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책과 기록 249

경전선 폐역을 가다

『경전선 폐역을 가다』는 지은이가 조현근 시각 디자이너이고, 발행을 김성곤이 했으며, 2023년 11월 화인디앤피에서 간행한 책이다. 책의 시작은 경부선과 경전선이 분리되는 삼랑진역에서 출발하여 낙동강역, 한림역, 구진영역, 덕산역, 창원역, 마산역, 구마산역, 신마산역, 북마산역, 중리역, 산인역, 구함안역, 구군북역, 원북역까지 15개 역의 이야기와 기차선로가 완성되면서 새롭게 만들어지는 문화와 생물의 이동 등 생각하지도 못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운송수단의 발전은 식민지의 자원을 빼앗기 위해 발전하고 도로의 발전은 많이, 빨리 자원을 이동하려는 목적으로 발전하는데 철도는 자원 수탈이 핵심이다. 1905년 만들어진 경전선은 경상도와 전라도를 이어주는 횡단열차로 서울 중심이 아닌 변방의 길에서발생한 인..

德川書院誌 덕천서원지

『德川書院誌 덕천서원지』는 2017년 10월 남명 선생의 정신을 계승해 산청의 덕천서원德川書院과 합천의 용암서원龍巖書院 및 김해의 신산서원新山書院 등 세 서원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그 내용을 수습 정리하여 이창호가 번역하고, 김경수가 엮었으며, 덕천서원德川書院·용암서원龍巖書院·신산서원新山書院 편찬위원회가 펴내고 그로벌콘텐츠출판그룹에서 간행한 책이다. 권두에 남명선생 표준영정, 산천재, 남명기념관, 덕천서원의 전경을 담고, 숭덕사崇德祠, 덕천서원德川書院, 경의당敬義堂, 외·내삼문, 세심정洗心亭 등의 사진을 붙였으며, 덕천서원 조순趙淳(1913~1983) 원장, 허기도 산청군수의 발간사와 강석진 국회의원의 축간사를 부쳤다. 엮은이 김경수의 「남명 선생과 수우당 선생의 생애와 학덕」이라는 글을 붙이고, 일러두..

國譯 甁齋先生文集 국역 병재선생문집

『國譯 甁齋先生文集 국역 병재선생문집』은 조선 전기 문신 병재甁齋 박하징朴河澄(1483~1556)의 시문을 모아 1871년 목판본 4권 단책單冊 문집으로 발간한 것을 2006년 4월 청도군 밀양박씨병재공파종중 명동서사明洞書社를 발행처로 하여 발간위원회장 박영태朴永台외 위원 9명, 간사 2명이 발행하고, 박홍갑朴洪甲이 번역, 노상복盧相福이 감수했으며, 대보사에서 간행한 책이다. 권두에 명동서사明洞書社, 병재선생甁齋先生 묘소, 위유정爲有亭과 교지敎旨, 문집목판, 경도재景陶齋, 상원재尙遠齋의 사진을 실었고, 주손胄孫 박희일의 발간사를 붙였으며, 일러두기, 목차를 붙인 후 운산雲山 이휘재李彙載(1795~1875), 성재性齋 허전許傳(1797~1886)의 서序를 부쳤고 계당溪堂 유주목柳疇睦(1813~1872)의 ..

國譯 荷西全集 국역 하서전집

『國譯 荷西全集 국역 하서전집』은 「통영문화원총서 제9집」으로 2003년 2월에 조선 후기의 통영출신 하서荷西 고영진高英鎭(1783~1845)의 시문을 김상조金尙祚가 번역하고 통영문화원에서 발행했으며, 제일종합인쇄사에서 간행했다. 권두에 하서荷西 고영진高英鎭(1783~1845)의 원문과 묘지 사진을 붙이고, 목차를 넣은 후 통영문화원장 김세윤金世允의 발간사를 부쳤다. 『荷西全集』 원문의 서序는 1820년 하서荷西 스스로 부쳤고, 1823년 동성東城 이장한李章漢의 『荷西全集序』를 붙였으며, 말미에 「역자譯者의 변辯」을 실었다. 「역자譯者의 변辯」에서 “하서집(荷西集)은 제1권부터 제6권까지로 나뉘어져 있고, 그 내용은 제1권부터 제3권까지는 운문韻文 즉 시詩요, 제4권부터 제6권까지는 산문散文 즉 서書로서..

南華經 坤 남화경 곤

『南華經 남화경』은 ≪남화진경 南華眞經≫ 또는 ≪장자남화경 莊子南華經≫이라고도 한다. 원래 이름은 ≪장자 莊子≫였으나 당나라 현종玄宗이 천보天寶 원년(742)에 존경하고 숭상한다는 뜻으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때 장주莊周에게도 남화진인南華眞人이라는 존호尊號가 붙여졌다. 『南華經 坤』은 1993년 12월 『南華經 乾·坤』 2책으로 홍재곤洪載坤이 발행하고 학민문화사가 발간한 한문으로 된 영인본으로 권두에 목차를 인쇄해 두었다. 책은 양장본으로 크기는 가로 192cm, 세로 262cm이며, 488p이다. 목차는 남화경주해산보권지사·오·육南華經註解删補卷之四·五·六과 부록으로 꾸며져 있다. 이 책은 헌책방에서 구입해 소장하고 있는데 어디에서 사고, 얼마에 샀는지 기억은 없다. 이 책을 구입할 당시 1858년 간행..

