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책과 기록 253

大邱의 樓亭錄 대구의 루정록

『대구의 루정록 大邱의 樓亭錄』은 19996년 12월에 손필헌孫弼憲이 구성한 것을 영광원색에서 기획하고 동화인쇄에 의뢰하여 대구중구문화원 노영하 원장이 ‘향토문화유적➁ 대구의 루정록’이란 제목으로 발행했다. 손필헌孫弼憲은 ‘엮음의 변’에서 300개소가 넘어 기문이 있는 146개소를 추려 실었다고 밝히고 있으며 사진은 루정樓亭의 이름과 기문記文의 편액을 담았으나 탈초나 번역은 없다. 책은 떡제본이고 전체가 컬러이며 크기는 가로 207cm, 세로 297cm이며 302p이다. 책은 2022년 12월에 대구 합동북에서 3만원에 구입해 소장하고 있다.

국역 金羅傳信錄 금라전신록

『국역 금라전신록 金羅傳信錄』은 2010년 5월에 이명성과 장성진이 번역하고 대보사가 인쇄해 함안문화원 조훈래 원장이 발행했다. 『金羅傳信錄』은 조선 후기 함안 출신의 유학자 조임도趙任道(1585~1664)가 찬술한 향토 인물 문학 사전으로 고려 말의 이방실(李芳實)을 비롯한 함안 지역이 배출한 인물들의 업적과 문장을 기리기 위해 기록한 것이다. 1639년 상권에 조임도의 서(序)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때 상•하 2책으로 편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1695년에 조석규(趙錫圭)[1648~1710]가 지은 발문(跋文)과 1743년에 이휘진(李彙晉)이 지은 발문이 있다. 그 후에 1813년 경상남도 함안의 송정서원에서 개간(開刊)했다는 간기로 보아 이때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 책과 책판은 합강정合江..

통제영 둑제

『통제영 둑제』는 2019년 9월 통영문화원 동락마루에서 ‘승리와 평화의 기원 통제영 둑제 재현을 위한 학술발표회’에서 문화원장 김일룡의 발표문을 토대로 만든 책이다. 2019년 12월 한국문화원연합회가 “지방문화원 원천콘텐츠 발굴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컬츠플러스가 편집제작하고 통영문화원에서 발행했다. 문화원장 김일룡의 발간사로 시작하여 시장과 의회장의 축사를 부치고 부록으로 둑제의 사진을 담았다. 책은 양장본으로 크기는 가로 161cm, 세로 232cm이며 301p로 구성됐다. 이 책은 2021년 통영문화원의 배려로 소장하게 됐다.

柳泉許圭成散鈔 유천허규성산초

『유천허규성산초 柳泉許圭成散鈔』는 유천柳泉 허규성許圭成의 시를 모아 갑오년 유천柳泉 자신이 서문을 달고, 유남由南 신석환申碩煥이 하서賀序을 부쳐 2014년 4월에 사림士林인쇄소에서 아들 허정우許汀佑가 발행했다. 유천柳泉의 사진과 활동 사항을 화보로 기록하고 차례를 실었으며 발跋은 차화식車和植, 발문跋文은 아들 허정우許汀佑가 썼다. 책은 양장본이고 크기는 가로 157cm, 세로 228cm이며 301p이다. 책을 소장하게 된 것이 기억에 없고 창원향교에서 얻지 않았을까 추측하고 있다. 유천柳泉과는 친분은 없으나 안면은 있다.

大韓義士景樂濟追慕碑詩集 대한의사경락제추모비시집

『대한의사경락제추모비시집 大韓義士景樂濟追慕碑詩集』은 경주이씨慶州李氏 경락제景樂濟 이위우李渭雨(1897~1943)의 의로운 삶의 유적을 아들 이상목李相睦이 비碑를 세우고 전국 유림들의 축하시祝賀詩을 받아 만든 책이다. 책의 서두에 사진과 휘호를 넣고 박중훈朴重勳과 이석수李錫樹의 서문序文을 부쳤으며, 월성月城 최종헌崔鍾憲의 발문跋文과 아들 이상목李相睦의 후지後識를 달아 발행했다. 이 책은 양장본으로 크기는 가로 192cm, 세로 264cm, 435p로 구성됐으며 발간 인쇄소가 없다. 이 책은 2023년 3월 한림인쇄사 손원모 사장의 배려로 소장하게 됐다.

