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 1252

경남학생독립운동 이야기 항쟁 抗爭

『경남학생독립운동 이야기 항쟁 抗爭』은 3·1운동 100주년 기념으로 경상남도교육청이 2019년 12월에 발행처를 경상남도교육청으로 하고 발행인을 경상남도교육감 박종훈으로 하여 한솔기획인쇄에서 간행한 책이다. 이책을 만들기 위해 기획에 참여한 사람은 김현희, 정영환, 공효순, 조정희, 박계정이 하였고 집필은 설천중학교 교장 양상수 외 21명의 교사들이 했고, 감수는 신주백 독립기념관 연구소장과 김주용 원광대학교 교수, 김준형 전 경상대학교 교수가 맡았다. 책머리에 경상남도교육감 박종훈의 발간사를 붙이고 집필자 일동으로 들임말을 실었으며, 일러두기를 부쳤다. 목차를 보니 경상남도의 거제, 거창, 김해, 고성, 남해, 밀양, 사천, 산청, 양산, 의령, 진주, 창녕, 창원, 마산, 진해, 통영, 하동, 함안..

憂愁와 憤怒 우수와 분노

『憂愁와 憤怒』는 독립운동가 석당石塘 변상태卞相泰(1889~1963)의 한시漢詩를 모아 아들 초암草菴 변지섭卞志燮(1926~1999)이 번역하고 정리한 것을 정소순이 발행했고, 도서출판 경남에서 간행했다. 권두에 석당石塘과 부인의 사진, 석당石塘이 쓴 시의 필적과 묘소, 기념비의 사진을 실었고, 초암草菴이 서문을 부치고 말미에 석당선생石塘先生 년보를 부쳤다. 석당石塘 변상태卞相泰(1889~1963)의 본관은 초계. 호는 석당石塘이다. 1889년에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전면 일암리에서 태어났다. 변상태는 1905년 정명교鄭明敎, 황병기黃炳基 등과 의병 운동을 하였다. 1910년 국권 강탈 후에는 최기택崔基澤 등 6명과 함께 부산의 불락산[현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뒷산]에 올라 대붕회大鵬會라는 비밀..

朝鮮中期以後 機張縣關係 文獻集成 조선중기이후 기장현관계 문헌집성

『朝鮮中期以後 機張縣關係 文獻集成 조선중기이후 기장현관계 문헌집성』은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표인영래등록漂人領來謄錄·전객사별등록典客司別謄錄·각사등록各司謄錄(경상남도보유편)·각사등록各司謄錄(근대편)·고순종실록高純宗實錄 중에서 기장과 관련이 되는 기록을 발췌해 번역한 것이다.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은 비변사에서 1616~1892(276년간) 사이에 주요 국정사항을 기록한 273책을 규장각에 있는 원본을 필사한 것을 국사편찬위원회가 1956~1960년 동안 해서로 옮겨 쓴 후 구두점을 찍어 28책으로 영인한 것을 기본자료로 이용했다. 또한 「표인영래등록漂人領來謄錄」은 중국사신, 왜인, 야인의 영접 그리고 외방은 조공과 연희 및 사여賜與 등을 담당하던 예조산하의 전객사典客司에서 편집한 20책의 필사본 등록謄錄은 1..

抗日義兵大將 文泰瑞(洙)硏究 항일의병대장 문태서(수)연구

『文泰瑞(洙)硏究 문태서(수)연구』는 문태서文泰瑞(1880~1913) 항일의병대장抗日義兵大將의 구국救國 활동活動과 그의 생애에 대한 이야기와 자료를 모아 1997년 7월 초판인쇄를 하고 2019년 12월에 발행처를 함양문화원으로 삼아, 교육자이자 문학인인 김성진金聲鎭이 집필하고 김흥식金興植이 발행했으며, 대보사에서 간행한 책이다. 권두에 서시序詩 ‘님이 가신 길’을 부치고 덕유산 자락의 전적지와 사적비, 송덕비, 생가지와 사당, 국립묘지 묘소, 묘지, 흉상, 추모시비 등의 사진을 첨부하고 장군의 활동 지역과 전적비, 전적지, 기동비, 원통사, 무주 일대의 지형, 적상산 승전지, 순국비, 훈련지, 마지막 결전지 등이 실려있다. 발간사는 김흥식金興植 함양문화원장이 짓고, 함안군수 서춘수, 함양군의장 황태진의..

晉州姜氏 法田門中誌 진주강씨 법전문중지

『晉州姜氏 法田門中誌 진주강씨 법전문중지』는 박사공파博士公派 7세 강회중姜淮中의 둘째 아들 강안복姜安福(1466~1536)의 후손 중, 12세 파조派祖 응교공應敎公 강덕서姜德瑞(1540~1614) 후손들이 세거하는 경북 봉화군 법전면과 춘양면의 인물, 역사 지리, 환경 등을 조명하고 사회에 공적이 있는 문중門中 인물들과 기록물을 엮은 책이다. 『晉州姜氏 法田門中誌 진주강씨 법전문중지』는 2015년 10월 진주강씨 법전문중 응교공 종회장 강재원이 발행하고 편집은 강정기姜正基가 했으며 도서출판 태봉에서 간행했다. 이 책은 양장본으로 목차 뒤에 강재원의 발간사를 부치고 말미에 강정기의 발문跋文과 편집위원 일동의 편집 후기를 붙쳤다. 이 책의 크기는 가로 192cm, 세로 263cm이며 637p이다. 2023년..

