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봉수대

창원시 회원구 성황당봉수를 찾아서

천부인권 2017. 11. 21. 16:27

 

 

 

2019.11.22 석전동 무학빌딩에서 본 창원 성황당봉수

 

 

 

2015.5.16 창원 성황당봉수 집터에서 바라 본 봉수대

 

이전 사진을 들추어 창원성황당봉수(昌原城隍堂烽燧 해발 265m)의 기록을 찾았다. 이때는 무학산 둘레길을 걸으면서 봉화산 봉수대라는 이름으로만 들었는데 봉수대를 찾으면서 옛 기록을 보니 창원성황당봉수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봉수는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157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의 주소는 회원구 회원동 산18번지이다.

 

 

 

 


창원성황당봉수는 복원을 한 것도 아니고 안한 것도 아닌 애매모호한 형태로 건설하여 우리나라는 문화재 복원에 대한 기준을 어떻게 잡는지 묻고 싶다. 이 봉수는 흩어져 있던 봉수의 돌들을 모아 봉수대를 복원한 것이 아니라 봉수의 담장만 복원한 형태이다.

 

 

 

 

둘레길을 걸었던 일행들이 봉수대를 구경하고 있다.

 

이곳 안내판에는 이렇게 적었다.
『봉수는 높은 산에 올라가서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급한 소식을 전한 전통시대의 통신수단이다. 이제도는 처음에는 왜적의 침입을 알리는 군사적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록상 고려 중기(12~13세기)에 처음 제도가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실시된 것으로 추정 된다.
봉수대는 일정한 거리를 둔 산꼭대기 중에서 시야가 확 트인 곳에 설치하였다. 그리하여 평상시에는 불꽃이나 연기를 한번 올리지만 적이 바다에 나타나면 두 번, 적이 해안에 접근해 오면 세 번, 바다에서 접전이 이루어지면 네 번, 육지에 상륙했을 경우에는 다섯 번의 불꽃이나 연기를 피워 올렸다.
고려 말에 설치되어 조선시대에도 계속 사용 되었던 이곳 봉수대는 조선시대 5곳의 중심 봉수로 중에서 동래 다대포(東萊 多大浦)에서 시작하여 서울에 이르는 제2봉수로에 속한 곳이다. 이곳 봉수대는 남쪽으로 웅천고산봉수대와 연결 되고 북으로는 칠서의 안곡산봉수대와 연결 된다.』

 

 

 

 

 

1899년에 편찬한 창원읍지(昌原邑誌) 군액(軍額)에 의히면 봉수군

(烽燧軍)

은 200명이다.


창원부읍지(昌原府邑誌) 봉수(烽燧)에는 2개의 봉수에 대한 기록이 있다.

성황당봉수(城隍堂烽燧)
창원도호부에서 서쪽 15리에 있다. 동쪽으로 웅천고산봉수(熊川高山烽燧)에 응해서 북으로 칠원 안곡산봉수(安谷山烽燧)에 보고한다. 서로의 길이가 25리 이다.
[城隍堂烽燧 在府西十五里 東應熊川高山 北報漆原安谷山 相距二十五里]

 

* 이 봉수는 합포구 회원2동과 두척산(현 무학산) 사이에 있는 성황당산에 있다. 요즘 지도에는 봉화산(奉火山)이라 표기되어 있다.

*안곡산(安谷山)은 해발 344.2m로서 칠서면 회산리 뒷산임과 동시에 대산면 대사리 뒷산이기도 하다.「安谷山」은 임란(壬亂)전까지 불렀던 이름이고 임란 후부터는 「安國山」으로 불렀고 지금은 안국산으로 표기하고 있다. 안국산봉수와는 직선거리로 13.06km 거리에 있다.

*웅천고산봉수와의 거리는 8.82km이다.

 

여음포봉수(餘音浦烽燧)
창원도호부에서 서쪽으로 60리에 있다. 동쪽으로 웅천사화랑봉수(熊川沙火郎烽燧)에 응해서 서쪽으로 진해 가라포봉수(加羅浦烽燧)에 보고한다. 서로의 거리가 30리 이다.
[餘音浦烽燧 在府西六十里 東應熊川沙火郎 西報鎭海加羅浦 相距三十里]

 

* 여음포봉수는 합포구 남포리 뒷산인 봉화재에 있다. 지금 이곳에는 천주교마산교구교육관이 있다.
* 가라포봉수는 보통 가을포봉수(加乙浦烽燧)라 부르며 합포구 진동면 요장리(寥場里) 가르멜수도원 위쪽 200m 지점에 있다.

 

 

 

 

양덕동 방향을 조망한 모습

 

세종실록 150권, 지리지 경상도 진주목 창원 도호부
烽火三處, 長卜山在府南、【東準熊神 沙火郞, 西準會原 餘浦】 餘浦、【北準金海 莞浦縣高山】 城隍堂在古會原縣北。【東準莞浦。北準漆原 在谷山】
봉화가 3곳이니, 장복산(長卜山)은 부(府) 남쪽에 있다. 【동쪽으로 웅신(熊神) 사화랑(沙火郞)에 응하고, 서쪽으로 회원(會原) 여포(餘浦)에 응한다.】 여포(餘浦) 【북쪽으로 김해(金海) 완포현(莞浦縣)의 고산(高山)에 응한다.】 성황당(城隍堂)은 예전 회원현(會原縣)의 북쪽에 있다. 【동쪽으로 완포(莞浦)에 응하고, 북쪽으로 칠원(漆原) 재곡산(在谷山)에 응한다.】

 

