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기록들/향교와 뿌리

창녕향교 명륜당 동서재 중수기

천부인권 2020. 3. 16. 14:03

 

2020.3.9. 창녕향교 외삼문 추한문 秋漢門

 

창녕군 교리 440(향교길 54)은 옛 우리나라 전통 교육기관인 창녕향교昌寧鄕校가 위치한 곳으로 1983년 8월 6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2호로 지정된 곳이다. 구글 지도의 좌표로는 「위도 35°32'51.9"N 경도 128°29'52.7"E」를 표시한다.
창녕향교昌寧鄕校 대성전大成殿 영역과 중수기重修記』로 이미 창녕향교 기록의 대략적 내용을 블로그에 올렸다. 그리고 기록하지 못한 학업學業의 공간인 명륜당明倫堂에 대한 기록들을 정리한다. 창녕향교중수기昌寧鄕校重修記, 명륜당중수기明倫堂重修記, 동서재중건기東西齋重建記 및 학생들의 지침서가 되는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이 편액으로 걸려 있어 이를 해문 한 내용도 포함 했다. 아직 옮기지 못한 편액들은 이후 아래에 올릴 것이다.

 

 

창녕향교 솟을대문 추한문秋漢門 편액
창녕향교 명륜당 정면도

 

2020.3.9 창녕향교 명륜당 전경

 

명륜당明倫堂 편액

 

 

昌寧鄕校重修記
昨年春鄕校大成殿東西廡明倫堂次第重修費 日若千工費 約累十萬圜 旣得竣事 鄕中僉公 以在鴻猥任典校之責 與知玆役始末屬 以記事之文 顧年尙淺識 又蔑不敢當 是寄然僉 公之意不可 終負乃忘儧率 而敬爲之記曰 吾鄕之有校宮 不知起於何代 何年中間修葺 亦爲幾回 而以余目觀 而言之粵 在癸丑殿宇偶被火變 諸父老大爲驚懼盡力 趍事不日 而殿貌復古 奉安位牌 以爲吾鄕之大慶 自是歷數十星霜 而又不免 有滲漏之患至於 庚寅兵燹之極 棟宇雖存 而門窓廳壁頹敗且甚 享祀之日 齋宿有艱 乃於乙未 秋享之席 余發論於僉公曰 有是鄕而不可 無是校僉公之所知也 重修之事可以緩之乎 僉曰唯然 以物力之巨大難辨爲慮 余又告曰 逐戶而排不若隨門中 而以大小分定僉曰 可於是排定各門 使掌儀隨 其所在面鳩金 而入總一百十餘萬圜 用是充重修之費 其殘得土田與米穀 以爲享祀之用 典守之給繼 此撙節用之可免 此校之窘 此重修之事實大畧也 又有一言奉勗 於僉公者校 則雖修不 以夫子之道 修其身以齊 其家且以及人使 吾夫子之道 永永相傳於此邦 是所今日大願也 是役也掌儀 成晉永 李憲吉 金熙大 楊鵬周 曺廷烈 河大瓘 盧乃煥 成樂祚 李鍾珪 諸君有賢勞 亦不可不書
歲丁酉二月下澣 典校 光州 盧在鴻 謹記

 

