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수와 노거수

내서읍 감천리 보호수-느티나무

천부인권 2014. 12. 22. 18:00

 

 

 

<2014/12/20 감천리 보호수-느티나무>

 

용담리에서 곧장 감천리를 향해 차를 몰고 가니 감천초등학교 앞에까지 오게 되었다. 예전에 광산사(匡山寺)를 찾아갈 때 이 도로를 이용했던 기억이 새롭다. 네비가 안내하는 내서읍 감천리 1141번지에 위치한 감천리 느티나무는 감천회관 맞은편 꽤 너른 밭 위에 홀로 우뚝 서있어 단번에 보호수임을 알게 했다.

 

 

 

 

감천리 보호수가 있는 이곳은 작은 공원형태로 의자를 설치하여 쉴 공간을 제공하고, ‘동대정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는 팔각정도 있으며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갖추어져 있다. 감천리에는 생태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안내목과 장승이 있어 저학년 아이들에게 자연공부를 시키는 곳으로도 고려해 볼만한 장소이다.

 

 

 

 

창원시 보호수 지정 상세내역이나 이곳 안내표석에는 19821110일 관리번호 12-17-1-10-1호로 수종은 느티나무이고, 나무나이는 350, 나무높이 14m, 가슴높이 둘레 350cm라 기록하고 있다. 뿌리에서 곧게 올라온 줄기는 썩은 부분이 없는 완전한 상태로 보존이 되어 있어 노거수 이지만 그 힘을 느낄 수 있고, 사방으로 잘 벋은 가지는 우산처럼 형태를 취하고 있다.

가슴높이 둘레를 재어 보니 566cm나 되어 창원시의 기록과는 216cm나 차이가 있었다. 보호수의 첫 기록 후 32년 동안 창원시의 무관심이 기록을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다.

 

 

 

 

 

감천리 느티나무 보호수는 곧게 줄기가 2m 정도 올라가다 가지가 여러개로 갈라지는 모습을 한 것은(일본식 한자로 '分枝[분지]'라 표현한다.) 이 나무는 사람이 심었다는 증거인데 보통 나무를 심을 때 어린 묘목의 줄기를 그대로 두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길이 윗쪽은 잘라버리기 때문에 나무가 자라면서 잘려진 곳에서 가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거북을 닮은 자연석에 성혈의 흔적이 보인다.>

 

 

 

감천초등학교 앞 옛 삼거리에는 증가선대부호조참판원장 백인수원백공창선기적비(贈嘉善大夫戶曹參判院長 百忍水原白公彰善紀蹟碑)”가 세워져 있다. 이 비는 근세에 이 마을에 살다간 白樂朋(백낙붕)의 선행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자는 光一(광일), 호는 百忍(백인)이고, 본관은 수원이며 慕亭公(모정공) 弘生(홍생)의 후손이다.

일찍기 학문과 덕행으로 고을에 명성을 얻었으니 가선대부호조참판에 증직되고, 창선기적비를 세워 그의 덕행을 기린다.

 

 

 

 

다시 차를 돌려 내려오다가 서낭당인 누석단(累石壇)을 보았다. 이 누석단은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하여 감천마을이 형성될 때부터 전해 왔으나 6.25사변으로 무너진 것을 방치해 오다가 20108월에 서낭당을 중수했다고 한다. 우리 고유의 서낭당 문화가 점차 사라지고 멸시받기 시작하는 것은 우리의 문화는 저급하고, 미신이라는 논리의 새마을운동으로 인해 사라진 것이 대부분이다. 새마을운동이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었는지 몰라도 우리 민족의 정신을 말살하는 것에는 더없이 큰 역할을 하였다. 아직도 새마을운동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감히 묻겠다. “당신들은 무엇을 미래세대에 전하고 싶은가?”

 

 

 

 

이 서낭당 중수기 아래에 공적자인 내서읍장 김덕용, 감천이장 임종일, 총무 송희섭, 향토인 송원섭 등의 이름을 기록했는데 이 서낭당을 이 사람들의 돈으로 세웠다면 뭐라고 할 말은 없다. 그러나 나랏돈이 들어갔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이 네 사람만의 공적이 아니라면 모두의 이름을 적거나 아니면 모두의 이름을 쓰지 않는 것이 통례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안내판에 개인의 이름을 남긴다는 것은 개인적 이익을 위해 나랏돈을 유용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내서읍사무소(055-230-5010)에 누구 돈으로 서낭당을 다시 설치했는지 물었는데 알아봐 준다는 통화를 하였지만 아직 연락이 없어 이처럼 글을 남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