며 거꿀달걀꼴이다. 열매는 길이 2cm쯤 되는 장각과(긴뿔열매)이다. 7~8월에 익는데 2개로 갈라져 길이 2mm..

사약의 재료 천남성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는 천남성은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등이 원산이며, 산지의 습한 응달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1개, 5개의 소엽(발육이 불량할 때는 3)으로 난상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육수꽃차례로 달린다. 불염포는 판통의 길이 8cm 정도이고 녹색이며 윗부분이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지고 난상 장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차례의 부속체는 곤봉형이다. 장과는 붉게 익어 옥수수처럼 달리며, 줄기는 곧추 서고 겉은 녹색이나 때로 자색을 띠기도 한다. 알줄기는 편평한 구형이며 지름 2~4cm이고 주위에 작은 알줄기가 2~3개 달리며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알줄기 위의 비늘조각은 얇은 막질이다. 벌레잡이 통처럼 생긴 녹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