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책과 기록 120

戇庵先生文集 당암선생문집

『당암선생문집戇庵先生文集』은 당암戇庵 강익문姜翼文(1568~1648)의 시문을 모아 1908년 목활자본木活字本으로 간행했는데 서문은 문소聞韶 김도화金道和가 지었으며 발跋은 완산完山 류필영柳必永이 썼다. 1권에는 부賦 1(正氣歌賦), 시詩 3수, 만挽 5수, 발跋 1(書曺靜谷信天筆語後), 제문祭文 3수, 행장行狀 1(贈主簿德灘金公行狀), 묘갈명墓碣銘 1수이고, 2권에는 부록, 御筆傳敎, 묘갈명 병서, 가장, 행장, 수시壽詩, 士林爲先生伸冤疏, 子大遂爲先生鳴冤疏, 知舊諸賢往復, 同道會話圖, 同道會話錄, 䟽儒錄, 常享文, 後識, 발跋로 구성 되었다. 『戇庵·寒沙先生文集 당암·한사선생문집』은 1995년 12월에 당암戇庵·한사寒沙 두 분의 문집을 하나의 상자에 넣어 각각의 책 2권을 짝으로 하여 국역해 발간한 책..

寒沙先生文集 한사선생문집

『한사선생문집寒沙先生文集』은 7권卷 4책冊으로 한사寒沙 강대수姜大遂(1591∼1658)의 시문을 모아 후손들이 1810년도에 한번 간행했고, 또 강병화姜秉和, 강영흠姜泳欽 등이 1870년(高宗 7)에 다시 간행했다. 앞에 류후조柳厚祚 류주목柳疇睦의 서序가 있다. 권卷1은 부賦 1편, 시詩 136수. 권卷2는 시詩 54수. 만사挽詞 65수. 권卷3은 불윤비답不允批答 2편(不允右議政李廷龜辭職批答, 不允右議政金尙容辭職批答), 교서敎書 1편(敎咸鏡監司金起宗書), 소차疏箚 9편(爲親伸寃疏, 越鄭斗卿修撰署經後陳情疏, 玉堂八條箚, 辭賜馬箚, 弘文館請勿追崇後入廟箚, 玉堂請勿罪諫官箚, 玉堂請災異修省箚 등)이 있다. 권卷4는 소차疏箚 3편(請更議東宮喪制疏, 應旨陳弊疏, 應旨疏), 계사啓辭 2편(兵曹變通海西軍案啓辭, 兵曹請..

國譯 鏡湖先生文集 국역 경호선생문집

『국역國譯 경호선생문집鏡湖先生文集』은 경호鏡湖 강대연姜大延(1606~1655)이 지은 시詩 34수, 제문 1수 및 부록으로 제문, 행록, 묘갈명이 하겸진의 호상지미록서문湖上趾美錄序文을 부쳐 간행되었던 것을 2012년 12월 진주강씨 진천군파 종회 국역편찬위원회을 발행처로 삼고 번역은 이상필李相弼이 하고, 강만수姜萬洙가 발행했다. 휘담暉潭 강용수姜龍洙가 편집하고 엮었으며, 대보사에서 간행했다. 책은 양장본으로 크기는 가로 194cm, 세로 265cm이며 영인본 포함 127p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2018년에 휘담暉潭 강용수의 배려로 소장하게 됐다. 경호鏡湖 강대연姜大延(1606~1655)은 당암戇庵 강익문姜翼文의 셋째 아들로 한사寒沙 강대수姜大遂, 구주鷗洲 강대적姜大適의 아우이며, 사호思湖 오장吳長의..

國譯 鷗洲先生文集 국역 구주선생문집

『구주선생문집鷗洲先生文集』은 구주鷗洲 강대적姜大適(1594~1678)의 시문詩文을 모아 2권의 책으로 엮은 목활자본木活字本으로 1916년 발행했다. 권두에 인천仁州 장석영張錫英의 서序가 있고, 권말에 청주淸州 정재기鄭在夔의 근발謹跋이 있다. 강대적姜大適(1594~1678)은 1612년 사마시司馬試에 입격入格하고, 학행學行으로 참봉參奉, 세마洗馬, 사부師傅, 찰방察訪 등 여러 벼슬에 임명任命 되었으나 모두 취임하지 않았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의병義兵을 일으켜 청나라 누르하치가 이끄는 적과 싸웠다. 1652년 한재旱災 대책에 대한 상소上疏 올린바 있다. 『국역 구주선생문집 國譯 鷗洲先生文集』은 『구주선생문집鷗洲先生文集』을 국역한 것으로 권두에 구주鷗洲의 묘소와 경덕사景德祠, 삼현사三..

蓮汀八旬紀念集 연정팔순기념집

『연정팔순기념집蓮汀八旬紀念集』은 연정蓮汀 배도석裵鍍奭(1932~)의 8순을 기념하여 2011년 12월에 아들 배정한裵正漢이 발행하고 대보사에서 간행했다. 배순태裵順泰의 서문序文과 4명의 축간사를 비롯해 2명의 발간사 및 연정蓮汀의 사진, 상장, 축서화祝書畵, 많은 사람들의 축하 글과 축하시祝賀詩 152수와 자음시自吟詩 230수를 싣고 배정한裵正漢의 발문을 부쳤다. 『蓮汀八旬紀念集』은 양장본으로 크기는 가로 192cm, 세로 264cm이며 316p로 구성됐다. 이 책은 창원향교를 통해 배포하는 것을 받아 소장하게 됐다.

