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 자원봉사/사회복지

위기개입모델

천부인권 2006. 6. 5. 23:30
 

제10장 위기개입모델


1. 등장배경

위기개입모델은 자연재해나 갑작스러운 생활상의 사건으로 인해 격심한 고통의 감정을 일시적으로 경험하고 이로 인해 압도당하거나, 발달과정에서 유발되는 스트레스로 인해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처할 능력과 자원이 부족하여 문제가 생기는 사람들에 관한 관심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2. 이론적 기반

사회복지실천은 지속적으로 구조적 빈곤, 질병 등의 사회문제의 해결과 관련이 있으며, 개인이 실업, 질병 등으로 생존의 위협을 느낄 때 사회적 서비스를 통하여 이를 중재하고, 심리적 도움을 준다.


1)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위기이론

1942년 미국 보스턴에서 나이트 클럽 화재 사건을 바탕으로 관심을 가진다. 1944년 Lindermann이 임상 논문을 발표함으로써 이로 인한 사람들의 정신적, 신체적 질환의 부적응적인 반응을 지적하기 시작하였다.1946년 Lindermann, Caplan이 “Wellelsey 사업계획”이라는 정신적 건강에 관한 지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로 인한 위기 이론의 발달상의미가 크다.


2)정신의학적 관점에서의 위기

지역 사회 정신 보건 차원에서의 위기 개입이 이루어졌다.1960년 지역 사회 정신의학의 접근방식으로 위기 개입을 도입하게 되었다. 그 예로 위기 개입 센터, 서비스에 대한 즉각적 대응을 두었다.


3) 생태학적 관점에서의 위기

Hill의 ABCX모델 발표로 일반 체계 이론에 기초하여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가족의 역기능적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사용하고자 하였다.Parad의 문제 해결 접근법과 위기 개입의 접목으로 1960~1970년대 급속한 성장을 가져왔다.


3. 주요개념

1) 기본가정

위기개입모델이 전제로 하고 있는 기본가정에 대해 알아보면

(1) 인간이 처한 상황으로부터 초래되는 직접적인 스트레스와 위험한 사건에 직면해서 격심한 정서적 불균형과 사회적 해체현상을 겪는 것은 정상적이다.

(2) 상황으로 인한 격심한 고통은 정상적인 삶의 경험이다. 이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겪을 수 있는 일시적인 혼란이며 대다수의 사람이 일생을 통해 언젠가는 겪을 수 있는 현상이다. 모두에게 파괴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는 삶의 사건이 있는 반면, 당사자 자신이 전체 삶의 맥락에서 해석하는 의미에 따라 위기적이 되는 사건도 있다.

(3) 정서적인 불균형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정서적 균형을 찾으려는 경향이 있다.

(4) 사람들이 정서적인 균형을 회복하려 노력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이고 격심한 심리적 유약성을 경험 할 수 있다.

(5) 이와 같이 심리적으로 현저히 약해져 있을 때 사람들은 심리적인 치료 서비스를 수용하는 태도를 갖게 된다.

(6) 위기는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 성장과 발전의 기회가 되기도 한다.


2) 주요개념

(1) 상황적 위기

사람들이 욕구충족의 본질적인 자원이라고 믿고 있는 것을 비정상적으로, 또 일반적으로 예기하지 않는 가운데 상실됨으로써 유발된다.

㉠신체적인 병 ㉡강간 ㉢지위와 역할의 변화 ㉣이혼 ㉤기타(금전적 상실, 실직, 자녀․부 모의 사망, 신체장애, 알콜 중독, 원치 않는 임신, 전쟁이나 경기 불황 같은 사회적 재난

(2) 발달적위기

발달단계에서의 성숙과정에서 발생하는 생활사건이나 발달단계마다 요구되는 발달과업에 의한 새로운 대처 자원이 필요한 성숙위기 등을 들 수 있다.

(3) 실존적 위기

브래머의 실존적 위기란 목적, 책임, 독립성, 자유, 헌신 등 인간에게 중요한 이슈를 동반하는 내적 갈등이나 불안과 관련된 위기이다. 이는 매슬로우의 자기실현 욕구와 관련된 갈등과 위기로 이해할 수 있다.

