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책과 기록 252

두륜산 대흥사

『두륜산 대흥사』는 「한국의 명찰 시리즈 7」로 2011년 7월에 活불교문화단에서 제작하고 (재)대한불교진흥원에서 발간한 것으로 발행인은 민병천이다.  『대흥사』는 서산대사의 유품을 봉안하고 밀양의 표충사表忠寺처럼 그를 기리는 표충사表忠祠를 지은 호국도량의 절집으로 이름이 높으며, 특히 『일본표해록』지은 풍계현정楓溪賢正이 온갖 고난으로 가져온 천불전의 천불상 이야기가 신비롭게 다가오는 절이다. 책의 권두에 민병천의 「‘한국의 명찰’ 시리즈를 펴내며」를 붙였고 차례를 기록했다.  책은 떡제본으로 가로 153cm, 세로 217cm이며 293p이다. 이 책은 2024년 6월, 합포구의 영록서점에서 6천원에 구입했다.

원본현토 통감주해 1권

『原本懸吐 通鑑註解 一券, 원본현토 통감주해 1권』은 사마온司馬溫[사마광司馬光(1019~1086)]의 자치통감資治通鑑을 이해하기 쉽도록 해석을 붙여 편집한 책이다.  『通鑑註解』는 위열왕威烈王(주나라의 32대 왕 희오姬午)이 한건, 조적, 위사를 삼가분진三家分晋이라는 제도의 제후로 책봉하면서 춘추시대를 종식하고 전국시대로 돌입하게 된 이후를 기록한 책이다. 『原本懸吐 通鑑註解 一券, 원본현토 통감주해 1권』은 1988년 6월에 서울 종로에 있는 명문당에서 중판한 것으로 김성원金星元이 교열하고 김동구가 발행했다.  책의 권두에 「歷代帝王傳授總圖 역대제왕전수총도」를 붙이고, 범례를 실었으며 통감通鑑을 한글로 해석해 발간했다.  책은 떡제본으로 가로 149cm, 세로 210cm이며, 96p이다. 이 책은 20..

향내 유림과 지도층의 요람 2021

『傳統文化 繼承을 위한 鄕內 儒林과 指導層의 要覽 2021』은 2021년 7월 합천향교 전교 허석기가 발행하고 편집은 총무장의 김태구가 했으며 세기사가 인쇄해 간행한 책이다. 권두에 공부자孔夫子 성상聖象과 합천향교 건물 및 상량문, 중수기 등의 현판을 싣고 허석기 전교의 책을 간행한 사유를 실었으며, 목차를 붙였다.  책은 떡제본으로 가로 191cm, 세로 230cm이며, 373p이다. 이 책은 2024년 3월 31일에 합천향교 황덕용 전교의 배려로 소장하게 됐다.

고운 최치원 가야산 신선이 되다

『고운 최치원 가야산 신선이 되다』는 2015년 12월에 합천문화원 부설 향토사연구소 발행하고 역은이는 이병생, 감수 윤한무, 발행인 전정석이 제작한 책이다. 권두에 합천문화원 전정석 원장의 발간사를 붙였고, 향토사연구소장 이병생의 ‘책머리에’를 붙인 후 ‘최치원 선생의 생애’와 ‘가야산 내 발자취’ ‘문헌설화’, ‘지역의 전설’, ‘시’, ‘경학대장’, ‘난량비서문’, ‘기문’ 등을 실었다. 책은 떡제본으로 크기는 가로 189cm, 세로 259cm이며 272p이다. 이 책은 2024년 3월 합천문화원의 배려로 소장하게 됐다.

합천의 문화유적 文化遺蹟

『陜川의 文化遺蹟』은 2000년 12월 합천문화원 권병석權丙錫 원장이 발행하고 유영기柳泳基 사무국장이 편집을 했으며 교육사가 인쇄 간행한 책이다. 권두에 권병석權丙錫 원장의 발간사를 붙였으며, 합천군수 강석정과 의장 이민택의 축간사를 싣고 문화제 현황을 붙이고 목차를 넣었다. 말미에 편집 후기가 실려있다. 책은 떡제본으로 모두 컬러판이고 크기는 가로 211cm, 세로 296cm이며 165p이다. 이 책은 2024년 3월 합천문화원의 배려로 소장하고 있다.

