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책과 기록 253

龜山面鄕土史誌 구산면향토사지

구산면향토사지는 1995년 구산면 구복리에 살았던 왕산旺山 김종흔金鍾忻(1825~)이 집필하고 구산향우회가 발행한 지역사를 담은 책이다. 이 책은 1장 연혁 및 현황, 2장 조상의 발자취, 3장 현장의 발자취, 4장 고장을 빛낸 얼굴, 5장 오늘의 현황, 6장 생활과 풍습으로 목차를 정했다. 특히 금석문과 재누정齋樓亭에 대해 면밀히 기록하고 있어 지역을 익히는데 많은 도움이 되고 있다. 이 책은 2023년 2월 마산헌책서점에서 만오천원에 구입해 소장하고 있다.

休園文集 휴원문집

『휴원문집 休園文集』은 1938년 휴원休園 김용근金容根이 남긴 목판본 문집으로 총 5권 3책으로 이루어졌으며 가로 183cm, 세로 270cm로 만들어졌다. 문집의 서문은 김병린金柄璘이 썼으며, 발문은 노가용盧家容과 아들 김기종金基鍾이 쓴 것이 책의 마지막에 붙어 있다. 권1과 2권은 시이고, 권3은 서, 서문, 기문, 발문, 잡서, 제문, 묘갈 등이며 권4는 부록으로 유사, 행장, 묘표, 묘지명 등이고, 권5는 부록으로 만장, 제문, 휴원기, 기문, 증유시편, 스승과 제현들의 글로 이루어졌다. 이 책은 지인이 맡겨 둔 것으로 연구 후에 책 임자의 뜻에 따라 기증할 생각이다.

晩岡遺輯 만강유집

국역 만강유집晩岡遺輯은 2009년 전주최씨 최석림崔晳林이 할아버지 만강晩岡 최우순崔羽淳의 유집을 한글로 번역하여 다시 간행한 책으로 1968년 이일해李一海가 서문을 썼으며 1969년 하영기河永箕가 지었던 발문은 그대로 옮겨두었고 발간사는 손자 최낙인崔洛寅과 금락이 짓고, 축하 글을 제명수諸明秀가 썼다. 2권 2책으로 권지일卷之一은 시詩 215수와 친구들의 운을 따서 지은 시 6수가 실려 있다. 권지이卷之二는 서書 3수, 서序 3수, 제문祭文 5수, 애사 1수가 있으며 부록에 만사挽詞 77수, 제문祭文 18, 가장 행장 묘갈명 갈천사수호실기 및 만강최선생사적비문이 있다. 책의 크기는 가로 202cm, 세로 265cm이다. 이 책은 2023년 2월에 마산헌책서점에서 만오천원에 구입해 소장하게 됐다.

吾岡遺稿 오강유고

오강유고吾岡遺稿는 오강吾岡 이인기李仁基의 시문을 아들 이종희李鍾熺가 유고집遺稿集을 만든 것으로 3권 1책의 석판본이다. 한 권으로 엮은 책이지만 번역 1책이 따로 붙어 있어 2책이 함께한다. 편집은 이호기李晧基가 했고 의령 정곡면 오방리의 이종희李鍾熺가 발행했으며, 문우당인쇄소에서 간행했다. 책의 크기는 가로 200cm, 세로 280cm이다. 서문序文은 1984년 이종희李鍾熺의 친구인 이헌주李憲柱가 썼으며, 발문跋文은 1987년 이상학李相學이 지었다. 권지일卷之一은 시詩 159수이고, 권지이卷之二는 서書 27수, 서序 1수, 고문告文 1수, 제문祭文 14수, 묘갈명墓碣銘 묘표墓表가 각각 1수씩이고, 행장 4편, 행록이 2수있다. 권지삼卷之三은 부록으로 12수의 각자 다른 글이 있다. 책은 2023년 2월..

南坡遺稿 남파유고

남파유고南坡遺稿는 김상준金相峻(1894~1971)의 유고집으로 1984년 이순채李淳寀가 서문을 쓰고, 김선익과 아들 김돈희金敦熙의 발문을 붙여 1985년 유고집이 발간 되었다. 목록은 시詩 180수, 만挽 13수, 서書 6수, 잡저 8수, 기記 1수, 제문 3수 부록에 만 제문 행장 묘갈명 발이 있다. 책의 크기는 가로 190cm, 세로 266cm이다. 남파南坡 김상준은 상산김씨로 1894년 산청군 신등면 법물리 출신이며 1919년 3.20~21 신등장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다 3.19일 일경에 체포되었다가 군중들의 해산을 요건으로 석방되었다. 이튿날 다시 헌병주재소로 몰려가 만세시위를 전개하다 체포되었다. 이 책은 2023년 2월 마산헌책서점에서 만오천으로 샀다.

