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야생화-나무

소매물도의 모새나무

천부인권 2018. 5. 4. 06:00

 

 

 

다음 위성지도-소매물도 캡쳐

 

소매물도는 남북방향으로 길게 형성이 되어있으며 썰물 때는 소매물도의 떨어진 섬, 등대섬으로 갈 수 있는 길이 열리는 신비로운 섬이다. 면적은 330,000㎡(부속섬 포함 면적)으로 큰 섬이 아니다. 선착장에서 동쪽 대매물도 방향으로 걸으면 남매바위를 지나고 북동쪽 끝 부분까지는 거의 평지를 걷는 것과 같다. 이후 동쪽에서 산정상부위로 오르는 길은 가파르지만 경관을 감상 할 수 있는 전망대를 만나기도 한다. 총길이는 1.4km이고 일반적 걸음으로 50분 정도가 소용되는 구간만 체험했다.
이번 소매물도 방문은 “엄마도 생태환경교육 선생님하기 교실”의 프로그램으로 소매물도의 생태환경 중 난대지역의 나무에 관한 공부를 하는 여행이다. 소매물도는 자연경관이 뛰어나 대부분 경관을 찾아서 여행을 오는 곳으로 알려졌지만 우리 일행들처럼 난대지역의 생태를 체험하기 위해 방문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소매물도 생태안내를 나무박사로 알려진 박정기 선생이 전체 교육을 맡아 진행 했다. 이름도 생소한 모새나무를 설명하고 일행들은 산행을 시작 했는데 이 모새나무를 찍느라 시간을 허비하여 잠깐 일행들의 무리를 놓쳤다. 서둘러 찍느라 제대로 특징을 담지도 못했고 바람과 짙은 해무(海霧)로 점점 힘들어지기 시작한다.

 

 

 

 

2018.5.2. 소매물도에서 본 모새나무 잎


피자식물(ANGIOSPERMS),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AE), 오아과아강(DILLENIIDAE), 진달래과(Ericaceae), 산앵도나무속(Vaccinium), 모새나무의 학명은 Vaccinium bracteatum Thunb이다.

 

 

 

 

2018.5.2. 소매물도에서 본 모새나무 잎 뒷면

 

중국 중남부지역과 일본, 말레이시아, 인도차이나, 타이완, 우리나라 서해(西海)·남해(南海) 도서(島嶼) 지역 및 제주도의 풀밭에 분포 한다.
상록관목 또는 소교목이며 높이 2~9m까지 자란다. 나무의 수피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지만 오래되면 적자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4~9cm의 타원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 부분은 쐐기형이며 가장자리에는 얕은 톱니가 있다. 잎 질감은 두꺼운 가죽질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맥측은 5~7쌍이다.
꽃은 6~7월에 2년지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차례에 백색의 양성화가 모여 달린다. 화관은 길이 5~7mm의 항아리 모양이고 겉에 털이 밀생하며 끝이 5갈래로 갈라져 뒤로 젖혀진다. 꽃받침도 끝이 5갈래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수술은 10개이고 털이 있으며 암술대는 화관 밖으로 약간 나온다.
열매는 지름 6~7mm의 구형이며 10~11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새콤달콤한 맛이 나며 식용하거나 잼,파이를 만든다.

 

 

 

 

2018.5.2. 소매물도에서 본 모새나무 수피

 

모새나무는 잎이 두껍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점과 꽃이 백색이며 꽃자루에 포가 오랫동안 남아있는 것이 특징이다. 서·남해 도서(島嶼)에는 대부분 관목(灌木)으로 자라지만 제주도에는 줄기의 지름이 10cm이상, 높이 6~7m의 소교목(小喬木)으로 자라는 개체가 있다.

 과실은 南燭子(남촉자), 根(근)은 南燭根(남촉근), 葉(엽)은 南燭葉(남촉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南燭子(남촉자)
①8-9월에 과실이 익으면 따서 햇볕에 말려서 건조한 곳에 둔다.
②성분 : 건조과실은 당분 약 20%, 遊離酸(유리산) 7.02%(주로 사과산, 구연산과 주석산 소량)를 함유한다.
③약효 : 益腎(익신), 固精(고정), 强筋(강근), 明目(명목)의 효능이 있다. 長期(장기)에 걸친 설사, 夢精(몽정), 久痢久瀉(구리구사), 赤白(적백)의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2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혹은 丸劑(환제)로 해서 복용한다.
⑵南燭根(남촉근) - 散瘀(산어),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⑶南燭葉(남촉엽)
①8-9월에 일년생가지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건조한 장소에 저장한다.
②성분 : Hentriacontane, friedelin, epifriedelanol(epifriedelinol, friedelan-3β-ol), quercetin(quercetol), isoorientin(homoorientin), p-hydroxycinnamic acid, myoinositol(meso-lnositol)을 함유한다.
③약효 : 益精氣(익정기), 强筋骨(강근골), 明目(명목), 止下痢(지하리)의 효능이 있다.
④용법/용량 : 6-9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膏劑(고제),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출처 및 참조]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시스템-식물
한국의 나무(2014.9.1.), 돌베개- 저자 김진석, 김태영

나물먹고 물마시고 풀베개-식물도감 모새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