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봉수대

창원시 웅천 장복산봉수를 찾아

천부인권 2018. 10. 28. 12:19


2018.10.27 장복산 정상


창원시 진해구 태백동 산 52-1번지는 장복산(長福山, 해발 582.2m) 정상부의 주소이다. 교남지권지73(嶠南誌卷之七十三) 웅천군(熊川郡)의 기록 중 봉수(烽燧)에 대한 기록에 의하면 이곳에 장복산봉수(長福山烽燧)가 있었다고 기록 되어 있다. 또한 신증 동국여지승람(新增 東國輿地勝覽)의 봉수(烽燧)에도 장복산봉수가 기록되어 있다.
창원시 진해구 지역, 즉 옛 웅천지역에는 임진왜란 때 최초로 봉수를 올린 가덕도(加德島)의 말곶망봉수(末串望烽燧)와 천성연대봉수(天城煙臺烽燧)가 있고, 육지로 오면 사화랑봉수(沙火郞烽燧)을 만난다. 봉수의 흔적이 남아 있는 관출산봉수가 있으며 기록에 남은 장복산봉수 및 고산봉수가 있다. 그러나 관출산봉수나 고산봉수는 군사보호지역이라 일반인 출입이 제한되어 찾아 갈 수가 없다. 그래서 기록에서나마 남아 있는 장복산봉수를 찾아보았다.
장복산으로 가는 가장 짧은 거리는 경사가 심하긴 하지만 삼밀사 입구에서 약 850m오르면 정상에 이른다. 중간 정도 오르면 깎아지른 절벽에 알프스와 에베레스트에서 영면한 김중광, 윤치원을 기리는 동판을 진해산악회에서 제작해 붙여 두었다.
장복산 정상에서는 가덕도, 거제, 구 창원 및 합포, 회원 등이 보이고 멀리 고성군, 칠원면, 동읍 등이 보이는 곳이다. 지금 정상에는 봉수가 있었다는 어떠한 흔적도 남아있지 않으며 실재 봉수가 있었다 해도 봉수군이 머무를 집이 있을만한 공간을 찾기가 쉽지 않다.




2018.10.27 알프스와 에베레스트에서 영면한 김중광, 윤치원을 기리는 동판


이곳 장복산봉수(長福山烽燧)에서 동쪽과 소통하는 사화랑봉수(沙火郞烽燧)까지의 직선거리는 10.85km이고, 서쪽으로 응하는 성황당봉수(城隍堂烽燧)까지는 10.22km이며, 고산봉수(高山烽燧)까지는 3.43km에 불과하다. 그리고 남쪽 방향의 여음포봉수(餘音浦烽燧)와는 11.36km로 대부분 10km정도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봉수가 철폐(撤廢)된 때는 고종31년(高宗三十一年)인데 장복산봉수(長福山烽燧)는 임진왜란 이후 기록이 없고 고산봉수만 기록하고 있는 것을 봤을 때 두 봉수의 거리가 가까워 관리를 하는 완포현 고산성(莞浦懸 古山城) 내에 있는 고산봉수로 합친 것으로 생각된다.




장복산 정상의 서쪽에서 동쪽 장복산을 본 모습



장복산의 동쪽에서 본 서쪽방향


유당(攸堂)이 쓴 창원군지에는 이렇게 적었다.

창원부 내에는 고대의 성채(城寨)가 많고, 봉수(烽燧)의 수가 많은 것은 우리나라 남단요충지대(南端要衝地帶)이므로 연해안방위상(沿海岸防衛上) 필요한데서 기인(起因)된 것이다. 높은 산을 이용하여 변경(邊境)의 소식(消息)을 중앙에 통달(通達)시키는 제도가 생겼으니 이것을 봉수라 한다. 중국은 주(周)나라 시대에 생겼고 우리나라는 고려의종삼년(高麗毅宗三年, 1149) 당시 서북병마사조진약(西北兵馬使曹晋若)의 진주(陳奏)로 생겨난 것이니 높은 산에 있다. 대(臺)를 짓고 약간의 시설로서 이를 지키는 방정(防丁)으로 하여금 주연야화(晝烟夜火)로 봉봉상전(峯峯相傳)하여 중앙에 중보(中報)하게 되어 봉수소(烽燧所)에는 방정약간명(防丁若干名)을 두었는데 이씨조선에서도 이를 습용(襲用)하였다.
이조(李朝)의 국전(國典)에는 방정(防丁)을 봉수군(烽燧軍)이라 하였다. 봉수(烽燧)가 일거(一炬)면 무사(無事)로 (平時), 이거(二炬)면 적동(敵動), 삼거(三炬)면 적근경(敵近境), 사거(四炬)면 적범경(敵犯境), 오거(五炬)면 접전(接戰), 연일접전(連日接戰)할 때는 밤이면 섶(柴)를 쌓고 그 위에 이리 똥(狼糞)으로 연소(連燒)시키고, 낮이면 번시(燔柴)하여 연기(烟氣)로서 서로 통하였다. 서울서는 남부소장(南部所長)으로부터 병조(兵曹)에 고(告)하고, 병조는 왕궁(王宮)에 주상(奏上)하며 지방에서는 봉장(烽將)으로부터 이를 주진(主陣)에 고하였다. 봉수가 철폐(撤廢)된 때는 고종31년(高宗三十一年)이다.