咸安趙氏文籍總覽 함안조씨문적총람

『함안조씨문적총람 咸安趙氏文籍總覽』은 함안조씨대종회에서 2015년 6월에 발행했으며 도서출판 술이에서 양장본으로 상•하 두 권을 발간했다. 역대 선조들의 기록을 후손 조상래趙相來가 편집과 국역을 하였고 화보와 대종회장 조동휘趙東輝의 발간사를 부치고, 상임고문 조성래趙聖來, 고문 조필제趙弼濟의 서문과 함안조씨문적총람 교정을 정경주 경성대교수가 발문을 부쳤다. 이 책의 크기는 가로 193cm, 세로 267cm이고 상•하권 각각 524p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2023년 3월 한림인쇄사 손원모 사장의 배려로 소장하게 됐다.

孤巖許泰籌古稀記念集 고암허태주고희기념집

『고암허태주고희기념집 孤巖許泰籌古稀記念集』은 고암孤巖 허태주許泰籌의 70세를 맞아 발간한 축하집祝賀集으로 1994년 허채許棌의 한문으로 된 서문序文과 권오숭權五崇, 김진후金鎭厚의 국한문 혼용의 서문도 부쳤다. 또 손팔주孫八洲의 하서賀序도 있다. 허태주許泰籌의 원운原韻에 전국 각 시도별 사람들의 차운次韻의 시를 실었으며, 선대의 글과 고암자서한시孤巖自敍漢詩, 화보 및 부록을 달았으며 최준호崔俊鎬의 발문을 실었다. 이 책은 1995년 3월에 부산의 추진위원회에서 제일인쇄사에 의뢰해 발간했다. 책은 양장본으로 크기는 가로 194cm, 세로 266cm이며 462p로 구성되었다. 이 책은 2023년 3월 한림인쇄사 손원모 사장의 배려로 소장하게 됐다.

浮査先生文集 부사선생문집

『부사선생문집 浮査先生文集』은 부사浮査 성여신成汝信(1546∼1632)의 시문을 모아 1785년 목판본으로 전팔권사책(全8卷4冊)으로 발간한 것을 1994년 7월 진주 금산면 부사정浮査亭에서 국역하여 한림인쇄사에 의뢰해 양장본으로 발행한 원元•정亭 2책이다. 책의 크기는 가로 192cm, 세로 263cm이다. 서문은 한산漢山 안정복安鼎福(1712~1791)이 짓고 권卷1 시詩 64수. 권卷2 시詩 26수, 사辭 1, 부賦 2. 권卷3 소疏 1, 서書 6, 서序 2, 발跋 1, 기記 7. 권卷4 上梁文 5, 箴 3, 東方諸賢贊 20, 碑銘 2, 墓誌 1, 祭告祝文 7. 권卷5 잡저雜著 10. 권卷6 3. 권卷7 부록附錄으로 세계世系 년보年譜. 권卷8은 언행록, 행장, 묘갈명, 만사, 제문, 봉안문, 상향문..

學圃先生文集 학포선생문집

『학포선생문집 學圃先生文集』은 학포學圃 정훤鄭喧(1588~1647)의 시문을 모아 후손 정환익鄭煥翼이 1859년 서문을 부치고 그의 팔세손 정락기鄭樂基가 옮겨 적었으며, 또 려강驢江 이종상李鍾祥의 1859년 서문에 합천 이결영李夬榮이 글씨를 썼다. 『학포선생문집』 권지일에는 시詩 59수가 있고, 권지이는 서書 10수가 있으며, 권지삼은 잡저雜著 4, 기記 1수가 있다. 권지사는 제문 고유문 축문 13편이 있고, 권지오는 부록으로 만장, 제문, 고산정사, 제현시장, 행록, 행장, 묘지, 묘표, 옥산서원봉안문, 상형문, 고산정기, 고산정중수기, 년보로 구성되어 있다. 학포學圃 정훤鄭喧(1588~1647)은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으로 합천 율곡 종간리에서 태어나 용주면 손목리 조동에 잠시 살다가 산청 단성으로 이..

知足堂內外忠烈記 지족당내외충렬기

『지족당내외충렬기 知足堂內外忠烈記』는 임천조씨林川趙氏 11세 지족당知足堂 조지서趙之瑞(1454-1504)의 흔적과 상소문 묘갈명 등 글을 모아 허권수가 국역하고 지족당의 24세손 조한철趙漢哲이 도서출판 진솔에서 발간한 책이다. 『충렬기忠烈記』는 지족당知足堂의 충성스런 행적과 정씨부인의 열녀기烈女記를 모아 봉강공이 편집한 책이다. 책은 양장본으로 가로 195cm, 세로 266cm이며 470p로 구성됐다. 조한철趙漢哲의 1999년 10월에 쓴 머리말을 시작으로 목차를 싣고 부록으로 임천조씨 역대 인물을 기록했으며 2014년 6월 증보판을 내면서 편집 후기를 달았다. 이 책은 2023년 3월 한림인쇄사 손원모 사장의 배려로 소장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