창녕향교중수기 昌寧鄕校重修記
작년 봄에 향교 대성전과 동서무 명륜당을 차례로 중수하니 일수도 약간 걸리고 공사비도 수십만환이라 공사가 마무리 되니 향중의 여러분이 재홍在鴻으로 하여금 전교의 중임을 맡기고 이 역사役事의 시말을 안다하여 기문 쓰기를 맡기는지라 돌아보니 아는 것도 부족하고 하여 감당하기 어려우나 그러나 여러분의 뜻을 저버리지 못하겠도다. 이에 참람함을 잊고 공손히 기록하노니 우리 고을에 향교가 있으나 언제 일어났으며 중간에 몇 번이나 중수하였는지 알지 못하겠노라. 내가 본 대로 말하면 계축년癸丑年에 향교가 화재를 당하니 모든 부로父老가 크게 놀라 힘을 다하여 일을 추진하니 짧은 시일 안에 향교의 모습을 도로 찾아 위패位牌를 봉안 하니 우리 고을의 큰 경사라. 이로부터 수 십 년간 비새는 근심을 면하였다. 경인년庚寅年 난리를 만나 집은 비록 있으나 문창과 벽의 허물어짐이 심하니 향사 날에 재계하고 잠자는 것이 어럽더라. 이에 을미乙未 축향 때에 내가 여러분에게 말하기를 우리 『고을에 향교가 없어서는 안되는 것은 여러분이 아는 바이니 중수하는 일을 늦추어서 되겠는가?』하니 여러분이 말하기를 『그러나 재력이 많이 드는 것이 염려된다.』 하거늘 내 또한 말하기를 『호별 배정은 문중의 대소에 따라 배정하는 것만 못하다.』하니 여러분이 옳다 하는지라 이에 문중별로 배정하여 장의로 하여금 각 면面별로 수금하니 총 일백십여一百十餘만환이라. 중수비용을 충당하고 남은 돈으로 전답과 미곡을 사서 향사에 쓰고 고직雇直의 급여를 주며 계속 규정대로 절용하니 군색을 면하더라. 이것이 중수한 사실의 대략이라. 또 한 말씀 더하면 여러분이 힘써 향교를 중수하였더라도 공자의 도를 행하지 않고 몸을 닦고 집을 다스리고 나라와 같이 한다 하더라도 이것은 밖으로는 공자를 높이고 안으로는 공자를 높이지 않는 것이라. 여러분은 각자 힌써 윤리를 밝히고 몸을 삼가며 나를 미루어 남에게 미치게 하고 나로 하여금 공자의 도를 실천하게 하여 오래오래 우리나라에 전하게 하는 것이 오늘의 큰 소망이라. 이 사실에 힘쓴 장의 성진영成晉永 이헌길李憲吉 김희대金熙大 양붕주楊鵬周 조정렬曺廷烈 하대관河大瓘 노내환盧乃煥 성낙조成樂祚 이종규李鍾珪 제군의 노고가 많으니 쓰지 않을 수 없구나
정유丁酉(1957) 2월 하한 전교 광주 노재홍盧在鴻 삼가 기록함.

 

 

 

明倫堂重修記
往在癸丑年間吾鄕文廟厄于火災 境內人士旣倉皇鳩孱僅復 其顧斯堂之久已頹圮 合再修繕者 以力之絀也 姑未暇爲矣夫以 先聖先師春秋釋典之齋宮 一郡縫章講道明倫之重所 而猶且任其如是嗚乎 世道之變斯文之厄詢可 爲太息流涕者矣 余以菲才忝在校任 朝夕登降于 斯堂周瞻軒廡 每爲之慨然傷懷 謀所以重新之道會 知郡事李侯章善氏力贊 其事爲之措 畵工費分付任事易 其腐黑支其傾側閱 若干日功告訖 雖未能纖悉畢修煥然改觀 而其視向日之風漂 雨撓岌岌若不可保者 則可謂一切革新矣 物之廢興自有其時固亦有待也 歟雖然事常貴於有繼 功每虧於忘前 吾願今後吾鄕之人士 曁爲吏於是邦者 其亦有以體李侯今日之志 則斯堂之水水歟天壤相弊也 殆可幾矣 聊記其梗槩且以諗于來者 丙寅仲夏之上瀚
夏山 成頀永 謹撰

 