【성황당봉수(城隍堂烽燧)】 서사십오리지점(西四十五里地點) 봉상(峯上)에 있다.(현재 마산입구 봉화재) 동쪽으로 웅천고산(熊川高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칠원안곡산(漆原安谷山)에 응한다. 이십오리(二十五里)의 거리이다.
【여음포봉수(餘音浦烽燧)】 부서(府西)쪽 육십리지점(六十里地點)에 있다. 동쪽으로 웅천사화랑(熊川沙火郎)에 응하고 서쪽으로는 진해현가을포(鎭海縣加乙浦)에 응한다. 삼십리(三十里)의 거리이다.
【천성연대봉수(天城烟臺烽燧)】 웅천현 남쪽 수로삼십리지점(水路三十里地點)에 있다. 남쪽으로 대마도(對馬島)를 바라보고 동쪽으로 김해성화례봉수(金海省火禮烽燧)에 응하는데 수로삼십리거리(水路三十里距離)이고 서쪽으로 사화랑(沙火郎)에 응하는데 수로이십오리(水路二十五里) 거리이다.
【사화랑봉수(沙火郎烽燧)】 현서남문(縣西南門) 육리지점(六里地點)에 있다. 동쪽으로 천성연대(天城烟臺)에 응하고 서쪽으로 창원여음포(昌原餘音浦)에 응한다. 수로이십오리(水路二十五里) 거리이다.
【고산봉수(高山烽燧)】 현서(縣西)쪽 이십오리지점(水路二十五里地點)에 있다. 동쪽으로 사화랑(沙火郎)에 응하는데 육로삼십오리(陸路三十五里) 거리이고, 북쪽으로 창원성황당(昌原城隍堂)에 응하는데 육로이십오리(陸路二十五里) 거리이다.
【장복산봉수(長福山烽燧)】 동쪽으로 사화랑(沙火郎)에 응하고 서쪽으로 고산(高山)에 응한다.
【성산봉수(城山烽燧)】 중종병인(中宗丙寅)에 천성연대(天城烟臺)에 이전(移轉)하였다.
【가을포봉수(加乙浦烽燧)】 진해현(鎭海縣) 동쪽 사리지점(四里地點)에 있다. 서쪽으로 고성현곡산(固城縣曲山)에 응하고 북쪽으로 함안읍파산(咸安邑巴山)에 응한다.




장복산 정상에서 본 동남방향의 모습


웅천현 읍지의 봉수 편에는 웅천지역 봉수를 이렇게 적었다.


天城煙臺烽燧 : 在縣南水路三十五里 南望對馬島 東報金海省火禮烽燧相距水路三十里 西報縣沙火郞烽燧相距水路三十五里
천성연대봉수 : 현에서 남쪽으로 수로 35리 지점에 있다. 여기에서 남쪽으로 대마도를 바라 볼 수 있다. 동쪽으로는 김해 성화례 봉수대로 알리며 거리는 수로 30리가 되고, 서쪽으로는 본 현의 사화랑 봉수대로 알리며 수로 35리가 된다.
沙火郞烽燧:在縣西南間六里 東應天城煙臺烽燧 西報昌原餘浦烽燧 相距水路二十五里
사화랑봉수 : 현에서 서남간 6리 지점에 있다. 동쪽으로 천성연대 봉수의 신호를 받아 서쪽으로 창원 여포봉수대¹⁾로 알린다. 그 사이 거리는 수로 25리 이다.
高山烽燧 : 在縣西三十五里 東應沙火郞烽燧 相距陸路三十五里 北報昌原城隍堂烽燧 相距陸路二十五里
고산봉수²⁾:현에서 서쪽으로 35리 지점에 있다. 동쪽으로 사화랑 봉수대의 신호를 받으며 그 사이의 거리는 육로로 35리 이다. 북쪽으로 창원 성황당 봉수대에 알리며 그 사이는 육로 25리 이다.


