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야생화-풀

신경쇠약의 명약 산해박

천부인권 2005. 6. 15. 15:37

 

 

 


 

<2005/6/15 소목고개-산해박>

 

박주가릿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0센티미터 안팎으로, 굵은 수염뿌리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피침상(披針狀) 선형이다. 여름에 엷은 황록색 꽃이 취산 꽃차례로 달린다. 뿌리는 해열, 이뇨, 강장제로 쓰인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Cynanchum paniculatum이다. [출처 : 다음-국어사전]

 


 
<2005/6/21 소목고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산해박을 이렇게 적고 있다. 
[별선종(別仙踪) //산해박, 귀독우(鬼督郵)// [본초]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산해박(Pycnostelma paniculata Schumann.)의 뿌리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가을에 뿌리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심경, 간경, 위경에 작용한다. 풍습을 없애고 통증을 멈추며 혈을 잘 돌게 하고 해독하며 소변을 잘 누게 한다. 
진정작용, 진통작용, 강압작용 등이 밝혀졌다. 멀미가 나는 데, 신경쇠약, 복통, 관절통, 치통, 타박상, 두드러기, 습진, 이질, 부종, 사교창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달이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짓찧어 붙이거나 즙을 짜서 바른다.]
[채취]
여름에 줄기와 뿌리를 함께 파내어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냄새는 향기롭고 맛은 약간 맵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심, 간, 위경에 들어간다. 
1,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2, <명의별록(名醫別錄)>: "독이 없다."
[복용법]
하루 4~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한 환을 만들어 먹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시 짓찧어 붙이거나 달이 물로 씻는다.
[효능]
진통하고 해수를 멎게하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위통, 치통, 풍습 동통, 월경통, 만성 기관지염, 복수, 수종, 이질, 장염, 타박상, 습진, 담마진, 독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1,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주로 고독(蠱毒: 주혈흡충, 양충:恙蟲, 아메바, 박테리아 등에 의한 악성 질환), 전염병, 사악기(邪惡氣), 온학(溫瘧: 학질=역병=온역=말라리아 등)을 치료한다. 악귀가 붙어서 달아나거나 슬퍼하고 소리쳐 울거나 항상 슬퍼하고 정신이 혼미한 증세를 치료한다."
2, <명의별록(名醫別錄)>: "원기를 북돋운다."
3, <생초약성비요(生草藥性備要)>: "술에 담가 복용하면 풍습을 제거한다."
4, <간이초약(簡易草藥)>: "타박상, 관절통과 근육통을 치료한다."
5, <영남채약록(嶺南採藥錄)>: "소아 복부 창만, 푸른 힘줄이 생기는 증상을 치료한다. 또 광견에 물린 상처를 치료한다."
6, <중국약식지(中國藥植誌)>: "일체의 사증(痧症) 및 복통, 위기통(胃氣痛), 식체, 곽란을 치료한다."
7, <남경민간약초(南京民間藥草)>: "전초를 술에 담가 약술을 입에 물고 있으면 치통을 치료할 수 있다."
8, <귀주민간방약집(貴州民間方藥集)>: "월경을 통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홍붕(紅崩: 자궁이상출혈), 백대하를 치료한다."
9,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원기를 붇돋우고 풍사를 몰아내며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하고 뱀독을 푼다."
10, <광주민간(廣州民間), 상용중초약수책(常用中草藥手冊)>: "풍을 제거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며 해독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며 경락을 덥히고 통하게 한다. 독사에 물린 상처, 풍습 골통, 심위기통(心胃氣痛), 타박상으로 붓고 아픈 증상, 대상포진, 강경변에 의한 복수, 월경 불순, 월경통을 치료한다."
11,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이뇨, 강장, 진정, 지통 작용이 있으며 구한(驅寒: 몸의 냉기나 찬기운을 없애는 것)하고 어혈을 제거하고 뱀에 물린 독을 풀고 경락을 통하게 하고 혈을 조화시킨다. 각기(脚氣), 수종(水腫), 복수(腹水), 창만(脹滿), 한성복통(寒性腹痛)을 치료한다. "
주의사항으로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주의해서 복용해야 한다. 
[성분]
전초는 약 1%의 paeonol을 함유한다.  또한 sarcostin, deacylcynanchogenin, tomentogenin과 deacylmetaplexigenin과 유사한 물질 및 acetic acid, cinnamic acid 등도 분리되었다. 뿌리는 flavonoid glycoside, carbohydrate, amino acids, phenol을 함유한다.
[약리작용]
mouse에 서장경 추출액(달여서 농축하고 알코올을 가하여 침전물을 제거한 것으로, paeonol을 함유하지 않는다)을 복강 주사하면 자발 활동이 현저하게 감소되나 barbital류의 수면 시간은 연장할 수 없었으며 진통 작용(열판법:熱板法)이 있었다. 토끼에게 정맥 주사하면 짧은 시간 동안 경련이 나타났다. 또한 상술한 제제는 개, 집토기와 rat의 혈압을 내릴 수 있으므로 서장경 paeonol 이외에도 강압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서장경은 정상인 동물의 심장 박동수를 감소시키고 원만하게 한다. 연속 7일간 투여했으나 토끼에게 뇌하수체 후엽 호르몬을 정맥에 점적한 후 일어난 심근의 급성 산소 결핍증성 심전도의 변화는 방지하지 못하였다. mouse에게 서장경을 투여하면 심근의 Rb86의 섭취량을 증가시킨다. in vitro에서는 적리균, 황색 포도상 구균등에 대하여 억제 작용이 있다. [중약대사전]
 

