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비판.정려각.마애비

창원대학 내에 있는 유적 물

천부인권 2009. 5. 22. 13:51

 

 

 

<상촌마을 표지석>

 

창원대학 내에 있는 유적 물들을 찾아보았다. 추모각(追慕閣)은 원래 상촌마을에 있었던 것으로 약간의 위치를 조정했을 뿐 그곳에 있는 것이라 문화재에 가까운 것이다. 그 외 장명보비(張明甫碑)나 반계동지석묘(盤溪洞支石墓) 등은 완전히 다른 곳에 있었던 것을 가져온 것으로 품격이 떨어진다. 문화재란 “그곳에 있을 때에 문화재인 것이지 옮겨지면 골동품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라도 이전한 것은 후세를 위해서 중요한 일을 한 것으로 없어서 보지 못하는 것보다 보존한 공은 칭찬할만하다.

 

추모각를 가기직전에 “내 고향 상촌 땅”이라는 표지석이 서있고, 뒷면에는 이런 싯구가 쓰여 있다.

 

상촌연가(上村戀歌)

 

수리덤, 굿밭등, 붉은등, 누운등은

상촌의 근간이요

 

국논, 묵답, 못밑, 큰자리는

우리의 곳간이며

 

삼밭골, 못밭골, 산골, 뒷골은

우리의 고생골이라네

 

돌테미 지나 큰도랑 건너 두랑 고개 넘으면

대처로 가는 길이요

 

구루맛간 종종걸음 귀신 난다는 대밭골 지나

뛰는 가슴으로 못둑 오르면 내 고향 상촌이라네!

 

 

추모각 모습

 

 

창원 사림동 추모각(昌原 士林洞 追慕閣)

정려, 비각(일제강점기)

창원시 사림동 9(창원대학교 내)

 

창원대학교 학군단 뒤편에 위치한다. 이 비각은 어모장군 김중철(禦侮將軍 金重喆)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것으로 원래는 창원대학교 인문대 뒤편에 있었으나 교내 시설용지(施設用地)로 편입됨에 따라 1987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 세웠다. 비각 내에는 1936년에 세운「禦侮將軍金海金公諱重喆遺墟碑(어모장군김해김공휘중철유허비)」가 세워져 있다. 바깥의 비각은 1954년에 세운 것으로 육주식(六柱式) 목조와가(木造瓦家)로 지붕의 형태는 팔작지붕이다. 제호는 추모각(追慕閣)이라 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1987년 이전 당시에 중수한 것이며, 이때 주춧돌, 지붕 등이 크게 수리되었다. (어모장군 : 조선시대 정3품 당하관 무관의 품계)

[창원시 문화유적정밀지표조사보고서, 1995]

 

 

어모장군 김해김공휘 중철 유허비

 

 

檀山碑閣記
我昭敬王時 禦侮將軍金公諱重喆 隨其兄寓居湖南 適値島夷之亂 其兄戰死於敵  自是 頓無依賴 且念兄其已沒 弟若不在 先人嗣續 無處可託 乃潜伏間行 幸避兵刃 而至昌原檀山下 隱居保命 亂稍定 乃定居于上村 自號檀山野叟 不復有意於斯世 耕讀爲業而終焉 噫 公之歿已三百餘載 而後孫之居於此地者 慕其先祖之遺蹟 經營一碑 已經累世而未果 乃於甲戌春 宗論齊發 醵金求石 招工磨治 丙子臘月日訖工 使海敬 謁文於訥齋金先生昭刻遺事 於是乎幽潜之德 庶幾闡揚 然歲去日久 一片碑面 難掩風雨之磨泐 行路猶嵯惜 矧伊雲仍乎 乃營一閣 惟克殫誠力 至於奐輪者 海權海哲海祚泰翰 始終周旋也 庚寅春告其落 宿願已畢 海敬君 累度訪余 請記其實 余感其誠意 乃曰 世遠俗降 先祖有美事 不顚不念而之他者 往往有之矣 可勝歎哉 惟檀山翁之後裔 數百年未遑之事 合謀竪碑 而得巨筆以刻之 且健閣而庇覆之 以防後患 鳴乎盛矣 培其本 枝葉之必達 其理不差也 以是心戒後人 傳之無窮 則金之門 豈不昌大乎哉 略記顚趾如右云爾
李鉉燮

 

 

추모각 전경

 


[原文]-金柄璘
禦侮將軍金重喆遺墟碑
祖先基業之地 孫子之所宜謹守 而罔敢忽焉者也 故周詩曰 維桑與梓 亦恭敬止 韓子之文曰 某水某邱 吾先人之所釣遊也 庸非後來可鑑者乎 禦侮金公 諱重喆 字德汝 自號檀山野叟 我駕洛王之後也以 明宗丁卯生 童年羈泊湖南 際値壬辰之訌 見兄亡於戰陣 懼氏姓之無傳 晝伏夜行 轉到昌原 投檀山巖竇而保性命 亂定 仍卜上村而居焉今 上村之金 皆其所自出也 盖自公以上 系牒無稽 而子姓蕃衍傳歷十一世 壹是安土樂業或以翰墨有聞 寔公之遺蔭也 後孫海敬 見時事日非 憂先蹟之湮沒 方鑱石以示後 持狀錄謁文 辭不獲 則遂略叙如右 係之以銘曰
戀舊林思舊淵 魚鳥猶然 矧伊人矣 苟乃祖之有知 其必曰予有後不棄基矣

盆城 金柄璘

 

 

장명보비 뒷면

 

 

 

 

창원 사림동 장명보비(昌原 士林洞 張明甫碑)

기타 비(조선, 1875)

창원시 사림동 9(창원대학교 내)

 

이비는 원래 가음정동 당산(해발 73.5m) 서쪽 기슭의 못안마을 남동쪽에 있었으나 외동과 사파정동을 잇는 도로개설로 인해 창원대학교 야외전시실로 옮겨져 있다.