梅溪詩帖 매계시첩

『매계시첩梅溪詩帖』은 매계梅溪 김상규金尙圭(1884~1962)의 시에 여러 사람들의 차운을 싣고 매계梅溪의 행장, 가계도, 묘갈명병서 등을 실었다. 책의 첫머리에 김녕김씨金寧金氏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1399-1456)의 초상을 싣고, 김상규金尙圭(1884~1962)의 초상과 부인 신씨, 오례동悟禮洞 전경, 오례사悟禮祠, 추원재追遠齋, 묘비 등의 사진을 실었다. 서문序文은 두계斗溪 이병도李丙燾(1896~1989), 해사海史 최창규崔昌圭가 썼고, 머리말은 한뫼 안호상安浩相(1902~1999) 지었으며, 발문은 백산白山 박상길朴相吉이 썼고, “책 끝에 송을 붙인다”는 김열규가 썼으며, 편집후기는 이 책을 편집하고 엮은 허명許銘의 편집후기가 가 있다. 이 책은 양장본으로 가로 190cm, 세로 261cm이며,..

國譯 三隱合稿 국역 삼은합고

『삼은합고三隱合稿』는 담양전씨潭陽田氏 가문의 세 선조인 야은壄隱 전녹생田祿生, 뇌은耒隱 전귀생田貴生, 경은耕隱 전조생田祖生의 시문을 모아 1890년에 전녹생의 16대손인 간재艮齋 전우田愚가 엮어 출간한 유고문집이다. 제1~2권에는 전녹생의 일고逸稿와 부록, 제3권에는 전귀생의 실기實記와 부록, 제4권에는 전조생의 실기와 부록으로 되어 있다. 삼 형제의 호가 모두 은隱자 돌림이기 때문에 책의 이름을 ‘삼은三隱’이라고 이름 붙인 것이다. 활자본 4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머리에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과 김낙현金洛鉉이 쓴 삼은합고서三隱合稿序가 있고, 이의현李宜顯·박필주朴弼周의 야은선생일고서埜隱先生逸稿序, 송치규宋穉圭의 경은선생실기서耕隱先生實記序가 있고, 권말에 전병순田秉淳의 발문이 있다. 『국역 삼은합고國..

重齋先生文集 중재선생문집

『重齋先生文集중재선생문집』은 12권으로 이루어진 방대한 양으로 중재선생문집간행회重齋先生文集刊行會가 1988년 12월 산청군 내당서사內塘書舍에서 발행한 것으로 서울의 보경문화사에 인쇄했다. 중재重齋 김황金榥(1896~1978)은 영남의 거유巨儒로 의령 출신이며 본관은 의성義城. 일명 김우림金佑林, 자는 이회而晦, 호는 중재重齋. 명신 김우옹金宇顒의 후손이고, 아버지는 도산서원陶山書院 원장을 지낸 김극영金克永이며, 어머니는 청송심씨靑松沈氏로 심구택沈龜澤의 딸이다. 곽종석郭鍾錫의 문인이다. 김창숙이 장서를 가지고 상해로 떠난 뒤, 왜경에 발각되어 제1차 유림단사건儒林團事件이 일어나자 옥고를 치렀다. 또한 김창숙이 가지고 간 거액의 자금이 뒤에 나석주羅錫疇의 동양척식주식회사투폭東洋拓殖株式會社投爆 등 독립운동에 ..

간비오산 봉수대

지방문화원 원천콘텐츠 발굴지원 사업으로 발행된 『간비오산 봉수대』는 2019년 12월 전임연구원인 황구와 스토리랩 수작 대표가 엮고 창작 집필을 한 김정화 외 6명의 글을 담아 김태웅이 발행했다. 간비오봉수대干飛烏烽燧臺는 경상좌수영을 지키던 관방유적으로 유사시 서울에 사항을 알리는 통신수단 이다. 이 책은 봉수대의 기록과 활용방안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고 ‘간비오산干飛烏山’은 이두吏讀의 표기로 '큰 나루가 있는 산'이란 뜻이다. 책의 크기는 가로 183cm, 세로 256cm이며, 222p로 구성되어 있고 떡제본이다. 『간비오산 봉수대』는 2023년 2월에 부산과 기장의 향토사를 연구하는 황구의 배려로 소장하게 됐다.

龍湖遺集 용호유집

『용호유집龍湖遺集』은 용호龍湖 강주행姜珠杏(1894~1978)의 시문詩文을 모아 1989년 용호계에서 발행하고 회상사에서 간행했다. 강석황姜錫鎤의 서문序文과 이우섭李雨燮의 서序를 부치고 1권은 시詩 76수, 2권은 서書 10, 기記 6, 서序 6, 제문祭文 4, 상량문 2, 잠箴 2, 잡저雜著 7, 부록을 넣었고, 3권에는 송기서頌記序와 매원정사차운梅園精舍次韻 20, 만장挽章 16, 제문祭文 13, 행장, 묘지명, 묘갈명, 발, 유집고성문이 각각 1편이 있다. 이 책은 A4지로 복사한 것을 떡제본한 것으로 신일사의 도움으로 2023년 5월에 소장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