가덕도 천성연대봉수 → (12.88km)웅천 사화랑봉수 → 장복산봉수 → (10.87km)장복산봉수 실체고산봉수 → (9.6km)창원 성황당봉수 → (13km)칠원 안곡산봉수 → 영산 소산봉수1, (15.16km)영산 소산봉수2 → (4.58km)창녕 여통산봉수 → (14.35km)창녕 합산봉수 [봉수노선 제2거 간봉(6)]

 

 

 

 

석전동 일대를 조망한 모습

 

김종하가 쓴 창원군지(1962)에는 이처럼 적었다.
창원부 내에는 고대의 성채(城寨)가 많고, 봉수(烽燧)의 수가 많은 것은 우리나라 남단요충지대(南端要衝地帶)이므로 연해안방위상(沿海岸防衛上) 필요한데서 기인(起因)된 것이다. 높은 산을 이용하여 변경(邊境)의 소식(消息)을 중앙에 통달(通達)시키는 제도가 생겼으니 이것을 봉수라 한다. 중국은 주(周)나라 시대에 생겼고 우리나라는 고려의종삼년(高麗毅宗三年, 1149) 당시 서북병마사조진약(西北兵馬使曹晋若)의 진주(陳奏)로 생겨난 것이니 높은 산에 있다. 대(臺)를 짓고 약간의 시설로서 이를 지키는 방정(防丁)으로 하여금 주연야화(晝烟夜火)로 봉봉상전(峯峯相傳)하여 중앙에 중보(中報)하게 되어 봉수소(烽燧所)에는 방정약간명(防丁若干名)을 두었는데 이씨조선에서도 이를 습용(襲用)하였다.
이조(李朝)의 국전(國典)에는 방정(防丁)을 봉수군(烽燧軍)이라 하였다. 봉수(烽燧)가 일거(一炬)면 무사(無事)로 (平時), 이거(二炬)면 적동(敵動), 삼거(三炬)면 적근경(敵近境), 사거(四炬)면 적범경(敵犯境), 오거(五炬)면 접전(接戰), 연일접전(連日接戰)할 때는 밤이면 섶(柴)를 쌓고 그 위에 이리 똥(狼糞)으로 연소(連燒)시키고, 낮이면 번시(燔柴)하여 연기(烟氣)로서 서로 통하였다. 서울서는 남부소장(南部所長)으로부터 병조(兵曹)에 고(告)하고, 병조는 왕궁(王宮)에 주상(奏上)하며 지방에서는 봉장(烽將)으로부터 이를 주진(主陣)에 고하였다. 봉수가 철폐(撤廢)된 때는 고종31년(高宗三十一年)이다.

 

【성황당봉수(城隍堂烽燧)】 서사십오리지점(西四十五里地點) 봉상(峯上)에 있다.(현재 마산입구 봉화재) 동쪽으로 웅천고산(熊川高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칠원안곡산(漆原安谷山)에 응한다. 이십오리(二十五里)의 거리이다.
【여음포봉수(餘音浦烽燧)】 부서(府西)쪽 육십리지점(六十里地點)에 있다. 동쪽으로 웅천사화랑(熊川沙火郎)에 응하고 서쪽으로는 진해현가을포(鎭海縣加乙浦)에 응한다. 삼십리(三十里)의 거리이다.
【천성연대봉수(天城烟臺烽燧)】 웅천현 남쪽 수로삼십리지점(水路三十里地點)에 있다. 남쪽으로 대마도(對馬島)를 바라보고 동쪽으로 김해성화례봉수(金海省火禮烽燧)에 응하는데 수로삼십리거리(水路三十里距離)이고 서쪽으로 사화랑(沙火郎)에 응하는데 수로이십오리(水路二十五里) 거리이다.
【사화랑봉수(沙火郎烽燧)】 현서남문(縣西南門) 육리지점(六里地點)에 있다. 동쪽으로 천성연대(天城烟臺)에 응하고 서쪽으로 창원여음포(昌原餘音浦)에 응한다. 수로이십오리(水路二十五里) 거리이다.
【고산봉수(高山烽燧)】 현서(縣西)쪽 이십오리지점(水路二十五里地點)에 있다. 동쪽으로 사화랑(沙火郎)에 응하는데 육로삼십오리(陸路三十五里) 거리이고, 북쪽으로 창원성황당(昌原城隍堂)에 응하는데 육로이십오리(陸路二十五里) 거리이다.
【장복산봉수(長福山烽燧)】 동쪽으로 사화랑(沙火郎)에 응하고 서쪽으로 고산(高山)에 응한다.
【성산봉수(城山烽燧)】 중종병인(中宗丙寅)에 천성연대(天城烟臺)에 이전(移轉)하였다.
【가을포봉수(加乙浦烽燧)】 진해현(鎭海縣) 동쪽 사리지점(四里地點)에 있다. 서쪽으로 고성현곡산(固城縣曲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함안읍파산(咸安邑巴山)에 응한다.

 

 

 

 

광여도


광여도 창원부를 보면 근주연 위쪽에 성황당봉(城隍堂烽)이라 쓰고 붉은 표시로 봉수대를 표시 했다. 또한 칠원계라 표기하고 여포봉(餘浦烽)이라는 봉우리 위에 붉은색으로 봉수대를 표시했다.

 

출처 및 참조
역주 창원부읍지-창원문화원(2005.12.30.)-민긍기
창원군지-국제신보출판사(1962.9.20.)-유당 김종하
경남지역봉수Ⅱ-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2013.11.30.)-강순형
조선시대의 연변봉수-한국학술정보(주)(2010.11.5.)-김주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