 


 
<2005/8/6 소목고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산해박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산해박(Pycnostelma paniculata {Bunge} Schumann.)
다른 이름: 백간초, 서장경
식물: 높이 50~6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가늘고 긴 버들잎 모양이며 마주 붙는다. 연한 노란색 꽃이 핀다. 
각지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뿌리(서장경, 죽엽세신): 가을에 캐어 물에 씻어서 말린다.
성분: 전초와 뿌리에 정유, 센 냄새가 있은 쿠마린, 흔적의 알칼로이드가 있다.
뿌리에는 1% 정도의 페오놀이 들어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뿌리를 신경계통 질병, 몸이 부은 데 쓴다. 이가 쑤실 때에 입가심하기도 한다.]
산해박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신경쇠약, 두통, 불면증, 건망증, 피로감, 불안감
산해박(서장경) 전초를 부드럽게 가루내어 꿀로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10-15g씩 하루 2번 먹는다.
임상자료: 두통, 불면증, 건망증, 피로감, 불안감 등의 증상을 호소하는 신경쇠약증 환자 300명을 위의 방법으로 치료한 결과 유효율이 94.1%였다. [고려의학 제 1권 496면]
2, 악주심통(惡疰心痛: 만성악질, 특히 결핵증에 의한 흉통)과 고민끝에 기절하여 죽을 듯한 증상의 치료
귀독우분(鬼督郵紛: 산해박 분말) 37.5그램, 안식향 37.5그램(술에 담가 부드럽게 갈아 찌꺼기를 버리고 약한 불에 달여서 고로 한것)으로 오동씨 크기의 환으로 만든다. 수시로 식초 끓인물로 한 번에 10알씩 복용한다. [태평성혜방(太平聖惠方)]
3, 요통, 위한기통, 간경변에 의한 복수의 치료
서장경 8~15그램을 달여서 복용한다. [중초약사방토법전비전집(中草藥士方土法戰備專輯)]
4, 복부 팽만의 치료
서장경 3돈을 달여 반 사발로 만들어 따뜻할 때 복용한다.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5, 치통의 치료
말린 산해박 20그램을 깨끗이 씻어 물 1,500밀리리터를 넣고 달여 500밀리리터로 바짝 졸인다. 또는 뿌리로 가루약을 만든다. 통증이 있을 때 먼저 약물로 1~2분 입을 헹군 다음 30밀리리터의 달인물을 복용한다.  가루약을 복용할 경우에는 한 번에 0.4~3.75그램씩 1일 2회 복용한다. [전전선편(全展選編), 구강질병(口腔疾病)]
6, 풍습통의 치료
서장경 30~37.5그램, 저정육(猪精肉) 150그램, 노주(老酒) 75그램에 적당히 물을 넣고 반 사발이 되게 달여 1일 2회 복용한다. [복건민간초약(福建民間草藥)]
7, 월경통의 치료
대엽연(大葉蓮: 산해박)뿌리 12그램, 월월홍(月月紅) 7.5그램, 천궁(川芎) 3.75그램을 잘게 썰어서 술 150그램에 담가서 복용한다. [귀양민간초약(貴陽民間草藥)]
