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수와 노거수

창원 천선동 보호수-푸조나무

천부인권 2014. 11. 23. 07:57

 

2014/11/20 천선동 보호수 - 푸조나무

산림보호법에 의거하여 보존할 가치가 있는 노목(老木), 거목(巨木), 희귀목(稀貴木)을 특별히 보호하기 위해 시·도지사 또는 지방산림청장이 지정한 보호수가 창원시에는 53개소 87본이 있다. 이중 수종으로는 느릅나무과에 속한 느티나무 27, 푸조나무 23, 팽나무 11본으로 총 61본이나 된다. 그만큼 느릅나무과의 수종이 장수하는 나무임을 알게 한다.

 

2014/11/20 천선동 보호수 - 푸조나무

성산구 성주동 86-1번지에 위치한 푸조나무는 성주저수지 아래 요천(樂川) 옆에 붙어 있다. 옛 천선동 마을을 막 벗어나 성주사 곰절로 들어가는 입구에 서어나무와 팽나무, 푸조나무 등이 혼재한 숲이 있는데 지금은 많은 고목들이 사라지고 또다시 공단이 조성되어 숲의 규모가 더 줄어들었다. 이 푸조나무는 19821110일에 지정되었으며, 관리번호는 12-4-15-1호이고, 수령은 270, 나무높이 18m, 가슴높이 둘레 510cm이다.

 

2014/11/20 천선동 보호수 - 푸조나무

이 지역을 일러 천선동을 비롯하여 인근 마을 원주민들은 수문당(樹門堂)’ 또는 숨은땅이라는 표현을 쓰는데 이에는 고승 진묵대사(眞墨大師, 1592~1633)의 일화와 관련이 있다.

 

그 전설같은 일화의 내용은

진묵대사(眞墨大師, 1592~1633)가 사미(沙彌)의 신분으로 공부를 하러 성주사(곰절)로 가고 있었다. 마침 칠원을 지나 창원 합포를 지날 때 아름다운 처녀가 대사에게 반하여 대사의 뒤를 따라 성주사 입구에까지 왔다. 대사와 처녀는 사랑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옥사미(一玉沙彌)는 불계를 파할 수도 없었고, 인간의 고귀한 사랑도 저버릴 수 없어 고민하던 중 그녀가 갑자기 불의의 사고로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그녀는 일옥과의 사랑을 인연으로 하여 다시 사내아이로 환생하였다. 그 환생한 아이는 점차 자라 여남은 살이 되자 전주에 있는 대원사로 출가하여 중이 되었고, 거기서 대사를 만나 시봉이 되었다. 이름은 기춘이라 했다. 대사는 늘 기춘과 더불어 이락삼매에 들곤 했는데 이락삼매란 색계의 제4선천에서나 즐기는 삼매였다. , 모든 욕락을 여의고 열반의 즐거움을 만끽하는 그런 삼매였다.

그렇게 해서 대사와 시봉 기춘은 항상 함께 다녔다. 기쁠 때나 슬플 때나 괴로우나 즐거우나 눈이 오나 비가 오나 두 사람은 떨어질 줄 몰랐다.라는 것이다.

 

 

이 일화의 내용에서 처녀가 진묵대사를 기다린 곳이 이 수문당이었는데 성주사를 오가는 진묵대사를 보기위해 수문당에서 기다리다 정작 진묵대사가 보이면 이 수문당 나무 뒤에 숨었다 하여 숨은땅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천선동(遷善洞)이라는 지명을 보면 =옮길 천, =선할 선, =골짜기 동이라 선한 사람이 옮겨와 사는 마을이라는 뜻이 된다. 즉 중이 이사를 와서 사는 동네라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진묵대사의 일화 중 기행(奇行)은 수없이 많이 전해 오는데 이 천선동 수문당에 전해오는 일화도 내용을 진지하게 들여다보면 기춘이라는 아이는 숨은땅에서 만난 여인과의 사이에 태어난 아들이 아닐까하는 의문도 든다. 이 수문당에는 숨은땅 당산할매를 모시는 석재단이 천선동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져 있으며, 근래에도 이 당산나무인 보호수 푸조나무에 당산제를 지내기도 하였다.

 

 

푸조나무와 팽나무는 겉만 보면 같은 나무로 착각할 수 있는 나무이다. 푸조나무에 열매가 달리면 팽나무의 열매와는 확연히 구별이 된다. 열매는 달걀 모양 구형의 핵과로서 지름 12mm이고 자줏빛을 띤 검은색으로 910월에 성숙하며 달기 때문에 아이들이 먹지만 팽나무 열매는 홍갈색으로 작고 단단하여 익으면 먹을 수 없다.

 

 

팽나무의 잎은 푸조나무에 비해 약간 작고 잎이 쭈굴쭈굴한 느낌이 있지만 푸조나무 잎은 매끈해 보인다. 팽나무는 목재로 사용하는 예가 거의 없는데 목제가 무르고 수분에 약하여 비를 맞으면 검게 변색하여 잘 썩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푸조나무는 연하면서도 단단하여 건축재·조선재·기구재 등으로 사용하며, 특히 저울자루·절구·세공재 등 귀한 용도로 쓰인다. 그러나 나무 수액에는 독성분이 있다.

 

 

좌 = 팽나무 ,  우 = 푸조나무 잎의 앞면

 

진묵은 언젠가 이런 게송(偈頌)을 읊은 적이 있다.

天衾地席山爲枕(천금지석산위침) 하늘 덮고 산을 베고 땅위에 누웠다가

月燭雲屛海作樽(월촉운병해작준) 구름 병풍에 달빛 등불 삼아 바닷술을 마신다.

大醉居然仍起舞(대취거연잉기무) 마껏 취하여 비틀비틀 춤추려다

却嫌掛袖掛崑崙(각혐괘수괘곤륜) 어허! 소매 길어 곤륜산에 걸리겠네.

 

 

좌 = 팽나무 ,  우 = 푸조나무 잎의 뒤면

 

2017.7.10 천선동 푸조나무 보호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