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문화재 여행

용이 낙동강에 머문다는 가야진사(경상남도 민속자료 제7호)

천부인권 2014. 3. 25. 08:18

 

 

<원동 순매원에서 바라본 가야진사 풍경>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 616-1에 가면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되어 가야진 용신제를 지내고 있는, 민속자료 제7호로 지정된 가야진사(伽倻津祠)’가 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는 신라초기부터 전해오는 국가적 제사의식의 하나로, 신라 제2대 남해왕이 즉위한 3월에 시조대왕 혁거세의 묘당을 세워 친누이 아노로 하여금 용신제를 지내게 한 것이 시초라 한다. 매년 55일에는 이곳 제단에서 가야진용신제를 올리고 있다.

 

 

 

 

가야진사 안내문에는 이렇게 적고 있다.

 

가야진사(伽倻津祠)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7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 616-1

 

황산강(黃山江) 상류인 이 곳은 눌지왕(눌지왕, 재위 417~458) , 신라가 강을 건너 가야를 정벌하기 위해 배를 대고 왕래하던 나룻터가 있던 곳으로 일명 옥지주(玉池州)라고도 불렀다. 이곳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낙동강(洛東江)을 통한 순조로운 뱃길과 강의 범람을 막기 위해 제사를 지내왔던 곳이다. 현재의 사당은 1406(태종6)년에 지은 것이라고 전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이곳은 지금의 한강과 금강, 포항의 곡천강 등과 함께 신라가 국가의 주요 4대 강에 제사하였던 사독(四瀆)’의 하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도 4독의 하나로 받들어졌다. 그리하여 나라에서는 매년 향축(香祝)과 칙사(勅使)를 보내어 국가의식(國家儀式)으로 이곳에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오늘날에도 매년 마을 사람들은 이곳에 제사를 지내고 홍수로부터 마을을 지켜 줄 것을 기원하고 있으며, 가뭄이 심할 때는 비를 내려 줄 것을 기원하는 기우제(祈雨祭)를 지내기도 한다.

사당은 정면 1, 측면 1칸의 맞배지붕의 단촐한 구조이다. 사당 안에는 제상(祭床)과 함께 그 위에는 머리 셋을 가진 룡()이 걸려있다. 룡은 물을 다스리는 신이다. 풍수지리적으로 볼 때 이곳 사당이 자리 잡은 자리는 뒤쪽의 천태산(天台山)과 강 건너 용산(龍山)을 잇는 중간 위치로서 소위 땅의 기운이 모이는 지점이라고 한다.

 

 

 

 

가야진사 건물과 현대 건물사이에서 옛 건물터가 발견되어 이렇게 자갈을 깔아 두었다고 한다.

 

 

 

 

가야진사는 총 4동의 건물로 구성이 되어 있고, 외삼문 앞에는 낙동강을 향하여 제단이 마련 되어 있다. 이곳은 낙동강이 범람하면 물이 들지 않도록 땅을 다른 곳보다 올렸다고 한다.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19호인 '가야진용신제'가 이루어 지는 제단은 동서남북에 각각 홍살문이 세워져 있고 제단을 오르는 계단도 마련 되어 있다. 예전에는 사당에서 제를 지냈지만 지금은 이 천제단(天祭壇)에서 제를 지낸다고 함다.

 

 

 

 

용이 살고 있다는 용소가 맞은편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 앞인데 낙동강으로 들어온 용산(龍山)이 절벽으로 되어있다.

 

 

 

 

가야진사 외삼문에는 상경문(尙敬門)이라는 글과 함께 '계유국추절(癸酉菊秋節) 성병달근서(成炳達謹書)'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외삼문을 들어서면 정면3칸 측면 2칸인 맞배비붕을 한 용산재(龍山齋)가 나온다.

 

 

 

 

용산재의 뒤편 일직선 상에 내삼문이 있다.

 

 

 

 

내삼문을 들어서면 정면, 측면 각각 한칸인 단촐한 사당이 나오는데 사당의 현판에는 가야진사(伽倻津祠)라 적혀있다.

 

 

 

 

가야진사(伽倻津祠)’ 사당 안에는 가야진지신(伽倻津之神)이라는 위폐가 있고, 뒤 벽면에는 낙동강에서 가장 깊다는 용소를 배경으로 두 마리의 청룡과 한 마리의 황룡이 엉켜 있는 양각으로 조각된 편액이 걸려 있다. 청룡은 암컷이고 황룡은 수컷으로 청룡 중 한 마리는 첩용이라고 한다. 지금 우리들 삶에도 첩이 끼이면 여인들의 한이 시작 되고 첩으로 인한 문제들이 생겨나기 마련인데, 황용에게 첩까지 있으니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고 그래서 전설은 시작 된다.

 

 

 

위패에는 가야진지신(伽倻津之神)이라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