8, 이질, 장염의 치료
이지초(痢止草: 산해박) 3.75~7.5그램을 달여서 하루 1첩 복용한다. [전전선편(全展選編), 전염병(傳染病)]
9, 정신분열(제곡:啼哭, 비상:悲傷, 황홀:恍惚)의 치료
서장경 18.75그램을 물에 담가서 차 대신 복용한다.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10, 피부 소양(搔癢: 가려움증)의 치료
적당량의 서장경 달인 물로 씻는다. [길림중초약(吉林中草藥)]
11, 대상포진, 접촉성 피부염, 완고성 담마진, 우피선의 치료
서장경7.5~15그램을 달여서 내복하고 더불어 환부를 씻는다. [중초약사방토법전비전집(中草藥士方土法戰備專輯)]
12, 타박상에 의한 종통의 치료와 접골
신선한 서장경 적당량을 짓찧어서 환부에 붙인다. [중초약사방토법전비전집(中草藥士方土法戰備專輯)]
13, 만성 기관지염의 치료
서장경 37.5그램을 탕제나 정제로 만들어 두 번에 나누어 복용하고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하였다. 54례의 치료에서 유효가 41례, 무효 13례였다. 일정한 소염, 거담, 지해, 천식 억제 작용이 있다.  단순형의 증상에 대한 효과는 비교적 양호했고 천식형에 대하여는 효과가 다소 떨어졌다. 어성초를 가하여 쓰면 치료 효과가 향상되었다. 일부 병례에서 복용 후 입과 목 안이 마르는 등 부작용이 있었다. [임상보고, 중약대사전]
14, 진통의 처방
서장경 100퍼센트 주사액을 만들어 1회 2~4밀리리터를 근육 주사하였다. 주사하고 보통 5~10분 후부터 진통 작용이 나타났고 2시간 가량 지속되었다. 장염, 담도회충증, 궤양병, 장회충증, 담낭염, 담석증, 담관 수술 후의 증후군 등으로 일어난 급성 복통을 치료한 47례 중 유효 35례, 무효 12례였다. 그밖에 혈위 주사에 의해 풍습성 동통을 치료할 수 있었다. [임상보고, 중약대사전]
15, 피부병의 치료
습진, 담마진, 접촉성 피부염 및 완선등에 모두 효과가 있다. 36례를 치료한 결과 치유 24례, 현효 8례, 무효 4례였다.
용법
서장경을 매회 7.5~15그램씩 달여서 복용한다. 또 환부를 씻어도 좋다. 또는 주사액, 팅크제 등을 만들어 응용할 수 있다. 이밖에 서장경을 내복하거나 외용하여 독사에 물린 상처, 대상포진을 치료할 수 있다. 금작근을 배합하여 만든 100퍼센트 주사액을 근육 주사하여 베체트 병 1례를 시험 치료한 결과 상당한 효과가 있었다. [임상보고, 중약대사전]
16, 멀미
[치료대상]
배멀미 54예, 기차멀미 24예, 자동차멀미 23예 모두 10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방법]
조성(組成)-별선종(別仙踪) 5g, 안식향산(安息香酸)나트륨 적당량, 한천(寒天) 적당량.
위의 약으로 묵을 만들어 한번에 7g씩 먹이는데 배멀미에는 배타기 4∼6시간 전에, 기차, 자동차멀미에는 30∼50분 전에 쓴다.
[치료결과]
치료결과(治療結果)는 배멀미 50명, 기차멀미 24명, 자동차멀리 20명이 나았으며, 완치율은 배멀미 92.5%였고, 기차멀미는 96%이며, 자동차멀미는 87%였다. 
