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심었던 목련이 시들어 죽은 후 아직 다시 키우지 않고 있다. 꽃 사진은 옆집에서 핀 목련을 담았다. 목련을 집에 심었던 것은 뿌리를 약용하기 때문이었는데 뿌리의 껍질을 목단피라 하여 한방에서는 소염·진통제로서 총수염·월경통·부스럼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모란은 예로부터 부귀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설총의 〈화왕계〉에서도 모란은 꽃들의 왕으로 등장하고 있다. 또한 당 태종이 신라와 협약을 맺기 위해 덕만공주(진평왕 시기)에게 모란꽃 그림 한 점과 모란씨 석 되(한국 최초 모란꽃)를 보냈는데 그것을 본 덕만공주는“꽃은 화려하다. 허나, 꽃에 벌이 없으니 향기가 없겠구나”라고 말하였다. 나중에 핀 모란 꽃은 실제로 향기가 없었다고 전해진다고 했지만 실제론 설화와는 달리 모란에는 은은한 향기가 있다.
중국원산으로 전국에 재배하는 잎지는 떨기나무이다. 높이는 1-2m이고 한국에서는 함경북도를 제외한 각처에서 재배한다. 나무껍질은 흑회색이며, 가지는 굵고 털이 엷으며 성기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2회3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꼴 또는 달걀꼴 바소꼴로 길이 5-10cm이다. 뒷면은 잔털이 있고 흰색을 띤다. 5월에 새가지 끝에 흰색 또는 빨간 자줏빛이 도는 꽃이 한 개 핀다. 꽃의 지름은 10-17cm이며 5-8장의 꽃잎이 달린다. 꽃잎은 거꿀달걀꼴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수술은 많고 암술은 3-5개이며, 씨방은 밑부분이 꽃턱으로 둘러싸여 있다. 열매는 달걀꼴의 대과(袋果)로서 노란 갈색의 짧은 털이 빽빽이 나며, 10월에 익어 안쪽이 세로로 갈라진다.
속씨식물(Angiosperms),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범의귀목(Saxifragales), 작약과(Paeoniaceae), 작약속(Paeonia), 모란의 학명은 Paeonia suffruticosa Andr.이다.
작약속(Paeonia) 6종
모란 (Paeonia suffruticosa)
백작약 (Paeonia japonica)
산작약 (Paeonia obovata)
작약 (Paeonia lactiflora)
참작약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털백작약 (Paeonia japonica var. pillosa)
[출처와 참조]
위키백과-모란
나물먹고 물마시고 풀베개-식물도감/모란
'식물 > 야생화-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대학교 주엽나무 (0) | 2025.05.06 |
---|---|
창원대학의 가래나무 (0) | 2025.05.05 |
통조화(通條花)-기부시 (0) | 2025.03.26 |
불모산의 노린재나무 (0) | 2024.07.27 |
멀꿀 (1) | 202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