이 비는 비개(碑盖)와 비신(碑身), 비대(碑臺)를 단일석의 화강암(花崗巖)에 새긴 것으로 비개의 양식은 조선 후기의 양식이다. 비의 주인공 장명보(張明甫)는 무반(武班)으로 장군의 지위까지 올랐으며, 안동민부상서 장천부(安東民部尙書 張天富)의 후손이다. 비문의 내용 중 그가 55세의 나이로 을해년(乙亥年)에 졸(卒)하였음을 기록하고 있어 이비는 1875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비의 높이는 109cm, 너비는 212cm, 두께 52cm, 무게 7.2t이다.

[창원시 문화유적정밀지표조사보고서, 1995]

 

 

 

 

글씨가 있는 면

 

 

거북을 닮은 지석묘

 

 

 

 

창원 사림동 반계동지석묘(昌原 士林洞 盤溪洞支石墓)

청동기 고인돌

창원시 사림동 9(창원대학교 내)

 

이 지석묘는 1996년 창원대학교 박물관이 반계동유적에서 발굴된 것을 창원대학교 야외전시실에 이전 복원하였다.

구조는 지석을 갖춘 바둑판식(南方式)무덤이고, 시체의 안치공간은 타원형의 토광(土壙)이었다. 상석은 거북의 등을 연상케 하는 편평타원형이며, 놓인 방향은 반계동 주위의 경관을 고려한 듯 하천과 구릉의 흐름에 맞추어 남북향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화강암으로 된 지석은 상석의 외연(外緣)을 따라 배치되었는데, 그 가운데 주기능을 가진 것은 각 모서리의 5매 정도였고 출토유물은 없었다.

[창원대학교 박물관, 수자원공사, 2000]

 

 

 

탁청대를 새긴 비갈

 

 

 

 

탁청대(濯淸臺)

탁청대 아래 안내판에는「마산 합성동에 있던 옛 창원향교 터에서 옮겨온 것으로 ‘탁청(濯淸)’은 수양을 통해서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한다는 의미이다.」고 적고 있다.

문경 선유동 계곡에 고운 최치원선생이 쓴 ‘탁청대(濯淸臺)’란 글도 있다고 하는데, 그 글과 같은 의미일 것이다.

  

 

 

탁청(濯淸)이라는 말은 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詞)"에서 기원합니다. 굴원은 중국 전국(戰國) 시대에 초나라 삼려대부(三閭大夫)의 벼슬을 하였다. 초나라 회왕(懷王)이 그의 능력을 중히 여겨 벼슬을 주었으나 근상(靳尙) 등의 무리들에 의하여 참소되어 벼슬에서 물러나야 했는데, 이 때 나라를 근심하는 마음에 「이소(離騷)」를 지었는데 굴원은 회왕이 이 글을 보고 느껴 자신의 잘못을 깨닫기를 바랬습니다. 시간이 지난 뒤에 굴원은 다시 벼슬에 올랐으나 양왕(襄王) 때에 다시 참소를 입어 강남(江南)에 유배되었는데, 이 때에 굴원은 「어부사」를 지어서 자신의 뜻을 보이고 멱라수(汨羅水)에 빠져 죽었습니다.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詞)」를 보면 두 사람이 등장하여 대화를 하는데, 한 사람은 굴원 자신이고 한 사람은 어부(漁父)입니다.  초췌한 모습으로 강남의 못가를 거닐고 있는 굴원에게 어부는 삼려대부(三閭大夫)의 벼슬을 한 분이 어떻게 이러한 곳에서 지내느냐고 묻자, 이에 굴원은 세상 사람들이 모두 더럽혀져 있는데 나 혼자 깨끗해서 이렇게 되었다고 대답합니다. 자신을 제외한 모든 사람들이 악(惡)의 구덩이에 빠져 있는데 자신만이 선(善)의 세계에 있기 때문에 시기와 질투의 대상이 되어서 유배를 오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굴원의 대답에 어부는 다음과 같이 노래하였습니다.  
 창랑(滄浪)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면 내 발을 씻으리라. 滄浪之水淸兮可以濯吾纓滄浪之水濁兮可以濯吾足(청랑지수청혜가이탁오영창랑지수탁혜가이탁오족)

 

어부(漁父)의 노래에는 굴원(屈原)의 삶의 태도에 대한 비판이 담겨 있는데, 나 혼자만이 깨끗하고 나 혼자만이 뛰어나고 나 혼자만이 잘났다는 생각이 굴원의 사고였습니다. 그러므로 굴원은 스스로 선의 무리와 악의 무리를 분별하는 자세를 가졌는데, 선과 악의 분별을 뛰어넘어 이 둘을 모두 아우르고 선의 세계로 나아가게 할 국량(局量)이 없었습니다. 어부는 이 점을 지적하고 비판한 것입니다.

 

어부의 이말 중에  ‘ 창랑(滄浪)의 물이 맑으면[淸] 내 갓끈[纓]을 씻는다 ’  라는 말에서  ‘탁청(濯淸)’ 이라는 말이 나온 것입니다. 출처 :  고택문화보전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