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누각.정자.재실

진북면 정곡 김해김씨 세심재 洗心齋

천부인권 2020. 6. 17. 06:30

2020.6.12 진북면 인곡리 정곡 김해김씨 세심재洗心齋 입구 풍경

 


진북면 인곡리 903-1(진북정곡길 219)에는 김해김씨金海金氏 운곡부군雲谷府君을 향사하기 위해 6.25동난으로 잿더미가 된 글방을 1969년 후손들이 세심재洗心齋라는 이름으로 재건했다. 구글지도는 「위도35°07'32.4"N 경도128°26'17.2"E」를 표시 한다.
대문에는 경관재敬觀齋라 편액했고 본재에는 세심재洗心齋라 이름하고 4개의 기둥에는 주련을 걸었으며, 대청 위에는 세심재중수기洗心齋重修記와 상량문上樑文이 있고 원운原韻과 차운次韻 등이 걸려 있다.

 

경관재敬觀齋 편액
2020.6.12. 진북면 인곡리 정곡 김해김씨 세심재洗心齋
세심재洗心齋 편액
세심재洗心齋 주련
세심재중수기 洗心齋重修記

洗心齋重修記

國師山出自艅航西而南 南而復東至于 國師拔乎華 而分爲三麓一 則東走爲義林智山 而止一則南走爲玉峯牛山 而止中則東走爲尼丘山 而止右夾爲禮谷玉溪牛山 左夾爲仁谷義谷知山中 藏一谷曰正谷天 我高祖雲谷府君所占 而藏修焉窃念 仁義禮智四德 皆申於正心 而發則修身齊家之道 皆本於正一字 故我高祖雲谷府君實體得 而躬行之矣 因構三間小塾 爲敎訓子孫之資名 以洗心卽洗滌卑陋 塵濊之萌 興起誠意正心之道矣 其後孱孫肯構一屋于 遺趾爲其妥炙蒸嘗之所逮于 庚寅兵火棟宇全體歸于 灰燼則孰無恚憤孰不咨嗟痛歎者乎 玆以不顧貧孫 百餘家屋 一歸鳥有先 此鳩材速 匠事巨力綿未得稱意然 其於追慕獻誠庶免遺憾盖 其仁義禮智之道 自魯而始傳于 我東而復至于 南而東則有似乎 國師山之西而南 南而復東環抱牛山之本 玉溪之水 正谷之路 玉女之帛 無非造物主之活 盡而完備 仁義禮智賢庄矣 後以雲仍眷眷服 膺庶幾爲觀感 興起之誠 而孝悌之心 油然自生焉

歲己酉春三月上弦 胄孫 宇永 謹記 

 

세심재중수기 洗心齋重修記

국사산國師山이 여항산 서쪽으로부터 생겨나 남으로 남으로 와서 다시 동에 이르렀다. 국사산은 빼어나게 화려하여 3산맥으로 나뉘었는데 하나는 동으로 달려 의림義林·지산智山에서 그쳤고 한 맥은 남으로 달려 옥봉玉峯·우산牛山에서 그쳤고 중간은 동으로 달려 니구산尼丘山에 그쳤다. 우측에는 예곡禮谷·옥계玉溪·우산牛山을 가졌고 좌측에는 인곡仁谷·의곡義谷·지산知山이고 중간에 한 골짜기가 감추어져 있음이 정곡천正谷天인데 우리 고조 운곡부군雲谷府君께서 이 장소를 택하여 한문을 닦으셨다. 곰곰이 생각건대 인의예지仁義禮智의 4덕은 모두 정심正心을 폄이요. 발發하면 곧 수신제가修身齊家의 도道이고 모든 근본은 정正의 1자이다. 그런고로 우리 고조 운곡부군께서는 실제 체득하여 몸소 행하셨다. 이로 인해 3칸의 작은 글방을 지어 자손들에게 교육 바탕이 되었고 글방의 이름을 세심洗心이라 했음은 즉 비루한 먼지와 티끌을 깨끗이 씻으면 성의정심誠意正心¹⁾의 도道가 흥기하는지라. 그의 후손들은 물러내린 터에 한 채의 집을 즐거히 지어 그것을 제사드리는 장소로 마련하였는데 경인년(2.25동란) 난리을 만나 집 전체가 불에 타 잿더미로 돌아갔으니 누가 분한 마음 없으며 누가 슬퍼하고 통탄하지 않을 손가. 이를 불구하고 가난한 자손들 백여가옥도 온통 검은 재로 돌아갔다. 먼저 이곳에 재목을 모으고 장인을 불러 공사에 큰 힘을 이어도 뜻대로 맞이 아니하였으나 그 추모성헌追慕獻誠에 유감을 겨우 면하였다. 대개 인의예지의 도道는 노魯나라²⁾로부터 우리나라(我東)에 처음 전해져 다시 남으로 이르렀으니 동은 곧 국사산國師山 서쪽³⁾과 비슷함이 있어 남으로 남으로 뻗어 동쪽을 돌아 안았으니 무산의 나무와 옥계의 물, 정곡의 길, 옥녀봉의 비단은 조물주가 살게끔 다하지 아니함이 없고 인의예지현의 고장으로 완비되었도다. 이후 후손들은 잊지목하고 마음으로 사모함은 거의 보고느껴 정성이 흥기하였고 효제의 마음이 구름일 듯 스스로 생겼음이라.기유년(1969) 춘삼월 상순 맏이 우영宇永 삼가 짓다. 

 

【주석】 

성의정심誠意正心¹⁾ : 뜻을 성실히 하고 마음을 바르게 함

노魯나라²⁾ : 공자가 태어난 나라

국사산國師山 서쪽³⁾ : 인의예지仁義禮智 글자가 붙은 인곡仁谷·의곡義谷·지산知山·예곡禮谷의 산과 마을이 국사산 서쪽에 있음을 말함.

 

2020.6.12. 세심재상량문洗心齋上樑文
원운
차운

출처 및 참조
마산문화지-마산문화원/삼덕정판인쇄사(20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