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019

乎乎臺詩集 호호대시집

『乎乎臺詩集 호호대시집』은 의령에 살던 김장곤金長坤이 함안 삼태동三台洞에 이사와 살면서 1952년(壬辰年) 6명의 선비들과 풍욕계風浴稧을 맺고, 호호대乎乎臺¹⁾에서 회포를 풀면서 시회詩會를 열어 참석한 142명의 시詩를 모아 발행한 접장본 책이다. 권두에 소명少溟 배문준裵文準(1905~1984)의 서序를 싣고, 호호乎乎 김장곤金長坤의 호호대기乎乎臺記 부쳤으며, 겸산兼山 홍상무洪象武의 풍욕계서風浴稧序와 풍욕계안風浴稧案을 실은 후 목차를 달았다. 책의 말미에는 은진恩津 송기영宋基永과 담양潭陽 전항수田恒秀의 발跋을 부쳤다. 책은 노루지 접장본으로 전체는 한문으로 이루어졌고 크기는 가로 189cm, 세로 254cm이며 62p이다. 이 책은 2024년 2월 마산헌책서점에서 만원에 구입해 소장하고 있다. 【주석】 ..

荷溪先生 紀績碑建立紀念詩集 하계선생 기적비건립기념시집

『荷溪先生 紀績碑建立紀念詩集 하계선생 기적비건립기념시집』는 창원구씨昌原具氏 5세 하계荷溪 구유온具有溫의 기적비를 밀양시 상동면 안인리에 건립하면서 사손嗣孫 구병옥具炳玉의 『紀績竪碑韻 기적수비운』을 부친 다음 기적비건립에 참가한 462명과 후손12명의 시를 기록한 접장본 책이다. 권두에 족보계통도를 싣고, 밀양密陽 박용숙朴容淑의 서문序文을 부쳤으며, 목록을 넣은 후 안동安東 손태규孫泰奎의 『前行昌原敎授官荷溪先生昌原具公紀績碑文 전행창원교수관하계선생창원구공기적비문』과 『成均進士荷溪先生昌原具公紀績竪碑通告文 성균진사하계선생창원구공기적수비통고문』을 붙이고, 1977년 4월에 발행처를 구천재龜川齋로하고 발행인을 시집발간추진위원회로 하여 위원장 손태규孫泰奎가 발행하고 문진인쇄사에서 간행했다. 권말에는 칠원 제정도諸廷燾..

成修軒回巹詩集 성수헌회근시집

『成修軒回巹詩集 성수헌회근시집』은 의령宜寧의 선비 수헌修軒 성정섭成正燮의 회근回巹¹⁾을 맞이하여 원근의 사우들이 수헌修軒선생의 덕행을 칭송하는 시를 짓고 이를 모아 아들 성재갑成在甲이 1988년 4월에 접장지로 발행한 책이다. 이책의 편집은 중동서원中洞書院 이상학李相學이 맡았고, 감수는 이환호李煥浩, 번역은 김해식金海植이 했으며, 인쇄는 문우당인쇄소에서 간행했다. 권두에 수헌修軒선생의 영정을 배치하고 희재希齋 김병수金丙秀의 서문序文을 비롯해 진양晉陽 강상필姜相弼과 시흥始興 김창현金昌炫, 합천 이상학李相學 등의 서문을 붙이고, 진양晉陽 정규식鄭圭植과 정필식鄭弼植의 회근예축사回巹禮祝詞를 부쳤고, 종제從弟 성달섭成逢燮, 동모제同母第 성일섭成一燮, 포산苞山 곽병수郭柄水, 아들 성재갑成在甲의 발跋을 실었으며, 아..

코니카가문비나무

코니카가문비나무는 북부아메리카 원산으로 균일한 가지를 가진 빽빽하고 원뿔 모양의 난쟁이 침엽수이며 늘푸른고 키작은 나무이다. 꽃말은 불변 또는 역경속의 희망이다. 어느 날 우연히 마을을 지나다 만난 코니카가문비나무는 수형이 크리스마스트리처럼 생겨 눈길을 끌었는데 봄에 연한 녹색의 바늘잎이 성숙하면서 진녹색으로 변한다. 잎은 치밀하고 맹아력이 강하며 전정 없이도 모양을 유지하며 자란다. 자라는 속도는 1.5m까지 자라는데 20~50년이 걸린다고하니 매우 느리게 성장하는 나무이다. 겉씨식물군(Gymnospermae), 구과식물문 (Pinophyta), 구과식물강 (Pinopsida), 소나무목(Pinales), 소나무과(Pinaceae), 가문비나무속(Picea), 학명은 Picea glauca var. a..