멀미약 피폴렌의 1회량 0.025g을 복용하였는데, 배멀미, 38명, 기차멀미 18명, 자동차멀미 16명이 나았으며, 완치율은 배멀미 70%, 기차멀미 72%, 자동차멀미 69.6%였다. 이와 같이 동약(東藥)치료조에서 효과가 높았다. [동의치료경험-내과편, 1991]
17, 산후증(산후풍, 산후통)
산해박 분말로 산후증을 치료하였다. 
[치료대상]
산후증(産後症) 환자 1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방법]
산해박을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물로 깨끗이 씻어 말린 다음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2∼4g씩 하루 3번 따뜻한 물 또는 술에 타서 공복(空腹)에 먹인다. 보통 30∼45일 동안 치료하였다.
[치료결과]
이명(耳鳴), 목이 뻣뻣한 감, 악몽(惡夢), 수면장애(睡眠障碍)와 현훈증(眩暈症)은 80% 이상 나았다. 바람이 들어오는 감과 찬 감, 여러 가지 통증(痛症)이 60% 이상 나았다. 종합결과를 보면 나은 환자 1예(7.2%), 좋아진 환자 12예(85.7%), 변화없는 환자 1예였다. [동의치료경험-외과편, 1994]
산해박에 대해서 중국의 <당본초(唐本草)>에서는 말하기를 "서장경은 잎이 버드나무와 비슷하고 양쪽 잎은 마주보고 있다. 반들반들하며 곳곳의 강, 못가에서 자란다. 뿌리는 세신(細辛: 족두리풀)과 비슷하나 조금 굵고 길며 비린내가 난다. 오늘날은 귀독우(鬼督郵: 천마) 대신 쓰고 있으나 이는 올바르지 않다."고 적고 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명의별록(名醫別錄)의 유명말용(有名末用)항의 석하장경(石下長卿) 조목에 다시 등장하는데 일명을 서장경(徐長卿)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도홍경(陶弘景)은 주해에서 이것은 틀린 것이며 전문가는 쓰지 않으므로 알지 못한다고 하였다. 지금 이 두 조목의 효능을 고찰하여 보면 상이하다. 오보본초(吳普本草)에 따르면 서장경은 일명 석하장경(石下長卿)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으로 보면 이 두 가지는 동일한 것임이 분명하다. 약효는 돌 사이에서 자란 것이 좋다. 선인들이 상세하게 조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류가 생긴 것이다. 귀독우(鬼督郵: 천마)와 급기(及己: 홀아비꽃대)는 두형(杜衡=토세신:土細辛=Asarum forvesii Maxim=중국에서 자라는 세신의 한종류)과 혼동되는데 싹은 다르지만 그 효능은 동일하다. 두형(杜衡)은 세신(細辛)과 혼동되고 있는데 그 뿌리와 싹의 효능이 유사하다. 근래에 와서는 매우 혼동되고 있는데 반드시 상세하게 조사해야 한다. 포박자(抱朴子)에 의하면 상고 시대에는 온역(溫疫)을 예방하는데 서장경산(徐長卿散)이 효과가 좋았지만 지금 사람들은 그것을 쓸 줄 모른다고 기재되어 있다."라고 전한다.