명륜당중수기 明倫堂重修記
지난 계축년癸丑年(1913) 사이에 우리 고을 문묘文廟가 화재의 액厄이 있자. 경내境內의 인사들이 이미 창황倉皇¹⁾하여 잔약孱弱함을 모아 겨우 그 묘우廟宇만 복원하였다.
돌이켜 보니 이 명륜당은 오랫동안 이미 퇴락하고 무너져 두 번이나 수선修繕하였던 것은 재력財力이 졸렬拙劣하여 우선 중수할 겨를이 없어서 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대체로 선성先聖과 선사先師에게 봄가을에 석전釋典을 올리는 재궁齋宮으로서 한 고을의 봉액縫掖²⁾한 장보章甫(선비)들이 도道를 강론하고 인륜人倫을 밝히는 중요한 장소인데도 오히려 또한 그것이 이와 같이 되도록 맡게 두었으니 아! 세상의 도道가 변하였음과 사문斯文의 액운은 참으로 가히 태식太息³⁾하며 눈물을 흘릴 것이었다.
나는 변변치 못한 재능으로서 욕되게도 향교의 임원에 있으며 아침과 저녁으로 이 명륜당에 올라가고 내려오며 두루 난간과 월랑을 우러러 보면서 매번 슬프게 가슴이 상심되어 중수하여 새롭게 할 방도를 도모하였더니 때마침 군사이신 원님 이장선씨李章善氏가 그 일에 힘껏 찬조贊助하며 위하여 조치措置하고 계획하며 일의 임원任員을 분부分付하여 그 부폐腐敗하여 검은 것은 바꾸고 그 옆으로 기울어진 것은 부지扶支하여 약간若干의 시일時日에 공功을 마침 고告하게 되었다.
비록 능히 모두 섬세纖細하게 다 수선修繕하여 환하게 경관景觀을 바꾸지는 못하였으나 그야말로 지난 바람에 표류漂流하고 비에 흔들거려 위험하여 가히 보전하지 못할 것과 같음을 비교하여 본다면 가히 일체一切로 혁신革新하였다고 말할 수 있으리라.
사물事物이 폐허廢墟가 되고 부흥復興함은 저절로 그 시기가 있나니 진실로 기다림이 있었음이리라. 비록 그러나 일이란 항상 계승함이 있음을 귀貴하게 여기고 공功은 전철前轍을 잊음에서 이지러지나니 나는 원願하오니 지금 이후로 우리 고향의 인사人士와 그리고 이 고을 관리가 된 자들은 그야말로 역시 원님 이장선李章善이 오늘에 뜻을 체득體得함이 있다면 이 명륜당明倫堂이 영원히 천양天壤⁴⁾과 더불어 길이 서로 폐弊하여짐이 자못 가히 서기庶幾⁵⁾이리라.
애오라지 그 경개梗槩⁶⁾를 기록하고 또 미래에 올 사람들에게 말 하였노라.
하산夏山 성호영成頀永 삼가 찬양의 글을 기록하노라.

 

【주석】
창황倉皇¹⁾ : 어찌할 겨를이 없이 매우 급함.
봉액縫掖²⁾ : ‘봉액지의縫掖之衣’를 이르며 예전에 선비가 입던, 옆이 넓게 터진 도포道袍
태식太息³⁾ : 한숨 쉼
천양天壤⁴⁾ : 천지天地
서기庶幾⁵⁾ : 이상理想에 가까움.
경개梗槩⁶⁾ : 대강의 줄거리

 

 

창녕향교 동재東 齋 모습

 

창녕향교 서재 西齋 모습

 

 

東西齋重建記
前韓末癸丑年間 吾鄕校宮 不幸以灾火 燒失旣而明倫堂 雖爲重建復古 而東西齋舍 則尙今未遑 歷代任員 與父老每春與秋享祀之餘 常慊然慨恨而至此矣 至去歲甲子 以余之不肖猥蒙校任 與諸掌儀及 鄕中章甫協議遂議 以中埜孫戊尙 特捐之資材 政府之保助 鄕內外有志之義捐 乃營之作之越 明年而成視 舊而敞盖七十有年之宿 望成於玆矣 當此斯道荒亡之世 豈非秉彛極天岡墜者 歟役旣畢咸 以爲不可無記 余以膚淺無文 畧敍如右 以備後日之故實云爾
孔夫子誕降二千五百三十八年 丁卯八月日
典校 成瀚慶 謹記

 

동서재중건기 東西齋重建記
이전 조선 말기의 계축癸丑(1913)년 사이에 우리 고을의 향교가 불행하게도 화재로 소실燒失되었다. 이미 명륜당은 비록 중건重建을 하여 옛날처럼 회복이 되었으나 동서의 재사齋舍는 아직도 겨를이 없어 못하다가 역대歷代의 임원과 그리고 부로父老들이 매년 봄과 그리고 가을의 향사享祀를 마친 나머지 항상 서운하게 슬퍼하며 한탄하면서 지금에 이르렀다.
거년去年인 갑자甲子(1984)에 나의 불초不肖함으로 외람되게 교임校任을 맡아 여러 장의掌儀 및 고을 가운데 장보章甫(선비)와 더불어 협의하여 드디어 의논함에 중야中埜 손무상孫戊尙이 특별히 자재資材를 출연出捐하고 정부政府의 보조保助와 고을 내외의 유지有志들의 의연금義捐金으로 이에 경영經營하고 시작하여 명년明年에야 완성하였다. 옛날과 비교하여 보니 넓어졌으며 대개 칠십여년을 숙원하던 희망이 이제야 이루어졌다.
이렇게 사도斯道(儒學)가 황폐하게 폐망하는 세상을 만나 병이秉彛¹⁾란 하늘이 다하여도 실추失墜되지 않음이 아니랴!
동서재를 짓는 일을 이미 마치자 모두가 기문記文이 없음은 옳지 않다 하기에 나가 부천膚淺²⁾하고 문장력도 없지만 간략하게 우측과 같이 서술敍述하여 후일의 고실故實³⁾에 대비하였다고 하겠노라.
공부자 탄강 2538년 정묘丁卯(1987) 8월 일
전교 성한경成瀚慶 삼가 기록함.

