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 1263

月庭遺稿 월정유고

『월정유고 月庭遺稿』는 진주정씨晉州鄭氏 월정月庭 정윤헌鄭允憲(1895~1977)의 시문詩文을 모아 권두에 1985년(乙丑) 이헌주李憲柱의 서문을 부치고 말미에 문소聞韶 김군金涒의 발跋과 아들 정재오鄭在五, 손자 정국진鄭國鎭의 발跋을 부쳐 3권 1책으로 발간한 한지 접장 한문본이다. 책은 1권에 시詩 82편, 2권에 서書 7편, 가장家狀 2편, 3권은 부록으로 갑연운甲宴韻, 만輓, 행장行狀, 유사遺事, 묘지명墓誌銘, 묘갈명墓碣銘, 발跋을 부쳤고 크기는 가로 192cm, 세로 277cm이며 120p이다. 이 책은 2023년 7월 규장각에서 1만원에 구입해 소장하게 되었다. 월정月庭 정윤헌鄭允憲(1895~1977)은 고령인高靈人으로 자는 태유泰有, 호 월정月庭, 관貫은 진양晉陽이고, 고려병부상서 은열공殷烈公 ..

增補 東山先生實記 증보 동산선생실기

『증보 동산선생실기 增補 東山先生實記』는 조선 중기 문신 김명윤金命胤(1565~1609)이 창원 동읍 지역에서 머물며 지은 시문집인 『동산선생실기 東山先生實記』가 근본인데 처음 간행된 시점은 명확하지 않지만 1866년(고종 3) 이전에 행장과 서문 등이 완성되었고, 1866년에 후손인 김규석이 발문을 지은 것으로 보아 대략 1866년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두 번째의 간행은 1976년에 한글 번역으로 출간되었으며, 2002년 11월에는 세 번째 증보판增補板이 간행되었다. 『동산선생실기』는 동산공실기 서序·동산선생 세계世系·연보·시·서書·기記와, 부록으로 「반교문頒敎文」·「가장家狀」·「묘갈명」·「도봉사봉안문」·「상향축문」·「상량문」·「승호고유문」·「승호후 봉안문」·「승호후 상향문」·「숙사재肅事齋 시」·「숙사..

草堂先生詩集 초당선생시집

『초당선생시집 草堂先生詩集』은 초당草堂 강경서姜景叙(1443~1510)의 시詩 163수를 모으고 발문과 무오사화실록과 왕조실록의 기록을 발췌하여 부쳤고 부록편을 구분해 판서공강공망묘비명判書公姜公望墓碑銘 외 선조 6명의 실기實記를 부쳐 1988년 11월에 강호영姜鎬永이 발행하고 광일출판사가 인쇄해 발간한 책이다. 책의 권두에 초당공草堂公의 파주에 있는 묘소의 사진을 담고 목차를 부쳤으며, 후손 강규영姜奎榮의 서序를 부치고 1565년 선산善山 유희춘柳希春의 발跋과 1568년 조희문趙希文의 후서後序를 부쳐 간행되었던 것을 한글 번역과 한문을 함께 실었다. 책은 양장본으로 크기는 가로 182cm, 세로 260cm이며, 425p이다. 이 책은 2023년 7월 신고서점에서 만오천원에 구입해 소장하게 됐다. 초당草堂..

小山集國譯本 소산집국역본

『소산집국역본 小山集國譯本』은 창원 사파정동에 살았던 김녕김씨 소산小山 김기호金琦浩(1822~1902)의 시문을 모아 1915년 손자 김용복金溶馥(1859~1632)이 4권 2책으로 발간한 것을 근간으로 2003년 11월 경성대학교수 정경주가 한글 번역하고 소산서당小山書堂에서 발행하여 삶과꿈에서 인쇄해 양장본으로 발간했고, 이후 2013년 10월 후 6세손 김정규金禎圭가 편집하고 ㈜여백미디어가 인쇄해 발간한 두 책은 말미에 축쇄영인본을 부쳤다. 2003년의 『국역 소산집』은 권두에 소산의 세계도와 영정影幀, 소산재 내력, 소산재 전경, 소산대, 소산서당의 옛 모습, 소산의 묘소 등과 사파정의 옛 사진을 담았으며, 경성대교수 정경주의 ‘소산김기호의 생애와 학문’이라는 논문을 권두에 부쳐 발간했고 2013년..

小山集 소산집

『소산집 小山集』은 김녕김씨金寧金氏 백촌白村 김문기金文起(1399~1456)의 13세손으로 창원 사파정동에 살았던 소산小山 김기호金琦浩(1822~1902)의 시문을 모아 1915년 손자 김용복金溶馥(1859~1632)이 4권 2책으로 발간한 것을 1994년 추원재追遠齋를 창건한 후 2010년 즘에 다시 한지접장 영인본을 발간한 것이다. 책은 일산一山 조병규趙昺奎의 서문序文을 부치고 안릉安陵 이훈호李熏浩와 창산昌山 조긍섭曺兢燮, 손자 김용복金溶馥의 발문跋文을 부쳤서 발간했다. 1권에는 서序, 부賦, 시詩 184, 보유시補遺詩 14수와 2권은 서書 12, 잡저雜著 19편이 수록되었고, 3권은 서序 9, 기記 3, 발跋 2, 잠명箴銘 20, 상량문 1, 재문 6, 4권은 부록附錄으로 가장, 행장, 유사, 묘갈..

