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기록들/섬 여행과 낚시

거제 칠천도 인근의 호래기·청어. 볼락 낚시

천부인권 2015. 12. 23. 12:50

 

 

 

<2015/12/22 하청면 실전마을 방파제>

 

 

칠천도와 부속 섬들 방파제 곳곳에는 호래기 낚시를 하는 분들이 많았다. 대부분 거제 분들이지만 먼 곳에서도 찾아 온 낚시꾼도 제법 있다. 어느 방파제 할 것 없이 집어등을 켜고 호래기 낚시에 분주하지만 조과는 거의 없는 듯하다. 방파제 마다 기웃거려 보았지만 호래기가 없는 것은 아닌데 잡는 사람들이 거의 없는 것을 볼 때 당분간 호래기 낚시는 접을 생각이다.

 

 

 

<칠천교 아래의 주꾸미 낚시 배>

 

하청면 실전리와 칠천도를 연결하는 칠천교 다리 위에서는 청어낚시를 하는 분들이 줄을 서있다. 다른 날에 비해 많이 잡지 못했다는 어느 낚시꾼의 고기를 담은 통에는 적어도 50여 마리가 담겨 있었다. 그리고 다리 밑에는 낚싯배들이 운집을 하고 있었는데 이곳 주민에게 물으니 어부들이 주꾸미를 낚고 있는 것이라 말한다. 예전 같으면 주꾸미는 이미 빠지고 겨울 고기들이 들어와야 한다고 하시며, 보통의 경우 수온이 10°c정도로 떨어져야 하는데 올해는 16°c를 유지하고 있어 주꾸미가 빠지지 않고 낚인다고 한다. 또한 청어는 12월 중순 이후에 나타나는데 올해는 1달 정도 빨리 나온다고 한다. 기후 이상 현상을 바다가 증명하는 것 같아 두려운 생각이 든다.

 

 

 

<칠천도 장안마을 방파제>

 

 

 

<칠천도 금곡마을 방파제>

 

 

 

<금곡마을 목넘어 방파제>

 

 

 

<칠천도 곡촌마을 방파제>

 

 

 

<연구마을 방파제>

 

 

 

<연구마을 목넘어 방파제- 황덕도를 바라보는 방파제>

 

 

 

<황덕도 방파제와 연륙교 야경>

 

 

 

<황덕도 우측마을 황덕교회가 있는 방파제에서 낚은 볼락들>

 

 

 

 

밤이 되어서 황덕도 연륙교 야경도 찍을 겸 다시 황덕도를 찾았다. 연륙교 밑 방파제에는 호래기가 잡히지 않는다며 낚시꾼이 떠났다. 청지렁이를 미끼로 볼락낚시를 시도 했지만 시간만 흘러가고 어떤 고기도 입질이 없어 황덕도 우측 마을 방파제로 가 봤다. 그곳에는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호래기 낚시를 하고 있었는데 정말 간혹 한 마리씩 잡히고 있었다. 4칸 장대에 청갯지렁이를 달아 휙 바다로 낚시를 드리운다. 이곳저곳 던져 봤으나 별 반응이 없다. 그리고 더디어 입질이 온다. 첫 수확물은 젓볼락이다. 너무 깊이 미끼를 삼켜 미끼를 빼다가 이미 사망을 했다. 버리지 않고 통에 담았다. 다시 같은 장소를 공략하자 입질이 온다. 이번에는 탈탈거리는 손맛이 있다. 예전에는 꺽저구라 불렀는데 알고 보니 흰꼬리볼락이다. 그리고 제법 먹을 만한 크기의 볼락이 낚였다. 그런데 이놈도 모양이 약간 이상하다. 알고 보니 개볼락이다. 그래서 사진으로 비교하기 위해 도마 위에 놓고 사진을 찍었다.

좌로부터 개볼락, 흰꼬리볼락, 볼락이다. 어쩌다 크기도 좌로부터 순서 대로이다. 생활낙시에서 흔하게 만나는 볼락도 이처럼 다양한 종류가 있는 줄 오늘 새롭게 배우게 되었다.

 

 

 

 

우해이어보(牛海異魚譜)에 실린 볼락에 대한 기록

 

우해는 鎭海의 다른 이름으로 진해현이 있는 진동 옆 고현리의 옛 지명이다. 김려(1766~1821)가 귀양와 살았다는 곳은 우산초등학교가 있는 마을이었다.

 

보라어(甫鮥-볼락, 양볼락과에 속한 물고기)는 모양이 호서지방에서 나오는 황석어(黃石魚)와 비슷한데 아주 작고 색이 엷은 자주색이다. 이 곳 사람들은 보라어보락(甫鮥)’이나 볼락어(乶犖魚)’라 부른다. 우리나라의 방언에 엷은 자주색을 보라(甫羅)라고 하는데 아름답다는 뜻이니 甫羅라는 것은 아름다운 비단이라는 말과 같다. 보라라는 물고기의 이름은 반듯이 여기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다. 진해 어부들은 종종 그물로 이 고기를 잡지만 많이 잡지는 못한다.

해마다 거제도 사람들이 보라어를 잡아 젓갈을 담아 배로 수백 항아리씩 싣고 와서 포구에서 팔아 생마(生麻)와 바꾸어 간다. 거제도에는 보라어가 많이 잡히지만 모시는 매우 귀하기 때문이다. 젓갈 맛은 조금 짭짤하면서도 달콤해서 마치 쌀강정과 같다. 밥상에 올려놓으면 윤기가 나고 색깔이 더욱 좋다. 생선을 구워 먹으면 약간 모래 냄새가 난다. 나는 다음과 같이 우산잡곡을 지었다.

 

月落烏嘶海色昏 달 지고 까마귀 우니 바다는 저무는데,

亥潮初漲打柴門 저녁 밀물 밀려들어 사립문을 때리네.

遙知乶犖商船到 아마도 볼락 실은 배가 도착했는지,

巨濟沙工水際喧 거제 사공들이 물가에서 떠들어대네.

 

 

* 자산어보에서는 박순어(薄脣魚)’, ‘발락어(發落魚)’, ‘맹춘어(孟春魚)’라 했다. 박순이란 입술이 얇은 물고기니, 당연히 볼락을 말하는 것이고, 발락어는 볼락을 한자로 적다보니 나온 말이며, 맹춘어는 볼락이 초봄에 많이 잡히는 물고기이니 당연하다.

* 지역별 호칭으로 뽈락, 뽈락이, 뽈라구, 뽈래기, 감성볼락, 열광이, 우레기, 우럭, 열기, 순볼래기, 꺾저구, 검처구등으로 불린다.

* 사촌으로 불볼락(열기), 조피볼락(우럭), 개볼락, 황점볼락, 쏨뱅이 등 다양한 종이 존재한다.

* 볼락은 회로 먹던, 석쇠에 구워먹던, 매운탕을 끓이던 다 맛있다. 이 물고기는 어떻게 해도 맛있는 물고기다.

크기가 작은 것을 낚아 배추 한 포기 당 7~8마리 넣고 김치를 담아, 잘 삭히면 그 중간에 든 볼락은 젓갈이 되는 데, 하나씩 빼어 먹는 맛은 거의 환상적이다. 잘 씼어 통으로 넣으면 된다. 전체를 다 먹을 수 있다.

그래서 아주 작은 놈은 젓볼락이라 한다.[출처 : 네이버 블로그 - 무지개 낚싯대로 물고기를 낚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