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비판.정려각.마애비

동읍 금산리 강씨부인 효열문

천부인권 2016. 10. 31. 13:00

2016.10.26.  동읍 금산리 강씨부인 효열문

의창구 동읍 금산리 산 41-8에는 東邑 琴山里 孝烈門(동읍 금산이 효열문)”이 자리하고 있는데 동읍 금동마을 버스정류소에서 봉강리 방향으로 약 650m를 가면 우측 산으로 가는 도로가 나온다. 이곳에서 산 쪽으로 가는 농로를 따라 약 70m가면 비석 2기가 서 있는 효열문이 있다. 이 효열문은 방형의 블록담장으로 되어 있고 입구는 양쪽에 판석을 세우고 위에는 가첨석을 얻었으며 가첨석 아래에 오석으로 孝烈門(효열문)’이라 새기고 철재 문을 달았다. 블록담장 안에는 2기의 비석이 서있다. 2기의 비석은 모두 1984년 갑자년에 세운 것으로 비대 위의 이수부분은 두 마리의 용이 엉켜있는 모습을 새겼다. 2기의 비는 크기나 형태가 동일한 모습이다. 효열문에서 앞을 바라보면 주남호 중 산남지가 펼쳐져 있다.

 

2016.10.26 효열각과 비석 2기

 

判下 禮曹 回啓
禮曹 啓言 慶尙監司 鄭昌順 因 昌原 幼學 金瑛 等上言以 昌原 故學生 陳興銀 妻姜氏烈行査啓以爲姜氏殉夫之節 可謂卓絕棹楔之旌 雖不可輕議復戶之給 足可謂激勸云矣 道臣 所請雖在給復旌閭之典不宜靳惜從之

[해문]
예조의 회계(回啓)에 대해 판하(判下)하였다.
“경상 감사 정창순(鄭昌順)이 창원(昌原)의 유학(幼學) 김영(金瑛) 등의 상언(上言)으로 인하여 창원의 고(故) 학생(學生) 진흥은(陳興銀)의 처 강씨(姜氏)의 열행(烈行)을 조사하여 아뢰기를, ‘강씨가 남편을 위해 순절한 일은 매우 탁월하다고 할 수 있으니, 정려(旌閭)하는 것은 가볍게 의논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복호(復戶)를 해 준다면 격려하고 권면해 주었다고 하기에 충분할 것입니다.’ 하였습니다. 도신은 급복(給復)을 청했지만 정려의 은전을 아껴서는 안 될 것입니다.” 하였는데, 그대로 따랐다.
일성록  정조10(1786년8월10일)병오경술

 

정면에서 보는 열행비와 효행비 모습

 

 

뒤쪽에서 본 모습 주남호의 산남지와 합산패총이 보인다

 

2016.10.26 유인진양강씨열행비(孺人晉陽姜氏烈行碑)

좌측의 비는 전면에 "孺人晉陽姜氏烈行碑(유인진양강씨열행비)"라 새겼으며물와(勿窩) 김상욱(金相頊)이 찬했다. 우측의 “유인연일정씨효행비(孺人延日鄭氏孝行碑)”는 완산 최병돈( 崔秉敦 )이 삼가 기문을 지었다.  이 2기의 비석은 1984년에 후손들이 세웠다. 이 비의 내용을 살펴보니 陳興銀(진흥은)의 처 진양강씨의 열행을 기려 1786(정조 10)에 정려한 효열문이다.

강씨 부인은 평소에 시부모를 극진히 섬겨 효부로 칭송이 자자했다. 어느 날 남편이 병을 얻어 위급한 지경이 되자 백방으로 수소문해 약을 구해 먹이고 간호하였으나 차도가 없었다. 남편을 살려 달라고 정성을 다해 하늘에다 빌기도 하고 심지어는 斷指注血(단지주혈)로 수일간의 생명을 연장하기도 했지만 결국 남편은 숨을 거두었다. 강씨 부인은 모든 예를 갖추어 남편 장례를 준비하고 나서 남편의 장사 날 자신도 약을 먹고 스스로 自死(자사) 했다. 향인들은 부인의 열행에 감복하여 부부를 합장했다.는 이야기이다.

