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생림면 소도마을에서 만난 중국광대버섯 <2016.10.03. 생림면 나전리 소도마을에서 만난 중국광대버섯> 소도마을 개천제례가 끝난 후 인근 산야에 발생한 버섯들이 있어 촬영을 했다. 특히 대형의 광대버섯류들이 눈길을 끌었는데 그중 하나가 새롭게 ‘중국광대버섯’이라는 이름을 얻은 버섯이다. 약간 어색하긴 했지만 뱀.. 식물/야생버섯 2016.10.04
봉림동 구산봉 자락의 송곳니기계충버섯 <2016.10.01. 앤골약수터 인근의 송곳니기계충버섯> 구산봉 자락에서 버섯 탐사를 하던 중 고운 담홍색의 버섯이 죽은 참나무에 발생하여 멀리서도 눈에 띠였다. 가죽질의 버섯들은 대부분 식용하지 않으며 약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구름송편버섯’ 외에는 거의 없다. 그러다 보니 보.. 식물/야생버섯 2016.10.03
봉림동 구산봉 자락의 황소비단그물버섯 <2016.10.1. 구산봉의 황소비단그물버섯> 봉림동 앤골약수터 인근은 해발고도가 낮아 거의 독버섯류만 나오는 곳이지만 가끔 식용의 버섯류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다만 양이 많지 않아 그냥 지나치기가 일수이다. 이번에 만난 황소비단그물버섯은 작은 종류의 그물버섯에 속하는 것으.. 식물/야생버섯 2016.10.02
봉림동 구산봉 자락의 암적색분말광대버섯 <2016.10.1. 앤골약수터 인근의 암적색분말광대버섯> 비온 후라 날씨가 흐리긴 하지만 버섯이 올라왔을 것으로 기대하고 봉림동 앤골약수터 인근의 구산봉 자락을 살펴보았다. 의외로 다양한 버섯류들이 산 초입의 무덤 근처에서 발생했다. 처음에는 깔다구가 없더니 엎드리고 일어서.. 식물/야생버섯 2016.10.01
봉림동 구산봉 자락의 진갈색주름버섯 <2016.10.1. 앤골약수터에서 만난 진갈색 주름버섯> 앤골약수터에서 약수가 나오는 곳에 물통을 놓아두고 물이 채워지는 동안 산자락을 어슬렁거리다 진갈색주름버섯 3개채를 보았다. 특이한 갈색 인편이 덮여 있어 쉽게 이름을 알게 되었다. 휴대폰으로 갓 표면과 서식지의 풍경을 담.. 식물/야생버섯 2016.10.01
창원향교 대성전 옆에 발생한 배꼽버섯 <2016.9.20. 창원향교 대성전 옆 공터에 발생한 배꼽버섯> 추석 연휴가 끝나고 지진이 일어난 후라 창원향교에는 혹시 피해가 없을까하고 향교건물을 둘러 봤다. 외삼문인 풍화루에 횟가루가 조금 떨어진 것을 빼고는 달라 보이는 것은 없었다. 대성전 옆 공터의 풀숲에서 돋아난 버섯.. 식물/야생버섯 2016.09.29
봉곡동 구산봉의 큰주머니광대버섯 <2015.9.27. 구산봉의 큰주머니광대버섯> 구산봉을 오르다 만난 큰주머니광대버섯을 보는 순간 아무리 깔다구가 설쳐대지만 촬영을 해야겠다는 의무감을 느꼈다. 많은 광대버섯 종류가 머리를 스치고 지나갔지만 이름이 떠오르지 않는다. 이름을 알고 도감을 보며 이제야 이해가 간다... 식물/야생버섯 2016.09.28
봉곡동 구산봉에서 만난 마귀광대버섯 <2016.9.27. 봉곡동 구산봉의 마귀광대버섯> 해마다 이맘때면 버섯으로 인한 사건사고 소식이 들리기도 하는데 올해는 강원도에서 하사관 3명이 버섯 따러 갔다가 실종되어 112기동대가 출동하는 헤프닝을 접했다. 버섯을 제대로만 알면 분명 인류에게 유익한 물질과 맛있는 음식으로 .. 식물/야생버섯 2016.09.28
거제시 보호수 오량마을 느티나무 <2014.11.27. 사등면 오량리 보호수 느티나무> 사등면 오량리는 거제의 관문 역할을 했던 오량성이 있어 알려진 마을이다. 이곳 마을로 들어가는 입구는 옛 오량성의 서문이 있던 자리를 지금도 사용하고 있다. 이 서문지 입구 우측에는 느티나무가 3그루가 서있는데 이중 한그루는 거제.. 식물/보호수와 노거수 2016.09.26
우리지역 야생에서 만나기 쉽지 않는 더덕 <2016.9.23. 창원천변 더덕꽃> 처음으로 더덕이란 식물을 만난 것은 강원도 철원에서 군대생활을 하면서였다. 내가 살아온 창원지역에는 야생 상태에서 더덕은 존재하지 않는 식물이라 더덕이란 식물을 몰랐는데 군대생활을 하면서 야생 상태의 더덕을 많이 만났다. 훈련을 나갔다가 .. 식물/야생화-풀 2016.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