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문화재 여행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천부인권 2023. 8. 29. 05:39

2023.8.22.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충주시 중앙탑면 탑평리 11에 위치한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은 남한강 변에 있다. 통일신라가 중원을 평정하고 세운 7층석탑으로 절의 부속 건축물이 아니라 상징적 표식물로 건설됐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로는 이 탑과 어우러질 만한 절터의 흔적이 인근에 없고 남한강의 영역 안에 있어 홍수에 대비하여 절을 지을 땅이 없다.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 석탑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높다. 탑은 높이 14.5m에 비해 너비가 좁아 가늘게 치솟은 상승감이 두드러지는 탑이다. 또한 탑이 위치한 곳은 인근의 다른 곳 보다 높은 편인데 예전부터 이곳이 높은 구릉으로 이루어져 충주에서 보았을 때 표식이 될 높이로 탑을 세웠을 것이다.
이곳에 세워 놓은 안내판의 내용에는 “1817년 해체·복원 시 6층 탑신에서 훼손된 고서류와 구리거울 2점, 목제칠합과 은제사리함이 나왔고 기단부에서는 청동함이 발견되었는데 구리거울은 고구려시대의 것으로 판명되어 이 때에도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여러 차례의 해체·복원으로 원형과 달라진 부분도 있을 것이다.”고 한다.

 

2023.8.22.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이를 다시 정리해 보면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은 1962년 국보 제6호로 지정되었으며 남한강 변의 퇴적층에 위치하며 주위보다 높은 구릉 위에 건설된 석탑으로 절터의 흔적도 없고 집을 지을 땅이 없다는 점에서 표식물로 세웠을 가능성이 높다. 이 석탑의 구조는 2층의 기단 위에 7층 탑신을 형성하고 그 정상에 상륜부相輪部를 구성한 방형중층의 일반형이다. 기단부는 10여 매의 장대석長臺石으로 구축한 지대석 위에 놓였는데 상층·하층의 면석面石과 갑석甲石이 모두 여러 장의 판석으로 짜여진 것은 이 석탑의 규모가 크기 때문이다. 특히 상륜부의 노반석이 신라시대 석탑의 단면수직층을 이루지 않고 안으로 굽었는데 이러한 점은 아마도 고려시대에 보수가 이루어진 것으로 짐작하고 있다.

 

2023.8.22.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출처 및 참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忠州塔坪里七層石塔

 

2023.8.22.충주 탑평리 칠층석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