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모산 12

꼬리말발도리

다음 블로그가 회사의 변경으로 이리저리 굴러 다니다 보니 옛 글들이 검색이 되지 않는다. 번거럽더라도 글을 새롭게 기록할 수밖에 없다. 2008년도의 사진이니 참으로 세월은 빨리 흘렀고 당시를 회상하는게 쉽지는 않다. 꼬리말발도리는 한반도 고유종으로 자생지는 경북(팔공산, 청도 남산), 경남(불모산, 가지산, 금정산, 단석산, 달음산, 재약산 정족산, 천성산, 천황산)의 숲속에 드물게 자라고, 낙엽지는 키작은 나무로 높이 1~2m 정도로 자란다. 수피는 회갈색이고 평활하며 세로로 얕게 갈라진다. 어린가지는 광택이 있는 적갈색이다. 겨울눈은 황갈색 또는 적갈색의 장난형이며 인편에 성상모가 밀생한다. 잎 마주나며 길이 7~10㎝의 타원상난형 또는 난형이다. 양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촘촘히 있다...

바디나물

우리나라 전역과 우리지역의 습기가 많은 산 계곡에 흔하게 있었으나 지금은 그렇게 흔하진 않다. 어릴 때 "까막발"이라 불렀던 기억이 난다. 식물의 이름을 달면서 당연히 바디나물은 기록했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실재로는 기록한 적이 없음을 이번에 알았다. 아마도 산형과의 식물이 다양하고 이름을 알기 쉽지 않아 미루다가 기록하지 않았을 것이다.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 (Magnoliopsida). 진정국화군 II(euasterids II), 미나리목(Apiales), 산형과(Apiaceae), 당귀속(Angelica), 바디나물의 학명은Angelica decursiva (Miq.) Franch. et Sav.이다. 여러해살이풀로 열매, 잎, 뿌리는 약으로 사용하며 한방애서는 야근채(野..

참개암나무

벼가 익어갈 때 산에서는 개암나무의 열매도 익어간다. 어릴 때 깨묵이라 불렀던 이 열매는 겉껍질을 벗기고 단단한 껍질을 깨면 콩같은 씨앗이 나오는데 이것을 씹어 먹으면 고소한 간식이 됐다. 지금 아이들은 이것을 구경도 못한 경우도 많고 먹는다는 것을 모르는 아이들이 태반이다. 민족이란 동일한 문화를 이어가는 것인데 지금의 아이들과 기존 세대는 기본적으로 공유하는 문화나 놀이가 거의 없다보니 전혀 다른 생각을 하고 놀이문화도 다르다. 농업사회는 사라지고 산업화 시대에 살아가는 것은 기성세대와 새로운 세대의 문화단절이 심각하여 전혀 다른 민족성을 가지고 있다. 예전의 선이 지금은 무시되고 예전의 금기가 지금 활기를 친다. 현 시대는 늙은이가 새로운 도구와 문화에 적응할 수 없는 속도로 변하고 있어 괴리는 심..

불모산에서 천자봉으로 가는 산행

음력 새해 첫날 아들과 불모산 정상에서 시루봉(熊巖)까지 산행을 하기 위하여 창원터널을 지나 재짐고개(상점령)를 거쳐 불모산 정상에 주차를 하고 佛母山(불모산)에서 熊山(웅산)를 향해 산행을 시작 했다. 불모산(佛母山 : 801m)은 지리상으로 창원시 성산구 성주동(聖住洞)과 진해시(鎭海市) 웅동동(熊東洞), 김해시 장유읍(長有邑) 대청리를 경계 짓는 산이지만 “『세종실록지리지』(창원)에는 토산으로 "사철(沙鐵)이 부 남쪽 악상리(岳上里) 부을무산(夫乙無山)에서 난다."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 부을무산이 불모산의 다른 이름이고, 악상리는 불모산리 즉 현재 불모산동의 옛 이름으로 여겨진다. 부을무산의 '부을'은 '불'로 서쪽을 뜻하고, '무'는 '뫼'로 산을 뜻하므로 김해의 서쪽에 있는 산에서 그 이름이 유..

고광나무의 아름다움을 창원초우회에서 보았다.

2008년 5월 불모산 처음 용추3교 입구에서 만난 고광나무는 시들시들 한 것이 잎도 벌레가 많이 먹어 오래 살지 궁금했지만 딱히 눈에 띄는 나무도 아니어서 관심을 받지 못한 나무였다. 그러다 2006년 남해 금음산에서 꽃 봉우리를 맺은 고광나무를 보고 난 후 꽤 예쁜 모양을 한 나무라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불모산에서 활짝 핀 고광나무를 기록했다. 이번 창원초우회 전시장에 진열된 고광나무를 보고 이렇게 화분에 키워도 멋있는 나무임을 알았다. 2012년 5월 용추계곡 쌍자엽식물아강(Magnoliopsida), 진정쌍떡잎식물(Eudicots), 범의귀목(Saxifragales), 범의귀과(Saxifragaceae), 고광나무속(Philadelphus), 고광나무의 학명은 Philadelphus sch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