國譯 梅軒先生文集 국역 매헌선생문집

『國譯 梅軒先生文集 국역 매헌선생문집』은 매헌梅軒 곽수강郭壽岡(1619~1660)의 시문詩文을 모아 1992년 국역 매헌선생문집 발간위원회장 곽경열郭敬烈이 발행하고 번역은 이호응李虎應이 했으며, 한국출판사에서 간행했다. 권두에 숭경사崇敬祠, 매림서원梅林書院, 매헌梅軒 곽수강郭壽岡의 묘소·묘비, 예곡공파종택禮谷公派宗宅, 매헌선생문집梅軒先生文集과 목각판木刻板 등의 사진이 있고, 매헌공梅軒公 세계약도世系略圖가 있다. 서문序文은 1990년 서수생徐首生 박사가 짓고, 해제는 1905년 이호응李虎應 역주자가 붙였는데 “이 역주문집은 임진왜란 때 초계군수로 진중에서 순국한 충신이요 조남명선생의 고제高弟 예곡禮谷 곽율郭𧺝(1531~1593)과 그 증손인 매헌梅軒 곽수강郭壽岡의 문집으로 예곡문집禮谷文集과 매헌문집梅軒文集..

한림공원의 협재굴과 쌍용굴

한림공원은 제주의 기후와 지형을 비롯해 생태를 한 번에 알 수 있는 곳으로 제주 여행에서 이곳을 봤으면 기본은 다 알았다 할 정도로 집약된 제주도를 알려 주는 곳이라 소개하고 싶다. 제주도는 화산활동으로 솟아난 용암지역이며 여러 번 용암 분출로 곳곳에 오름을 만들고 지하에 수많은 동굴을 만들었다. 제주에서 알려진 만장굴이나 협재굴, 쌍용굴은 지표면에 가까워 드러난 동굴이지만 『제주4·3 유적지』로 남아 있는 안덕면 동광리 지역의 「큰넖궤」와 조천읍 선흘리의 「도틀굴」 등이 산재하고, 곶자왈 어느 곳에도 숨골이 있다. 이 숨골을 통해 지하에서 물이 이동하는 지하 동굴구조를 가진 특이한 땅이다. 어슬렁거리며 들어선 한림공원은 육지에서 볼 수 없는 야자수 군락과 나무에 기생한 일엽초, 석위, 등 양치식물의 모..

한림읍 명월대明月臺

제주도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된 명월대明月臺는 한림읍 명월리를 지나는 용포천에 위치해 정확한 위치를 찾기 어렵다. 따라서 명월리 1847-4를 입력하고 영각사라는 일반 집 같은 절을 찾는 게 쉽다. 이곳 용포천은 남에서 북쪽으로 물이 흘러간다. 용포천 따라 늘어선 명월리 팽나무 군락지로도 알려져 있으며, 홍교 형식의 명월교에서 상류쪽을 바라보면 명월대明月臺가 있다. 용포천 안쪽 절벽 위에 자리한 명월대는 정사각형의 대 자리를 잡고 육각의 단을 만든 후 맨 위쪽은 원형의 제법 넓은 대를 만들어 두었다. 그 뒤쪽 바위 위에 명월대明月臺라는 비석을 세웠다. 이곳 안내판에는 명월대明月臺에 대해 이처럼 기록해 두었다.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 2223외 1필지, 명월대는 예부터 양반촌으로 알려진 명월리애 있으며 옛 선..

孝烈婦姜氏實記 효열부강씨실기

『孝烈婦姜氏實記 효열부강씨실기』의 표제는 『孝烈婦姜氏實記 附松月堂行錄 효열부강씨실기 부송월당행록』이라는 제목으로 1984년 5월에 편집위원장 노경환盧暻煥이 편집하고, 이선규李繕圭가 편집 및 발행인으로 간행한 책이다. 인쇄는 회상사가 했다. 권두에 공주읍 월송리의 효열각과 묘소의 사진을 싣고 공주이씨公州李氏 분파세계도를 기록했으며, 충천남도의 표창장과 문교부의 효열행적조사서를 첨부했다. 목차 다음에 이우섭李雨燮의 『효열부강씨실기서孝烈婦姜氏實記序』와 비각추진위원장 노경환盧暻煥의 『효열부강씨실기발간서孝烈婦姜氏實記發刊序』, 공주향교전교 노재광盧載光의 『효열부강씨실기서孝烈婦姜氏實記序』, 유구면維鳩面 유림儒林 정량섭丁亮燮외 19명의 『포효렬유통褒孝烈幼通』, 만은 공주군의 유림이 서명한 『포효열유장褒孝烈儒狀』, 정헌..

소눌문고탈초해제집1 小訥文庫脫草解題集1

『소눌문고탈초해제집1』은 소눌小訥 노상직盧相稷(1855~1931)의 간찰簡札과 제술製述을 탈초脫草 하고 해제를 달아 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 고전문헌학센터에서 2013년 1월에 발간한 책이다. 책의 전면에 부산대학교 도서관장 이제환의 발간사를 부치고 간찰 387편과 제술 202편으로 구성되었다. 이로써 소눌小訥의 글을 해석하고 알릴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다. 소눌小訥 노상직盧相稷(1855~1931)의 일제 강점기 학자로 자는 치팔(致八)이고, 호는 소눌小訥이다. 본관은 광주光州이고, 출신지는 경상남도 창녕군昌寧郡 이방면梨房面이다. 부친은 우당愚堂 노호연盧滈淵이고, 생부 극재克齋 노필연盧佖淵의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친형으로 통훈대부通訓大夫 홍문관시강弘文館侍講을 지낸 대눌大訥 노상익盧相益이 있다.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