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야생화-나무

꽃에 독성이 있는 박태기나무

천부인권 2017. 4. 12. 06:51



2017.4.11. 운암서원의 박태기나무


중국이 원산인 박태기나무는 4월 중순경에 잎보다 먼저 나비를 연상케 하는 꽃이 모여 피는데 꽃이 가지에 달린 모습이 밥알 붙은 주걱처럼 보인다고 해서 밥풀떼기나무라 했고, 이것이 변하여 박태기나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생지가 없어 마을 주변의 공터나 공원, 관상을 위한 정원수 등에서 발견되고 거의 사람의 식목에 의해 발생하며, 약으로 사용하기 위해 심는 경우도 있다.
서양에서는 은전 30냥에 스승 예수를 판 배신자의 상징이 되는 가룟 유다가 목매달아 죽은 나무라고 해서 유다나무(Judas tree)라고도 한다.




2017.4.11. 운암서원의 박태기나무 전체 모습



2017.4.11. 운암서원의 박태기나무 꽃


피자식물(ANGIOSPERMS),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AE), 장미아강(ROSIDAE), 콩과(FABACEAE Lindl), 박태기나무속(Cercis)에 속한 박태기나무의 학명은 Cercis chinensis Bunge이다.


낙엽 활엽 관목인 박태기나무는 꽃에 독성이 있기에 함부로 먹다가는 탈이 날수 있기에 조심해야 한다. 번식은 씨로도 하고, 꺾꽃이로도 한다. 생육환경은 반그늘이든 양지쪽이든 아무 곳에서나 자라고 양지에서 잘 커며, 추위에 강하다. 수분요구도와 비옥도가 낮아 황폐지나 척박지에 심어도 잘 자란다.




2017.4.11. 운암서원의 박태기나무 수피



2017.4.11. 운암서원의 박태기나무 꽃


가죽질의 잎은 길이 5~8cm, 나비 4~8cm의 심장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에서 5개의 커다란 맥이 발달한다. 콩과 식물 중에서 드물게 보는 홑잎이다.




2006년 6월 19일 창원의집- 박태기나무 열매


염료로 이용하는데 매염제에 대한 반응, 특히 동에 대한 반응이 뛰어나다.
약용으로는 나무껍질을 紫荊皮(자형피), 근피(根皮)는 紫荊根皮(자형근피), 목부(木部)는 紫荊木(자형목), 화(花)는 紫荊花(자형화), 과실은 紫荊果(자형과)라 하며 약용한다.
⑴紫荊皮(자형피) - ①7-8월에 나무껍질을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紫荊(자형)에는 tannin이 함유되어 있고 종자에는 미량의 遊離(유리) lysin과 asparagin산(酸)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活血(활혈), 消腫(소종), 通經(통경), 해독의 효능이 있다. 風寒濕痺(풍한습비), 월경폐지, 월경통, 喉痺(후비-喉中閉塞不通(후중폐새불통)), 淋疾(임질-소변이 快通(쾌통)하지 않고 통증이 있다), 癰腫(옹종), 癬疥(선개), 타박상, 蛇蟲咬傷(사충교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2g을 달여서 복용한다. 술에 담그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⑵紫荊根皮(자형근피) - ①약효 : 破瘀(파어), 活血(활혈), 消癰(소옹), 해독의 효능이 있다. 狂犬咬傷(광견교상)에는 신선한 자형목피를 傷口(상구)의 주위에 붙이고 婦人(부인)의 遺尿症(유뇨증)에는 자형근 15-24g을 술, 물 각 반잔씩을 넣고 달여 복용한다. ②용법/용량 : 6-12g을 달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⑶紫荊木(자형목) - ①약효 : 活血(활혈), 通淋(통림)의 효능이 있다. 부인의 痛經(통경), 瘀血腹痛(어혈복통), 淋病(임병)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⑷紫荊花(자형화) - ①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 小腸(소장)을 通(통)하게 하고 祛風(거풍), 해독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筋骨痛(근골통), 鼻中疳瘡(비중감창)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3-6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술에 담가 복용한다.
⑸紫荊果(자형과) - 咳嗽(해수)와 姙婦(임부)의 心痛(심통)을 치료한다. 6-12g을 달여서 복용한다.




2005년 7월 2일 개발되기 전 봉림동-박태기나무가 있는 풍경



2005년 7월 2일 개발되기 전 봉림동-박태기나무 잎



2006년 4월 5일 봉림동-박태기나무 꽃

출처 및 참고
 
익생양술대전 학술편수관-저자 권혁세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식물
한국의 나무, 돌베개- 저자 김진석, 김태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