 

유인진양강씨열행비의 뒷면

烈婦姜氏㫌閭重修記
有天地而后有夫婦 有夫婦而后 有父子兄弟 夫婦生民之始 人倫之本 故詩之關雎 易之乾坤 禮之冠昏 皆愼始敬終 而厚夫婦之別也 於人道可謂大矣 然夫婦以義合者 故先生制禮 有七去之訓 無再嫁之禁 而特言其烈女 則其卓異之行 不過乎不更二夫而已 惟我東國 自箕聖朝以來 禮義敎民成俗 雖鄕曲匹婦 能知廉恥 雖靑孀無依之人 往往有守節者 人亦視之尋常 特以殉身下從者爲烈女 㫌表其門閭如士人陳某之妻姜氏是也 姜氏籍晉陽 性貞靜純一 溫良慈惠 家甚貧窶 以紡織爲資活 事舅姑盡其滋味 奉夫子致其禮皃 其持心制行 有女士之則 宗黨鄕里 無不欽歎 咸曰陳之門將昌大矣 不幸甲辰 其夫遘難治之疾 誠心調護無所不盡 及夫屬纊 斷指灌血 賴以得甦三日 而竟不起烈婦擧一哀 而止襲斂之具 手自針縫 以乳孩慰舅姑甚寬 抑家人知其意 常覘之動靜 少無幾微色 數月后乳孤見失 又無難色及其葬夫之日 饋奠之需 務盡精㓗 招役夫善爲護喪 出門外再拜而送 就其寢房 奄忽自决 家人不得救 更卜日同穴 時烈婦齡二十三 嗚乎烈哉 從夫矢死之心 已决於夫死之日 而苟延至此者 爲一點血肉 將爲夫嗣故也古人云 慷慨 殺身易 從容就死難 雖丈夫猶不能死於死所 况閭巷匹婦 能容易爲之乎 人之所欲 莫甚於生 所惡莫甚於死 而惟姜氏視死如鴻毛 何其偉也 何其盛也 越翌年乙巳 鄕人感其烈 以事聞于朝 又翼年丙午 蒙表宅之典 丹靑照耀槐柳成陰 行路之過其門者 無不指點欽慕 則其英風毅烈 將不泯於千載之下矣 中間爲風雨所傾 圮 前庚申其旁孫 某修葺之后丁未 其子斗榮 又修葺之此亦難矣哉 其父子以旁裔 無勢力而百方周旋 能衆人所不能 宜其爲烈婦家中人也 斗榮抱烈婦行蹟 懇請重修記 余辭之不獲 畧據本文之可徵者 而爲之記
丁未重陽月日 尙山 金相頊記

 