蓬山浴行錄 봉산욕행록

『봉산욕행록 蓬山浴行錄』은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가 신병치료를 위해 제자들과 함께 1617년 7월 20일부터 상주에서 낙동강에 배를 띄워 9월 5일까지 동래온천을 다녀온 46일간의 과정을 수행했던 제자 이윤우李潤雨(1569~1634)가 기록한 것이다. 권두에 한강寒岡의 초상과 회연서원檜淵書院, 사양정사, 신도비, 묘소 등의 사진을 싣고 성주문화원장 도일회의 간행사와 목차, 일러두기, 한글번역을 한 이세동李世東의 소개와 해제를 부쳤고 번역문을 부친 후 김학수의 정우락의 논문을 부쳤다. 말미에 원문의 영인본을 실어 2016년 12월 성주문화원에서 발행하고 대보커뮤니케이션(주)에서 인쇄하여 발간했다. 책은 하드커버로 봉해지게 제작됐고 크기는 가로 195cm, 세로 265cm이며 가로쓰기인 번역과..

東麓文集 동록문집

『동록문집 東麓文集』은 거제 출신 동록東麓 정혼성鄭渾性(1779~)의 시문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에 필사본 12페이지 1책이 있고, 부산대학교 도서관 동록문고東麓文庫 162책 중에 3권이 있으며, 거제시 거제면 오수리 초계정씨 집안(정승모 이장)에 보관 중인 책 1권이 전하는데 이를 근간으로 해암海巖 고영화高永和가 한글 번역하고 해제를 달았으며, 정혼성鄭渾性을 모시는 반곡서원盤谷書院의 각종 기록물을 부쳐 발행한 책이다. 권두에 거제 반곡서원盤谷書院의 설립 목적에 대해 언급하고 동록문집東麓文集 편집 위원을 소개 하였고 반곡서원장 원용강의 간행사와 초계정씨 정성모의 격려사, 거제향교 윤두현 전교의 축간사, 일러두기를 부치고 고영화高永和의 해제解題를 부쳤다. 『동록문집 東麓文集』은 2017년 12월 반곡서원盤..

國譯 明溪遺稿 국역 명계유고

『국역 명계유고 明溪遺稿』는 명계明溪 김계윤金季潤(1875~1951)의 시문을 모아 1970년대 신연활자新鉛活字본으로 권두에 중재重齋 김황金榥의 서문과 말미에 김종호金鍾浩의 발문을 부쳐 『명계유고 明溪遺稿』가 발간됐고, 2010년에는 손자 김치택의 노력으로 묘지, 비석, 유적지 등의 사진을 첨부해 재간했던 『명계유고 明溪遺稿』를 근간으로 2018년 6월 해암海巖 고영화高永和가 한글 번역하고 해제를 달았으며 거제향교에서 발행하고 도서출판 경남에서 인쇄해 떡제본으로 간행된 책이다. 『국역 명계유고 明溪遺稿』는 권두에 명계明溪의 존영尊影을 부치고 전교 윤두형의 간행사와 강부綱夫 김치택의 격려사를 비롯해 반곡서원장 원용강, 반석록의 축간사를 부쳤으며, 해암海巖의 일러두기와 해제를 부쳤다. 책의 크기는 가로 19..

國譯 晦山亭實紀 국역 회산정실기

『국역 회산정실기 晦山亭實紀』는 1964년 10월 회산공晦山公 강돈姜潡(1856~1949)의 시문과 제현들의 시를 모아 『회산정실기 晦山亭實紀』를 간행하면서 함께 1964년 10월 김홍영金洪永이 한글 번역하여 회산정晦山亭을 발행처로 삼아 강상필姜相弼이 발행하고 학민문화사가 인쇄해 간행한 책이다. 양장본의 책은 한글 가로쓰기는 277p이고, 한문본 세로쓰기는 214p이며, 크기는 가로 170cm, 세로 240cm로 총 492p로 구성되었다. 책의 권두에 1964년 10월 사위 노수행盧秀行의 서문序文이 있고, 강돈姜潡의 ‘척망대陟望臺 사실’과 여러 제현들의 화답시로 시작해 말미에 강상필姜相弼의 발문跋文과 강가조姜家祚의 국역간행 후기를 부쳐 간행되었다. 이 책은 2021년 8월 합천군 쌍책면 성산리 559에 ..

禮巖書院誌 예암서원지

『예암서원지 禮巖書院誌』는 1709년 사우당四友堂 조이추曺爾樞(1661∼1707)의 행적을 기려 김해시 삼방동 10-1에 예암사禮巖祠를 창건하고 1822년에 예암서원禮巖書院으로 개칭한 조선후기의 서원인데 서원의 연혁과 기록을 정리하고 사우당四友堂의 시문과 만장 등을 기록한 책이다. 책은 2007년 5월 창녕조씨 김해예암종문회에서 발행하고 소문출판인쇄사에서 간행했다. 서두에 사우당四友堂 조이추曺爾樞(1661∼1707)의 묘소와 예암서원禮巖書院 및 경모사敬慕祠의 사진을 부치고 목록을 실은 후 송태복宋台復의 발간사와 연혁 및 개요 등을 부쳤다. 조이추曺爾樞(1661∼1707)는 본관이 창녕이고, 자는 원경(元卿)이다. 산수와 소나무‧대나무‧매화‧국화를 좋아하여 당호를 사우당四友堂이라 하였다. 아버지는 전恮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