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야생화-풀

사약의 재료 천남성

천부인권 2025. 4. 18. 21:41

2023.5.2.불모산 천남성

 

한반도 전역에 서식하는 천남성은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 등이 원산이며, 산지의 습한 응달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1개, 5개의 소엽(발육이 불량할 때는 3)으로 난상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육수꽃차례로 달린다. 불염포는 판통의 길이 8cm 정도이고 녹색이며 윗부분이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지고 난상 장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차례의 부속체는 곤봉형이다.
장과는 붉게 익어 옥수수처럼 달리며, 줄기는 곧추 서고 겉은 녹색이나 때로 자색을 띠기도 한다. 알줄기는 편평한 구형이며 지름 2~4cm이고 주위에 작은 알줄기가 2~3개 달리며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알줄기 위의 비늘조각은 얇은 막질이다.

2023.5.2.불모산 천남성

 

벌레잡이 통처럼 생긴 녹색의 꽃이 피며, 꽃이 지고 나면 빨간 알갱이들이 한데 모여 꼭 옥수수처럼 생긴 열매를 맺는다. 보기에는 길쭉한 산딸기처럼 생겨서 맛있어 보이지만, 아래 문단에 서술되어 있듯 맹독을 가진 독초이기 때문에 절대 건드려서는 안 된다.
맹독인 옥살산 결정과 청산배당체가 들어 있으며 쓴 맛이 강하다. 특별한 공정을 거치면 중풍과 담 등을 고치는 약으로도 쓸 수 있지만, 맹독으로 유명한 식물답게 과거에는 주로 사약의 재료로 썼다. 

2023.5.2.불모산 천남성

 

피자식물문(Magnoliophyta), 외떡잎식물강(Monocotyledoneae), 천남성목(Arales), 천남성과(Araceae), 천남성속(Arisaema), 천남성의 학명은 Arisaema amurense Maxim. f. serratum (Nakai) Kitag이다.

2023.5.2.불모산 천남성

천남성속(Arisaema) 9종
거문천남성 (Arisaema thunbergii subsp. geomundoense)
두루미천남성 (Arisaema heterophyllum)
둥근잎천남성 (Arisaema amurense)
무늬천남성 (Arisaema thunbergii)
섬남성 (Arisaema takesimense)
섬천남성 (Arisaema negishii)
점박이천남성 (Arisaema serratum)
천남성 (Arisaema amurense f. serratum)
큰천남성 (Arisaema ringens)

 

[출처] 
위키백과-천남성
나물먹고 물마시고 풀베개-식물도감/천남성

'식물 > 야생화-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모산의 단풍취_게발딱지  (1) 2025.04.23
불모산 미나리냉이  (0) 2025.04.19
우산나물  (0) 2025.04.18
봉곡동의 까마중  (1) 2024.08.18
향기별꽃 (아이페이온 Ipheion)  (0) 2024.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