합천의 정려 陜川旌閭

『陜川의 旌閭』는 2013년 12월 합천문화원을 발행처로 차판암車判岩 원장을 발행인으로 하여 편집위원 윤한무尹漢武 외 4명이며 세기사에서 간행했다. 권두에 차판암車判岩 원장의 발간사를 붙이고, 「합천의 정려 기준」을 싣고 각 면단위로 목차를 붙였으며 말미에 윤한무尹漢武 향토사연구소장의 편집후기를 달았다. 책은 떡제본으로 크기는 가로 190cm, 세로 260cm이며 544p이다. 이 책은 2020년 5월에 합천문화원의 배려로 소장하게 됐다.

陜川神道碑 합천신도비

『陜川神道碑 합천신도비』는 2010년 2월 합천문화원을 발행처로 차판암車判岩 원장을 발행인으로 하여 편집위원은 한두석韓斗錫 외 3명이며 세기사에서 간행했다. 권두에 차판암車判岩 원장의 발간사를 붙이고, 합천군수와 김영수金英洙 유림회장의 축간사를 실었으며, 「신도비神道碑 란」이라는 신도비神道碑가 무엇인지 설명과 함께 비석사진, 내용요약, 원문, 번역문을 순서대로 실었다는 해설을 했다. 부록으로 관직官職을 설명하고 상식적 용어들을 해설해 두어 이후 조선시대의 관직에 대한 이해를 돕게 했다. 책은 떡제본으로 크기는 가로 190cm, 세로 260cm이며 137p이다. 이 책은 2022년 6월 합천문화원에서 택배로 보내 주어 소장하게 됐으며 택배비는 4500원이다.

합천문인록 陜川文人錄

『陜川文人錄 합천문인록』는 2013년 3월 발행처와 발행인을 차판암車判岩 합천문화원장으로 하고, 편집처는 합천문화원부설향토사학회 허종만許宗萬 회장 외 3명이며, 세기사에서 간행한 책이다. 책의 권두에 차판암車判岩 합천문화원장의 발간사가 있고 향토사학회 허종만 회장의 ‘발간에 즈음하여’를 붙인 후 목차를 붙였는데, 가나다 순으로 문인文人의 이름을 실었다. 강씨 9명 중 8명의 이름은 우리집 족보에 직계와 방계로 나오는 분들로 진천군 중시조 강위상姜渭祥, 화재공和齋公 강인수姜仁壽, 당암공戇庵公 강익문姜翼文(1568~1648), 구주공鷗洲公 강대적姜大適(1594~1678) 등은 직계이고 한사공寒沙公 강대수姜大遂(1591~1658), 경호공鏡湖公 강대연姜大延(1606-1655) 형제는 강익문姜翼文의 첫째와 막내..

합천의 입향조 入鄕祖

『합천의 입향조』는 2013년 3월 합천문화원을 발행처로 하여 발행인은 차판암車判岩 합천문화원장이고, 편집인은 이성동李星銅 외 4명이 했으며, 세기사에서 간행한 책이다. 권두에 차판암車判岩 합천문화원장의 발간사가 있고, 책에 싣는 ‘입향조 기준’를 붙였으며, 합천을 본으로 하는 득성조得姓祖를 먼저 넣고, 관향으로 하는 성은 가나다 순으로 실었다. 책은 떡제본으로 크기는 가로 190cm, 세로 260cm이며 195p이다. 이 책은 2024년 3월 합천문화원의 배려로 소장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본 합천 지명

『조선왕조실록에서 본 합천 지명』은 2014년 12월에 발행처를 합천문화원으로 하고 발행인 차판암 문화원장, 편저자 이재형, 편집인 이성동·윤한무, 새기사가 인쇄해 간행했다. 표지에 「시명지보施命之寶」의 직인을 넣고 권두에 합천문화원장차판암의 발간사와 향토사연구소 국정菊亭 이재형李在珩의 서언序言을 붙였다. 목차는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지리지, 부록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 연려실기술, 택리지, 문헌에서 찾은 합천·초계·삼가의 지명 수, 실록 연대일람표를 붙이고 편집후기를 달았다. 책은 떡제본으로 크기는 가로 182cm, 세로 255cm이며 416p이다. 이 책은 2024년 3월 합천문화원의 배려로 소장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