매화와 매실나무

매난국죽梅蘭菊竹의 첫 번째로 등장하는 식물이 매화梅花이고, 이른 봄 추위를 무릅쓰고 눈을 맞으며 꽃을 피운다고 하여 선비의 굽힘이 없는 절개에 비유해 사군자四君子라고 한다. 그러한 매화의 기질을 사랑한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서 좋아하는 꽃나무이다. 매화는 중국 쓰촨성이 원산으로 늘 사람들이 곁에 두고 아끼는 나무이다. 매화나무라 할 때는 꽃을 말하고, 열매를 말할 때는 매실梅實나무라 한다. 처음 인간이 이 나무에 다가갔을 때는 열매를 얻어 약으로 사용하기 위함이었기에 매실나무였다. 그것을 증명하듯 국가 표준식물 목록의 정식명칭은 '매실梅實나무'이다. 매실梅實나무는 청동기시대에 식초의 원료로 사용했다는 증거가 있고, 에 ‘매실따기[摽有梅]’란 이름으로 열매가 등장한다. 또한 에 약효의 상세한 내용이 나오..

창원 근대문헌 자료집

『창원 근대문헌 자료집』은 2023년 12월 「지역사발굴연구 교양총서 04」로 창원시정연구원 창원학연구센터에서 발행한 책으로 발행인 김영표, 편집인 구본우와 김류림이 했다. 번역은 하동길, 한석태가 하였고 해제와 주석은 박영주가 했으며 불휘미디어에서 발간했다. 서두에 「일러두기」를 붙였고 창원시정연구원 김영표의 발간사와 박영주의 해제를 부쳤으며 목차를 실었다. 책은 1부 개항기·대한제국기 조선인 편찬 지리지 창원부분, 2부 대한제국기·일제강점기 초기 왜구가 편찬한 한국지지 창원부분, 3부 수로·수산·광산·시장 등의 조사보고서류 창원부분, 4부 지방행정기관(창원군) 자료 등으로 구성했다. 아쉬운 점은 우리나라의 근대사는 왜구의 점령기인 관계로 왜구가 개발한 지역의 자료가 현저히 많고 원 창원군의 기록은 없..

아카시아나무

우리나라는 외래종 원예식물이 들어오면서 이름도 수입한 사람들이 지어 부르는 경우가 많아 식물의 학명과 상관없는 이름이 많은 편이다. 이번에 우리 마을 카페 앞에서 만난 이 식물도 ‘아카시아’라는 말을 듣지 않았다면 정리할 생각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알고 있는 아카시아는 5월에 흰꽃이 피는 밀월 식물로 인기가 높은 ‘아까시나무’인데 일반인들은 이 나무를 ‘아카시아나무’로 알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나라는 60~70년대 헐벗은 산야와 비탈의 사방공사를 위해 들여온 ‘아까시나무’가 ‘아카시아나무’로 전해졌는지 모르지만, 진짜 이름이 아카시아나무가 따로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이번에 아카시아나무를 만나게 됐다. 아열대 식물인 아카시아는 노지露地에서 자라는 지역이 제주도만 가능했는데 요즘은 육지..

中洞書院誌 중동서원지

『中洞書院 중동서원』은 합천읍 합천리 690-1에 위치한 조선 후기(1691년)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알평李謁平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한 서원이며 교육시설이다. 그 뒤 이개李開와 이우칭李禹偁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는 서원書院이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충의사忠義祠,신문神門, 8칸의 강당, 3칸의 망월루望月樓, 5칸의 만서정사晩棲精舍, 3칸의 화수정花樹亭, 고사庫舍 등이 있다. 매년 3월 중정(中丁 : 두번째 丁日)과 9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으며, 제품祭品은 4변籩 4두豆이다. 『中洞書院誌 중동서원지』는 1986년 병인丙寅 10월에 『中洞書院』에서 석판본으로 발간한 책으로 편집은 이상학李相學, 발행 이영태李韺兑, 교정 이환호李煥浩, 총무 이보현李保鉉, 번역을 김해식金海植이..

국역 백호전서 白湖全書

『국역 백호전서 白湖全書』는 조선 후기, 대사헌, 우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이자 학자인 윤휴尹鑴(1617~1680) 선생의 글을 모은 『白湖尹先生文集』을 한국고전번역원의 양홍렬이 번역하고, 1995년 7월 민족문화추진회를 발행처로 하여, 교열은 김철희, 기획은 박헌순·김은정·이기찬, 교정은 강여진·김경희·김태건·김미엽·김주미·박연희·송은경·이원배·최은진이하고, 편집위원회장 한우근과 위원 이가원·이동환·이지형·이춘희·천혜봉·한영우·박소동·송기채·신승운·정태헌 등이 참여하고, 동국전산주식회사가 인쇄해 정부의 지원으로 발간했다. Ⅰ권의 권두에 ‘일러두기’를 붙이고 목차를 실었으며, 풍산 유석우柳奭佑의 서문을 부쳤으며, Ⅺ권의 말미에 8대손 윤신환尹臣煥의 발跋과 9대손 윤수경尹壽慶의 후지後識를 붙여 발행했다.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