(4) 위기상태

위기상태란 감정을 동반한 격심한 정서적 혼란상태를 말하며 개인의 문제해결 및 대처능력의 심각한 와해를 경험한다. 개인이 어떤 문제를 평상시의 해결방법으로는 해결하지 못한 심각한 정서적인 혼란을 경험하는 상태를 말하며, 위험한 순간이면서도 전환점이 되는 시기라고도 한다.


4. 위기개입 실천

1) 위기개입의 목적과 개입원칙

카렌과 그래프튼이 정리한 것을 토대로 재정리하면

(1) 위기개입의 제1목표는 클라이언트가 최소한 위기이전의 기능 수준으로 회복하도록 돕는데 있다.

(2)위기개입은 상대적으로 단기적 접근이다.

(3) 구체적이고 관찰이 가능한 문제들이 위기개입의 표적이다.

(4) 위기개입을 할 때는 가장 적절한 치료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단순히 차선책으로 접근해서는 안 된다.

(5) 위기개입 사회복지사는 다른 어떤 실천접근에서 보다 그 개입에 있어 보다 적극적이고 직접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2) 개입과정

(1)전형적인 위기개입과정

아귈라와 메식은 좋은 사정을 위해서는 다섯 가지 세부영역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질문방법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클라이언트가 왜 오늘 도움을 받으러 오게 되었는가를 고려해보아야 한다. 즉, 무슨 일이 있었는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②클라이언트가 현재의 위기와 선행사건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고려해 보아야 한다.

③클라이언트에게 주위의 도움을 받을 만한 지지적인 자원이 있는지, 그 자원의 지지적 수준과 질은 어떤지 고려해보는 것이다.

④클라이언트가 과거에 비슷한 문제를 겪은 적이 있는지, 있다면 어떻게 해결했는지 고려해 보아야 한다.

⑤위기개입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특수한 영역인 자살 또는 타살의 위험에 대한 부분이다. 클라이언트가 자해 또는 타해의 위험이 없는지의 치명성을 반드시 사정하여, 위험하다고 판단되며 바로 입원치료 의뢰와 같은 절차를 즉시 연결하여야 한다. 

(2) CISD 개입과정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 결정적 사건에 의한 스트레스 경감하기) 같은 현장에 있었던 사람들이 함께 집단으로 참여함으로써 좀더 구체적인 정보와 사실을 토대로 감정을 공유함으로써 응급처치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① CISD의 목표

정보제공, 환기, 상실의 의미 표현 격려, 참가자의 정서반응의 정상성에 대해 재확인 시켜주기, 그룹과 동료의 사회적지지 제공, 사건에 대한 오해와 잘못된 정보 줄이기, 참가자의 대처 능력을 격려 교육 강화시켜 주기, 긴장과 불안을 완화시켜주는 방법 배우기, 사건 이전으로의 기능회복 돕기, 사후 치료가 필요한 대상 확인하기,

②경감시켜주기 모델의 형태

가. 공식적인 경감시키기

공식적인 경감시키기는 외상적 사건이후 24시간 내에 이루어지며, 도입, 사실확인, 생각표현, 감정표현, 증상확인, 교육, 재정리의 7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충격을 경험했던 인력이 참가하여 2~3시간 동안 진행 한다.

나. 비공식적 경감시키기

외상적 사건 이후 CISD요원이 현장에서 수행하는 첫 번째 초치로 3단계에 걸쳐 약 1시간 진행한다. 1단계는 요원들이 자신을 소개하고, 1단계는 참가자가 겪었던 사실을 표현하게 하고, 3단계는 사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모순된 인식들을 정상화시키고 스트레스와 외상에 대해 교육한다.

'사회복지 자원봉사 >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제중심 모델  (0) 2006.06.05
인지행동 모델  (0) 2006.06.05
여성장애인의 이중적차별  (0) 2006.06.05
스키너 이론  (0) 2006.06.05
무정과 테스에서 여성과 시대상  (0) 2006.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