열부강씨정려중수기(烈婦姜氏旌閭重修記)
하늘과 땅이 생긴 이래로 부부가 있게 되었고 부부가 있게 된 이후에 부자(父子)와 형제(兄弟)가 있게 되었으니 부부(夫婦)는 생민(生民)의 시작이며 인륜(人倫) 근본이다. 그러므로 시경(詩經)에는 관저(關雎)장이 있고 주역(周易)에는 건곤(乾坤)의 괘가 있고 예기(禮記)에는 관혼상제(冠婚喪祭)가 있으니 이 모두는 태어나는 일을 신중히 하고 임종을 공경하며 부부의 분별을 두텁게 하는 것이니 인간의 도리 중에서도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그러나 부부는 의(義)로서 합해진 것이니 선왕(先王)께서 예의를 제정할 때 칠거(七去)의 가르침은 있으나 재혼을 금지하는 법도는 없다. 특별히 열녀에 대해서 말한다면 그 특출한 행실이 두 지아비를 섬기지 않는 것에 불과하다. 우리 동국(東國)은 여러 성군(聖君)께서 나라를 이끄신 이래로 예의(禮義)로 백성을 교화하는 것이 풍속이 되었다. 시골의 평범한 서민도 예의와 염치(廉恥)를 알아 비록 청상(靑孀)으로 의지할 곳도 없는 사람들도 종종 수절을 함이 있어도 사람들은 그것조차도 평범한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특히 그 몸을 순절하여 남편을 뒤따르는 사람을 열녀라 하고 문에 정려(旌閭)를 내려 표창하였다. 선비 진흥은(陳興銀)의 처 강씨(姜氏)가 바로 이러하다. 강씨(姜氏)는 본적이 진양(晉陽)이다. 그 성품이 곧고 고요하며 순일(純一)하며 온양(溫良) 자혜(慈惠)하였다. 집안이 매우 가난하여 실을 뽑고 베를 짜서 생활을 영위하였다. 시부모를 모시면서 항상 입에 맞는 음식을 챙겼고 지아비를 받드는데도 예의를 지극히 하였다. 또 마음가짐과 행동거지가 여사(女士)의 법도가 있어 종중의 일족과 마을 사람들이 흠모하여 감탄하지 않음이 없었고 모두들 진씨의 가문이 장차 창성하고 위대해질 것이라고 하였다. 불행히도 갑진(甲辰)년에 그 지아비가 난치병에 걸렸을 때 조섭(調攝)하고 간호하는데 정성을 다하였다. 숨을 거둘 즈음에 손가락을 잘라 피를 먹여서 다시 삼일을 더 소생하게 하였으나 끝내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열부(烈婦)는 한번 슬피 곡하고는 그치고 곧바로 염습할 재료들을 손수 바느질하고 기웠다. 어린아이를 보살피고 그 시부모를 위로함이 매우 관대하니 집안사람들이 그 뜻을 알았다. 항상 동정을 살펴서 조금도 슬퍼하는 기색이 없도록 하였다. 여러 달 뒤에 어린아이를 잃어버렸는데도 슬퍼하며 어려워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았다. 남편을 장례지내는 날 제사에 올릴 제수를 준비함에 지극히 정결히 하였고 노역하는 인부들을 불러 호상(護喪)을 잘하라고 시키고 문밖으로 나와서는 두 번 절하고 보내었다. 그리고 침방(寢房)으로 들어가서 홀연히 자결(自決)하니 집안사람들이 구할 수가 없었다. 이에 사람들이 곧바로 하관할 장소로 가서 다시 날을 정하여 합장을 하였다. 이 때 열부의 나이가 23세였다. 아아 곧고 맹렬하도다. 지아비를 따라 죽으려는 마음을 이미 지아비가 죽는 날 결심하였으나 구차하게 이제까지 연명해 온 것은 일점 혈육을 지아비의 후사로 길러야 했기 때문이었던 것이다. 옛 성인들이 말씀하시기를 비분강개하여 자결하는 일은 쉬운 것이나 조용히 죽음에 나아가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비록 대장부라 하더라도 죽음의 자리에서 죽은 것이 어려운 일인데 하물며 길거리의 평범한 아낙이 그렇게 하는 것이 쉬운 일이겠는가. 사람들이 하고 싶은 일 중에서 살아남는 것보다 심한 것이 없고, 사람들이 싫어하는 일 중에서 죽는 것보다 심한 것이 없다. 그러나 오직 강씨(姜氏)는 죽음을 기러기 털과 같이 여겼으니 어찌 위대하고 성대하지 않겠는가. 다음해 을사(乙巳)에 고을 사람들이 그 정렬에 감동하여 조정에 상소하였고 그 다음해인 병오(丙午)에 정려문으로 표창하는 은전을 입었다. 단청이 아름답게 비치고 느티나무 그늘이 짙으니 길을 가면서 이 문을 지나는 사람들이 가리키며 흠모하지 않음이 없었으니 그 웅장한 풍모와 굳센 정렬은 장차 천년 뒤에도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중간에 비바람으로 기울어지고 무너지게 되니 전에 경신(庚申)년에 그 방계 자손인 홍렬(洪烈)이 보수하여 다시 지붕을 덮었다. 뒤에 정미(丁未)년에 그의 아들 두영(斗榮)이 집안 아저씨인 태우(泰佑)와 더불어 다시 보수하고 지붕을 이었다. 이 또한 어려운 일이다. 그 방계의 자손으로서 가세와 재력이 없으면서도 백방으로 주선하여 대개의 사람들이 할 수 없는 일을 하였으니 마땅히 열부(烈婦)의 집안사람이라서 그러한 것이리라. 하루는 두영(斗榮)이 열부(烈婦)의 행적(行蹟)을 안고 와서 중수기(重修記)를 간청하였다. 나는 사양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서 대략 본문에서 징험할 수 있는 것을 근거로 이에 기문을 썼다.
정미(丁未;1907)년 중양월(重陽月) 상산(商山) 김상욱(金相頊) 지음.

 

오른쪽의 비 정면에는 孺人延日鄭氏孝行碑(유인연일정씨효행비)’라는 글씨를 음각으로 새겼고 비석의 높이는 200cm, 비신의 규모는 높이 130cm, 너비 44cm, 21cm이다. 1984년 갑자년에 세웠다.

完山 崔秉敦 謹記(완산 최병돈 짓고)

金海 許泰東 謹書(김해 허태동 쓰다)

 

 

 

 

출처 및 참고

2005 창원시 문화유적분포지도-창원대학교박물관

창원향교지

디지털창원문화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