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구 기적의 도서관 앞 사거리 : 파란네모는 점등이 되지 않는 부분이고 붉은 네모는 불량제품을 표시함>
2010년 12월 11일에 창원시청 홈페이지 “시민의 소리”에 ‘LED발광 점자블록 관리’라는 제목으로 아래의 내용에 답해 줄 것을 요청하였습니다. 창원시 도로관리과 도로조명담당에서 12월 16일에 아래의 내용으로 답을 하였습니다. “LED발광 점자블록”의 장당 가격을 258,500원으로 알고 있었지만 창원시의 자료에는 243,000원이라고 하여 정확한 가격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설치비가 한 장당 73,209원 정도인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LED발광 점자블록 관리 [질문]
게시일 2010-12-11 21:52:13 이름 000 조회 18 게시번호 : 60417
창원시민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시는 시장님이하 공무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창원 의창, 성산, 합포, 회원, 진해구에 설치된 LED발광 점자블록 관리실태를 알고자 합니다.
1. 현재 설치하였으나 발광이 되지 않는 제품이 어떤 곳에 설치한 것이며, 몇 개인지.
2. 제품이 불량이라 점등이 되지 않는 제품의 갯수는 얼마나 되는지.
3. LED발광 점자블록의 설치방법이 잘못된 곳은 몇 곳인지.
4. 불량제품이거나 발광이 되지 않는 곳의 AS를 시설업체에 언제 요구하였는지.
5. LED발광 점자블록의 시공비가 장당 얼마인지.
6. LED발광 점자블록의 장당 가격은 얼마인지.
7. 창원시 전체에 설치한 LED발광 점자블록의 설치비를 포함한 총액은 얼마인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LED발광 점자블록 관리
게시일 2010-12-16 15:50:24 이름 시민의소리 조회 2
○ 000님 반갑습니다.
『LED발광 점자블럭 관리』에 관한 000님의 글을 잘 읽어 보았습니다.
○ 000님이 요청하신 우리시 관내에 설치된 LED발광 점자블록 관리에 관하여 아래와 같음을 알려드립니다.
○ LED발광 점자블록 설치 현황
설치수량 | 장당가격 | 장당설치비 | 총사업비 |
2,005장 | 243,000원 | 70,000원 정도(73,209) | 634,000,000원 |
* 장당가격⇒ 조달청 3자단가 가격임 * 설치비⇒전기공사비를 포함한 가격임 |
하자요청일 | 위 치 | 수 량 | 하자내용 | 보수완료일 | 비 고 |
2010.8.26 | 반송초교 앞 외 3개소 | 57장 | 부점등 | 2010.9.28 | |
2010.11.2 | 구)육대사거리 외 4개소 | 289장 | 부점등 | 하자보수중 127장 보수 완료 | 12.19 완료예정 |
계 | 7개소 | 346장 |
○ 000님의 가정에 건강과 행운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10. 12. 15.
담당부서 : 도로관리과 도로조명담당(225-4621)
창원시 담당자의 답변과 제가 조사한 내용은 상당히 달랐습니다. 이렇게 다른 이유는 담당자가 현장에 나가서 조사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합니다. “LED발광 점자블록”을 처음 조사한 날은 2010.12.06일 이었습니다. 창원시의 자료보다 최근의 것입니다.
창원시가 철지난 자료를 가지고 답을 하니 어디에 무엇인 얼마나 있는지 알 수가 없고 무엇이 문제인지 파악도 되지 않는 것입니다. 적어도 성실하게 답변을 하려면 조사를 해보고 답을 해야 합니다.
■ 창원시 자료와 실제 조사한 내용 비교
위 치 | 창원시 자료 | 조사 자료 | 불량제품 및 고장 | 필요 없는 것 | |
의창구, 성산구 | 638장 | 639장 | 창원시 자료 | 조사자료 | 85장 |
57 | 113 | ||||
진해구 | 407장 | 609장 | 289 | 156 | 74장 |
합포구, 회원구 | 960장 | 1,047장 | 0 | 58 | 139 |
계 | 2,005장 | 2,295장 | 327장 | 298장 |
위 비교 자료를 보면 진해구는 202장이나 차이가 있으며, 합포구와 회원구에 설치된 LED발광 점자블록의 차이는 87장이나 됩니다. 이 두 곳의 차이를 설치비 까지 포함해서 계산해보니 91,384,400원이나 됩니다. 왜 창원시는 9천만 원 이상이나 차이가 나는데 모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불량제품 및 고장이 난, 하자있는 제품의 수량 파악도 하지 않아 1년의 AS기간이 지나면 시민의 혈세로 고스란히 보수를 해야 합니다.
제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창원시에 하자가 있는 불량제품 및 점등이 되지 않는 곳이 327장이나 됩니다. 설치비까지 포함해서 계산해보면 103,400,000원이나 됩니다. 담당 공무원이 자기의 역할을 하지 않아 1억원이나 되는 돈이 새어나간다면 창원시장은 ‘구상권 청구’를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창원시장이 직무유기를 하는 것입니다. 또한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298장이나 되어 쓸데없이 예산만 낭비한 꼴입니다. 이것도 계산해보면 94,230,000원이나 됩니다.
창원시가 “3. LED발광 점자블록의 설치방법이 잘못된 곳은 몇 곳인지.”에 대한 답변을 하지 않은 것은 그 것을 바로 잡으려면 상당한 설치비용이 들어가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LED발광 점자블록을 설치하지 말아야하는 이유는 첫째 관리가 되지 않는 다는 것이고, 둘째 설치비용 및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것입니다. 일반 점자블록은 대략 5천원에서 1만2천원 정도이고 설치비는 장당 500원 정도 입니다. 이렇게 따지고 보면 LED발광 점자블록은 터무니없이 비싼 물건이고 고장률이 너무 높아 관리를 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안전 및 장애관련 > 장애인관련행사 및 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장애인개발원이 발행한 편의시설 매뉴얼을 지적한다. (0) | 2011.01.23 |
---|---|
롯데가 훔친 4m, 창원시민에게 재앙은 아닐까? (0) | 2010.12.27 |
올바른 점자블록 설치의 예 (0) | 2010.12.13 |
장애인점자블록이 엉터리로 설치되는 이유 (0) | 2010.12.09 |
진해 LED발광 점자블록 실태 (0) | 2010.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