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약의 원산지는 몽골과 우리나라이며, 꽃말은 '부끄러움'이다.
여러해살이풀로서 1m 이하로 자란다. 어린 잎은 데친 후 찬물에 헹구어 쓴 맛과 독성을 제거하여 식용하며, 뿌리를 진통제·해열제·이뇨제 등으로 약용한다. 말린 뿌리는 가루로 만들거나 그대로 물에 끓여 차처럼 음용한다.
작약은 흰색이나 빨간색 또는 여러 가지 혼합된 색의 꽃은 5~6월에 원줄기 끝에서 1개가 핀다. 관상용이나 약초로 재배된다. 토양이 깊고 배수가 잘 되며 약간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꽃받침은 녹색으로 5장이다. 꽃잎은 길이가 5㎝ 정도로서 10장이다. 꽃밥은 많고 노란색이며, 밑씨 3~5개가 암술머리를 뒤로 젖히고 모여난다. 열매는 골돌로 8월에 익는데 중심 쪽이 세로로 터진다. 작약은 연작을 싫어하므로 한번 심어서 수확한 곳에는 3-4년간 다른 작물로 교체하여 심는 것이 좋다.
속씨식물(Angiosperms),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범의귀목(Saxifragales), 작약과(Paeoniaceae), 작약속(Paeonia), 작약의 학명은 Paeonia lactiflora Pall.이다.
작약속(Paeonia) 6종
모란 (Paeonia suffruticosa)
백작약 (Paeonia japonica)
산작약 (Paeonia obovata)
작약 (Paeonia lactiflora)
참작약 (Paeonia lactiflora var. trichocarpa)
털백작약 (Paeonia japonica var. pillosa)
[출처와 참조]
나무위키-작약
나물먹고 물마시고 풀베개-식물도감/작약
다음백과-작약
'식물 > 야생화-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수_빈대풀_채소 (1) | 2025.05.26 |
---|---|
불모산 수리취 (0) | 2025.05.01 |
불모산의 단풍취_게발딱지 (1) | 2025.04.23 |
불모산 미나리냉이 (0) | 2025.04.19 |
사약의 재료 천남성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