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수와 노거수

600년의 길잡이 함안 서촌마을 시무나무

천부인권 2014. 5. 5. 20:52

 

2014/5/5 군북면 서촌마을 시목나무

함안군 군북면 동촌리 541-2에는 서촌마을이라 쓴 비갈이 세워져 있고, 그 옆에는 200012월에 보호수로 지정한 시무나무 한그루가 자리를 하고 있다. 이 시무나무는 보호수 지정당시 수령이 610년이고, 수고는 8m, 나무둘레가 5.6m이다. 서촌마을의 시무나무는 과거 우리선조들에게는 길을 안내하는 이정표였으며,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 구실도 하였다. 나무 아래에는 다듬지 않은 자연석을 세워 백수정(白壽亭)이라 세긴 비갈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나무 아래에서 유유자적하며 99세까지 살고자 하는 사람들의 소원을 담은 듯하다.

 

우리나라의 어디에서나 흔하게 자라는 시무나무는 아무도 귀하게 여기지 않지만 서양에는 아예 자라지 않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나무로서 학술가치가 크다. 동양에서도 우리나라와 중국에만 있고 일본에는 없다.

 

조선시대에 과거 길을 떠나는 선비들이나 보부상들이 큰 마을은 장승이나 솟대로 찾아갈 수 있으나, 한적한 산길의 수많은 갈림길은 무엇인가 길을 찾아갈 수 있는 이정표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5리 남짓한 가까운 거리에는 오리나무, 거리가 먼 10리나 20리에는 시무나무를 심어서 지나가는 나그네가 길을 잃지 않도록 배려하였다. 그래도 길을 잃을까 염려되었던지 나그네들은 신고 다니던 짚신이 헤어지면 이정표 나무나 당산목에 걸어두었다 한다.

 

느릅나무과 시무나무속에 속한 낙엽활엽교목인 시무나무의 학명은 Hemiptelea davidii (Hance) Planch이다. 높이는 20m에 달하며 가지에 큰 가시가 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서는 함경북도를 제외한 전국 저지대의 계곡이나 하천변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톱니가 있다. 연한 노란색의 꽃은 5월 무렵 암꽃과 수꽃이 한그루에 같이 피거나 여기에 양성화가 섞여 피며, 꽃의 크기는 1~2정도로 아주 작다. 열매는 10월에 한쪽 방향으로만 날개가 발달한 시과(翅果)로 익는다. 나무는 기구를 만드는 데나 땔감으로 쓰고, 잎은 사료로 쓴다.

 

 

시무나무는 느티나무·느릅나무와 유연관계가 깊다. 느티나무의 열매에는 날개가 전혀 없고, 느릅나무는 열매 양쪽에 넓은 날개가 있으며, 시무나무는 한쪽에만 날개를 가진다. 시무나무의 속명(屬名)인 헤미프텔레아(Hemiptelea)에서 'hemi'는 절반을 뜻하고 'ptelea'는 날개를 뜻한다.

 

 

풍류시인 김삿갓의 시에 '이십수하삼십객(二十樹下三十客) /사십촌중오십반(四十村中五十飯)'이라 하여 '시무나무 아래의 서러운 손님이 망할 놈의 마을에서 쉰 밥을 얻어먹었다'는 뜻이다. 아름드리로 자라는 큰 나무이고 느릅나무와 그리 멀지 않은 집안간이며 느릅나무과()라는 한 무리에 같이 들어간다. 잎의 모양새는 참느릅나무와 거의 닮아 있으나 보다 좁고 길며 잎의 밑 부분이 거의 비뚤어지지 않았다.

또 작은 가지는 흔히 가시로 변해 있어서 한자로는 가시 느릅나무란 뜻으로 자유(刺楡)라고 한다. 봄날의 시무나무 새싹은 쌀가루나 콩가루 등 여러 가지 가루를 묻혀서 떡을 해먹어 배고픈 백성들의 구황식물 역할도 하였다. 느릅나무 무리 중에는 비교적 재질이 단단하고 치밀하여 특히 차축의 재료로서는 박달나무를 초유(楚楡)라 하여 으뜸으로 치고, 다음이 축유(軸楡)라 하여 바로 시무나무였다. 중국의 시경 당풍(唐風)편에 산유추(山有樞)라 하여 시무나무에 관한 시가 있는 것으로 보아 중국에서도 선인들이 좋아한 나무임을 알 수 있다. [참조 : 다음 카폐 전북숲해설전문가협회]

 

시무나무 앞에는 백수정이라는 비갈이 서 있는데 1962년 마을이 생긴 이래 군수 박경제가 방문하여 기념으로 세운 것이라한다. 비갈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偃蹇其樹(언건기수) (遇) 성대하게 그 공을 세움이여!
淸寒其瀏(청한기류) (有尤) 청빈하면서도 그리도 맑았구나!
朴侯京濟(박후경제) 박후 경제여
名以白壽(명이백수) (有) 청백의 명성 영원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