석견루시초 石見樓詩鈔

『석견루시초 石見樓詩鈔』는 조선 후기 시단의 황금기에 활동했던 시詩와 산문散文 360여 편을 남긴 석견루石見樓 이복현李復鉉(1767∼1853)의 시문을 그 증손자인 이세보李世輔(1832~1895)가 1857년 연행燕行 길에 중국에서 목활자로 간행하여 들여온 책으로 2019년 3월 조창록, 이성민, 김채식, 이상아 등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이 번역한 것을 안대희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가 감수하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가 편집·발간한 책이다. 권두에 ‘일러두기’와 ‘석견루 이복현의 시 세계’란 제목으로 안대희 교수의 해제를 부쳤고, 원문과 번역을 붙인 『石見樓詩鈔』 서序와 목차를 붙이고 말미에 발문跋文을 실었다. 책은 양장본으로 크기는 가로 155cm, 세로 230cm이며 610p이다. 이 책은 정보사..

朱書百選·雅頌 주서백선·아송

『朱書百選·雅頌』은 2000년 12월 규장각자료총서奎章閣資料叢書 유학편儒學篇으로 발행처는 거울대학교규장각이며, 발행인은 정옥자鄭玉子이고, 서울경인쇄공업현동조합에서 발간한 영인본이다. 권두에 정옥자鄭玉子 서울대학교 규장각 관장의 발간사가 있고, 어정주서백선御定朱書百選의 1권표지 원본 사진과 아송雅頌 1권 원본 사진을 붙였고 정조正祖의 주자서 간행 목적과 경위, 주자朱子의 시선집詩選集 아송雅頌의 편찬 목적과 간행 경위를 담은 해제를 부쳤다. 책은 양장본으로 크기는 가로 cm, 세로 cm이며, p이다. 이책은 2023년 1월 꾸제북에서 4만원에 구입해 소장하고 있다. 『朱書百選』은 조선후기 제22대 왕 정조가 주희의 편지 중에서 가장 요긴한 내용 100편을 뽑아 1794년에 간행한 서간집으로 6권 3책. 활자..

가야산 유산록 伽倻山 遊山錄

『가야산 유산록』은 탁영濯纓 김일손金馹孫(1464~1498)의 가야산해인사조현당기伽倻山海印寺釣賢堂記를 비롯해 옛 선인 31인의 가야산 유람기를 실었으며, 최치원崔致遠을 비롯해 20명의 가야산유산시伽倻山遊山詩를 담고 있다. 『가야산 유산록』을 2019년 12월 발행한 곳은 상주문화원이고 번역을 한 이는 정병호이며, 사진은 가야산국립공원 관리사무소이며 비엘컴에서 간행했다. 권두에 이창길 성주문화원장의 간행사를 붙이고 이병환 성주군수의 발간사와 구교강 의장의 축사를 부쳤다. 목차 다음에 역주자 정병호의 해제를 실었다. 책은 양장본으로 크기는 가로 195cm, 세로 266cm이며 233p이다. 이 잭은 2022년 5월 성주문화원의 배려로 소장하게 됐다.

해평열녀제와 우럭개 매구

『해평열녀제와 우럭개 매구』는 통영 마을굿과 동제洞祭 사진집으로 2021년 12월 통영문화원이 발행하고 김일용 원장이 집필하였으며, 도서출판 제일에서 간행했다. 권두에 김일용 통영문화원장의 발간사를 붙이고, 목차를 실었다. 1932년 세운 ‘고해평열녀기실비’와 ‘해평열녀사당’, ‘해평열녀 화상’, 1916년 이병욱李炳勖이 지은 천서각시병서天書閣詩幷序의 편액, 1938년 이종언李鍾彦이 기록한 사당중건기祠堂重建記, 제수차림 등의 사진을 실었다. 또한 마을 사람들과 해평열녀각보존회 사람들을 만나 채록을한 기록을 담았다. 다만 천서각시병서天書閣詩幷序와 사당중건기祠堂重建記를 해석하지 않고 편액의 사진만 기록해 아쉬움이 있다. 『우럭개[右浦] 매구』 편은 매구에 대한 설명과 함께 우포마을(우럭개) 사람들이 행하는 ..

국역 추봉문집

『국역 추봉문집』은 2021년 05월 24일 초판 발행을 하며, 발행처를 추봉문집 국역편찬위원회가 맡고, 발행인 남문현, 편집인 남주현, 번역은 윤한택 문학박사가 했으며, 경인문화사가 발간했다. 권두에 추봉 남승우 선생의 영정影幀과 추봉서실 사진을 실었고, 손자 남문현의 발간사와 윤한택 박사의 해제를 부쳤으며, 추봉秋峯 선생의 연보를 붙이고 말미에 영인본을 실었다. 아래에는 「세계의 문학 순례」에서 『국역 추봉문집』을 소개한 내용을 옮겨 둔다. 『추봉집(秋峯集)』은 10권 5책으로 되어 있고, 별도로 『추봉속집(秋峯續集)』 2권 1책이 있다. 『추봉집(秋峯集)』에는 시 246편, 서 64편, 잡저 14편, 서문 45편, 기록문 39편, 발문 23편, 명문 17편, 잠언 7편, 사 9편, 상량문 23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