여포(餘浦)봉수대¹⁾는 여음포(餘音浦)를 말하며 당시 여음포는 칠원현의 구산진의 영역이었지만 봉수대는 창원부에 속했다. 현재 마산합포구 구산면 난포리 156-1번지의 천주교마산교구교육관이 위치한 봉화산의 봉수대를 말한다.
고산봉수²⁾는 창원시 진해구 비봉동 뒤쪽 현 통제부 동문지 위쪽에 위치한 산.




동쪽방향을 당겨 촬영한 모습



장복산에서 본 서남방향 모습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산천에는 이렇게 기록했다.


高山 在莞浦縣北五里 距本縣四十五里
웅천 고산(熊川 高山)에 대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웅천현(熊川縣) 산천(山川)에는 완포현 북쪽 5리 지점에 있는데 본 현과는 45리 거리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봉수에는 이렇게 기록했다.


加德島烽燧 : 東應金海府省火禮山 西應沙火郎山
가덕도봉수 : 동쪽으로 김해부 성화례산에 응하고, 서쪽으로 사화랑산에 응한다.
沙火郎山烽燧 : 在縣南六里 東應加德島 西應昌原府餘音浦及縣長福山
사화랑산봉수 : 현 남쪽 6리에 있다. 동쪽으로 가덕도에 응하고 서쪽으로 창원부 여음포와 본 현 장복산에 응한다.
長福山烽燧 : 東應沙火郎山 西應高山
장복산봉수 : 동쪽으로 사화랑산에 응하고 서쪽으로 고산에 응한다.
高山烽燧 : 東應長福山 南應昌原府餘音浦 西應同府城隍山
고산봉수 : 동쪽으로 장복산에 응하고 남쪽으로 창원부 여음포에 응하며, 서쪽으로 창원부 성황산에 응한다.
【新增】 城山烽燧 : 正德丙寅 移加德島烽燧于此
【신증】 성산봉수 : (명나라) 정덕 병인(1506)년에 가덕도 봉수로 옮겼다.




남쪽방향의 여음포봉수와 뒤쪽의 가조도가 있는 풍경


교남지권지73(嶠南誌卷之七十三) 웅천군(熊川郡)의 기록 중 봉수(烽燧)에 대한 기록은 이렇게 적었다.


加德島烽燧 : 在郡南水路三十五里南望對馬島 東應金海省火禮山相距水路三十里 西應沙火郎山相距水路三十五里
가덕도봉수 : 군에서 남쪽 바닷길로 35리에 있으며, 남쪽의 대마도를 바라본다. 동쪽에 응하는 것은 김해 성화례산봉수이며 서로의 거리는 바닷길로 30리이다. 서쪽에 응하는 것은 사화랑산봉수이며 서로의 거리는 바닷길로 35리이다.
沙火郎山烽燧 : 在郡西南六里 東應加德島 西應昌原余音浦及本郡 長福山相距水路二十五里
사화랑산봉수 : 군에서 서남쪽 6리에 있으며, 동쪽으로 가덕도봉수에 응하고 서쪽으로 창원 여음포봉수에 응하며 본군에서 관리한다. 장복산봉수와 서로의 거리는 바닷길로 25리이다.
高山烽燧 : 東應長福山 南應昌原余音浦 西報昌原城隍山
고산봉수 : 동쪽으로 장복산봉수에 응하고, 남쪽으로 창원 여음포봉수에 응하며, 서쪽의 창원 성황산봉수에 알린다.
長福山烽燧 : 在郡西三十五里 東應沙火郎山 北應報昌原城隍山相距陸路三十五里
장복산봉수 : 군에서 서쪽으로 35리에 있으며, 동쪽으로 사화랑산봉수에 응하고, 북쪽의 창원 성황산봉수에 알리며 서로의 거리는 육로로 35리에 있다.
城山烽燧 : 燕山丙寅移加德島烽燧于此
성산봉수 : 연산(제비산)에 있던 것을 병인년(1506)에 가덕도봉수로 이전했다.




서남방향의 고산봉수 추정지


가덕도 천성연대봉수 → 웅천 사화랑봉수 → 장복산봉수 장복산봉수 실체고산봉수 창원 성황당봉수 → 칠원 안곡산봉수 → 영산 소산봉수1, 영산 소산봉수2 창녕 여통산봉수 창녕 합산봉수 [봉수노선 제2거 간봉(6)]





출처 및 참고


국역 웅천현읍지-진해문화원(1993.12.30.)/황정덕
교남지권지73(嶠南誌卷之七十三)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경남지역의 봉수Ⅱ-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2013.11.30.)/강순형

창원군지-국제신보출판사(1962.9.20.)/김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