荷塘遺稿 하당유고

하당유고荷塘遺稿는 함안 법수면 황사리에 살던 송기영宋基永의 시문을 함안 영모재永慕齋에서 1989년 연활자본으로 간행한 책으로서 편집은 송종학宋鍾學이 했으며 인쇄는 진주의 동양인쇄사에서 했다. 책의 서문은 종인宗人 송연헌宋延憲이 썼고 발문跋文은 동생 송태영宋泰永이 지었다. 목록을 보면 시詩 145수와 서書 17수, 묘갈명墓碣銘 20수, 기記 4수, 서序 3수, 명銘 1수, 고유문 3수, 발문 3수, 제문 4수가 있으며 부록으로 만挽 제문祭文 전傳 유사遺事 육우정기六友亭記 가장家狀 행장行狀 묘지명墓誌銘 묘갈명墓碣銘 발跋이 있다. 책의 크기는 가로 184cm, 세로 280cm이다. 이 책은 2023년 2월에 마산헌책서점에서 만오천원에 구입해 소장하고 있다.

南角遺稿 남각유고

남각유고南角遺稿의 저자 김봉열金鳳烈(1887~1960)의 자는 회경檜慶, 호는 남각南角이며 1965년에 간행한 시문집으로 2권 1책의 신연활자본新鉛活字本이다. 서문은 화산花山 권용현權龍鉉이 썼고 발문은 1964년에 김석주金石柱와 1965년에 아들 김기홍金基洪이 지었으며, 1권에 시詩 22수와 서書 2문, 잡저雜著 7문, 서序 3수, 기記 2수, 발跋 1수, 비명碑銘 1수, 묘표墓表 1수, 묘지墓誌 2수, 유사遺事 13수를 담았고, 2권에는 부록附錄으로 차운과 만사 제문 가장 행장 묘지명 묘갈명 묘표 발跋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종합DB가 제공하는 남각유고의 링크이다. 책의 크기는 가로 179cm, 세로 289cm이다. 이 책은 2023년 2월에 마산헌책서점에서 만오천원에 구입해 소장하게 됐다.

德山遺稿 덕산유고

덕산유고德山遺稿는 덕산德山 최수연崔壽然의 시문詩文을 모아 1997년 4월에 의령군 영모재永慕齋에서 간행한 책으로 편집은 함안 법수면의 조정규趙丁奎가 했고 발행은 법수면의 송수영宋壽永과 덕산德山의 조카 최재성崔在聖이 했다. 책의 크기는 가로 189cm, 세로 278cm이다. 이 책은 1책 2권으로 구성됐고 서문은 허정순許正純이 썼고 1권에는 시 125 수를 수록했고 2권에는 기문과 서문 행장 묘비 발문 등 32문과 부록으로 덕산계원 명부 등이 적혀있다. 특히 시詩는 모두 국역해 두었다. 최수연崔壽然은 의령에서 함안 법수면 윤내리 부동마을에 정착했던 인물이다. 이 책은 2023년 2월에 마산헌책서점에서 만오천원을 주고 구입했다.

三棣亭誌 삼체정지

삼체정지三棣亭誌는 전남 보성군 복내면 복내리 268-1에 위치한 남평문씨南平文氏 문창식, 문동식, 문병식 삼형제가 독서하던 삼체정三棣亭에 관한 기록이다. 이 책은 1988년에 신연활자 1책으로 간행되었으며 가로 193cm, 세로 289cm이다. 책의 내용은 아래 국사편찬위원회의 링크와 같다. 삼체정지三棣亭誌 이 책은 2023.년 2월에 마산헌책서점에서 만오천원에 구입하여 소장하고 있으며 구입 때 창원 지역의 것인줄 알고 샀다.

谷川集 곡천집

곡천谷川 김상정金尙鼎(1668~1728)은 항재(恒齋) 이숭일(李崇逸)과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의 문인으로 창원 화목花木에서 태어났다. 그의 위패는 곡목의 소금당溯琴堂 뒤 사당에 모시고 있다. 곡천집谷川集은 원문과 국역본을 1권의 책에 담았는데 양장으로 딱딱한 표지로 만들었고 그의 후손 김문하金文河가 이명성과 장성진에게 국역을 부탁했고 2012년 3월에 도서출판경남에서 발행했다. 책의 크기는 가로 184cm, 세로 249cm이다. 특히 외동아들 공필이 13세에 죽자 아버지로서 쓴 제문이 눈물겹다. 이 책은 2023.2월에 마산헌책서점에서 만원에 구입하여 소장하게 됐다. 우리 지역의 산을 등정한 후 남긴 곡천의 시 2편을 소개한다. 斗尺山頂 두척산 꼭대기에서 屼峍高峯倚半空 비탈진 큰 봉우리 반공에 솟아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