 

【주석】
병이秉彛¹⁾ : 타고난 천성天性을 지킴
부천膚淺²⁾ : 생각이 얕음
고실故實³⁾ : 옛날에 있었던 사실事實

 

 

 

창녕향교 고직사 및 관리사

 

夙興夜寐箴
鷄鳴而寐 思慮漸馳 盍於其間 澹以整之 或省舊愆 或紬新得 次第條理 瞭然黙識 本旣立矣 昧爽乃興 盥櫛衣冠 端坐斂形 提掇此心 皦如出日 夫子在坐 顔曾後先 聖師所言 親切敬聽 弟子問辨 反覆參訂 事至斯應 則驗于爲 明命赫然 常目在之 事應旣已 我則如故 方寸湛然 凝神息慮 動靜循環 惟心是監 靜存動察 勿貳勿參 讀書之餘 間以游詠 發舒精神 休養情性 日暮人倦 昏氣易乘 齋莊整齊 振拔精明 夜久斯寢 齊手斂足 不作思惟 心神歸宿 養以夜氣 貞則復元 念玆在玆 日夕乾乾

 

숙흥야매잠 夙興夜寐箴 - 일찍 일어나고 늦게 잠자는 잠언箴言
닭이 울어 잠에서 깨어나면 생각이 차츰 일어나게 되니, 어찌 그 사이에 마음을 고요히 하여 정돈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혹은 지나간 잘못을 반성하고 혹은 새로 얻은 것의 실마리를 찾으면, 차례와 조리가 묵묵한 가운데 또렷해질 것이다.
근본(마음)이 확립 되었으면 새벽에 일찍 일어나서, 세수하고 머리 빗고 의관을 차리고 단정히 앉아 몸을 가다듬어
이 마음을 끌어 모으면 떠오르는 태양처럼 환할 것이니, 몸을 엄숙하게 가지런히 정돈하여 마음을 비우고 밝게 하며 고요히 한결 같게 하라
이때에 책을 펴고 성현을 마주 대하면, 공자께서 자리에 계시고 안회와 증자가 앞뒤에 서 있을 것이다
성현께서 말씀하신 것을 친절하게 귀담아 듣고, 제자들의 묻고 따지는 말을 반복해서 참고하여 바르게 고쳐야 한다
일이 생겨 대응할 경우에는 실천으로 증명해야 하고, 밝은 천명은 환하게 빛나는 것이니 항상 눈을 거기에 두어야 한다
일에 대응하고 끝나면 나는 예전과 같이, 마음을 고요히 하고 정신을 모아 사사로운 생각을 멈추게 해야 한다
움직임과 고요함이 순환하는 것을 오직 마음만은 볼 수 있으므로, 고요할 때 이 마음 잘 보존하고 움직일 때 살펴서 마음이 둘 셋으로 나뉘어서는 아니 된다
글을 읽다가 틈이 나면 간혹 노닐어서, 정신을 편안하게 피어오르게 하고 성정性情을 아름답게 길러야 한다
날이 저물어 사람이 피곤해 지면 흐린 기운이 틈타 오기 쉬우니, 몸과 마음을 잘 가다듬어 정신을 맑게 이끌어야 한다
밤이 깊어 잠잘 때는 손발을 가지런하게 모아, 아무 생각을 하지 말고 마음과 정신을 잠들게 해야 한다
밤의 기운으로 마음과 정신을 잘 기르면 정貞이 다시 원元으로 돌아 올 것이다. 이것을 항상 생각하고 마음에 두어 밤낮으로 부지런히 힘써야 한다

 

출처 및 참조

창녕향교지

夙興夜寐箴(숙흥야매잠)|작성자 유석희

문화재청-창녕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