 
 

 

 [산해박 재배방법]

 

1, 기후와 토양
기후에 대한 적응성이 비교적 강하다. 토양은 부식 질토 또는 비옥하고 흙층이 두껍고 배수가 잘되는 사질 토양이 좋다.
2, 번식
종자 번식과 분주(分株) 번식을 한다.
① 종자 번식: 중국의 사천 지역에서는 2~3월에 파종한다. 너비 1.3m의 높은 두둑을 짓고 부식된 퇴비 가루를 뿌리는 동시에 사람과 가축의 분뇨를 주고 1아르당 종자 1,500g을 사용하여 사람과 가축의 분뇨를 섞은 초목재와 함께 섞어서 두둑에 고루 뿌린 다음 다시 초목재를 한 층 덮는다. 그 위에 다시 풀을 덮고 발아하면 풀을 제거한다. 1~2년 자란 후 겨울에 모의 정상 부분이 마르기 시작하면서부터 봄에 싹이 트기 전에 이식한다. 이랑 사이의 거리와 포기 사이의 거리를 각각 22~26cm으로 하여 한 구멍당 2포기를 이식하고 회석한 분뇨를 주어 뿌리가 정착되게 한다.
② 분주(分株) 번식: 겨울에 수확 시 전초를 파내어 너무 긴 수염뿌리는 절단하여 약용으로 쓰고 길이가 5cm 정도 되게 뿌리를 남긴다. 싹이 나는 수에 따라 뿌리줄기를 잘라 몇포기로 나누되 한 포기당 싹이 1~2개가 되게 한다. 재배 방법은 육모 이식과 같다.
3, 경작 관리
발아 후에는 물주기에 주의한다.  모가 다 나온 후에는 김매기에 신경을 쓴다. 모의 높이가 3~6cm로 되면 덧거름을 한 번 주고 다시 3번 덧거름을 준다. 비료는 사람과 가축의 분뇨를 주로 쓴다. 이식 후에는 해마다 사이갈이와 김매기를 세번 한다. 매번 사이갈이와 김매기 후에는 덧거름을 준다. 봄과 여름에는 인축분뇨를 주고 겨울에는 퇴비나 부식 질토를 뿌리 밑에 준다.
4, 병충해 방지
병해로는 뿌리의 부패병이 있으며 배수에 주의하고 땅을 성글게 하여 병을 예방한다. 충해로는 진디와 노린재가 있는데 6%의 습성 BHC나 dimethoate로 예방, 퇴치한다.  
산해박은 줄기가 곧게 서고 잎이나 줄기도 가늘어 여위어 보인다. 뿌리도 캐어 보면 그다지 많지 않다. 발견하기도 쉽지 않아 특별히 필요한 분에게만 소량을 예약 주문받아 채취할 수 있다.

 

 

백미속(Cynanchum) 15종
가는털백미 ( Cynanchum chinense R.Brown)
검은솜아마존 (Cynanchum amplexicaule for. castaneum Ohwi)
덩굴민백미꽃 (Cynanchum japonicum Morr. & Decne.)
덩굴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Matsum.)
민백미꽃 (Cynanchum ascyrifolium (Franch. & Sav.) Matsum.)
백미꽃 (Cynanchum atratum Bunge)
산해박 (Cynanchum paniculatum (Bunge) Kitag.)
선백미꽃 (Cynanchum inamoenum (Maxim.) Loes.)
세포큰조롱 (Cynanchum volubile (Maxim.) Hemsl.)
솜아마존 (Cynanchum amplexicaule (Siebold & Zucc.) Hemsl.)
양반풀 (Cynanchum sibiricum (L.) R.Br.)
자주박주가리 (Cynanchum purpureum (Pall.) K.Schum.)
큰조롱 (Cynanchum wilfordii (Maxim.) Hemsl.)
푸른백미꽃 (Cynanchum atratum for. viridescens Ohwi)
흑박주가리 (Cynanchum nipponicum var. glabrum (Nakai) H.Hara)

'식물 > 야생화-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느러미엉겅퀴  (0) 2005.07.11
단풍마-용추계곡  (0) 2005.06.23
비수리  (0) 2005.06.14
도깨비사초  (0) 2005.06.14
옥녀꽃대  (0) 2005.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