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2421

금병공원의 층층나무

2020.5.17. 김해 금병공원에서 만난 층층나무 수형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으로 우리나라도 홍역을 앓고 있는데 5월들어 사회적 거리 두기에서 생활속 거리 두기로 전환되어 “18회 걸어서 봉화로” 행사에 참가하기 위해 김해 진영의 금병공원으로 갔다. 금병공원은 창원중앙역에서 출발하여 용추계곡을 지나 우곡사를 거처 진영읍 금병공원으로 걸어서 오는 일행들을 맞이하여 점심을 먹는 곳이다. 일행이 도착하기 전 공원의 나무들을 둘러보는데 가장 눈에 들어오는 나무가 지금 한창 꽃을 피운 층층나무이다. 층층나무는 동북아시아 온대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우리나라 전국에 자생하는 낙엽 지는 교목으로 높이 10~20m, 지름 50cm 정도이다. 줄기에 가지가 붙은 모양이 여러 단의 층을 이루는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다. ..

봉암갯벌의 큰비쑥

2020.5.17. 봉암갯벌 생태체험장에서 만난 큰비쑥 쑥속은 40여종이나 되는 많은 종류가 있어 이를 다 만나고 구분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우리가 가장 많이 보고 식용하는 참쑥를 기준으로 하면서 바닷가 즉 갯가 식물로 분류되는 큰비쑥을 봉암갯벌 생태체험장에서 보았고 예전의 사진 자료를 보다가 창포만에서 만났던 자료도 보았다. 큰비쑥은 타이완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의 황해도 이남 바닷가에서 서식한다. 바닷가쑥, 갯쑥, 눈쑥 등으로도 불리는 큰비쑥은 비쑥에 비해 줄기잎이 2배이상 크고 머리모양꽃은 5~7mm로 비쑥의 1~2mm 보다 확실히 크다. 목련강(쌍떡잎식물 Magnoliopsida), 국화아강(Asteridae), 국화목(Asterales), 국화과(Compositae), 쑥속(Artem..

창포만의 갯쇠보리

2007.8.11. 창포만에서 본 갯쇠보리 갯쇠보리는 황해도 이남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며 여러해살이풀로 밑부분의 마디에서 굵은 뿌리가 내리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모여서 비스듬히 자란다. 화본목(Graminales), 벼과(Gramineae), 쇠보리속(Ischaemum) 갯쇠보리의 학명은 Ischaemum anthephoroides (Steud.) Miq이다. 잎은 편평하며 길이 15-30cm, 폭 8-12mm로서 엽초와 더불어 양면에 보통 복모가 있고 잎혀는 절두이거나 또는 2개 내지 여러개로 잘게 갈라지며 잔털이 있다. 높이는 30~80cm이다. 꽃은 7월에 피고 꽃차례는 밑부분과 마디에 털이 있으며 반원주형의 화수(花穗) 2개가 합쳐져서 1개의 원주형 화수같이 보이고 길이 6-12cm로서 긴 ..

소목고개서 만난 은난초

은난초는 우리 동네에서는 용추계곡의 중부와 소목고개 초입부에서 발견할 수 있는데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 분포하고 일본, 중국에도 서식하는 식물이다. 소목고개에서는 금난초와 함께 서식하고 용추계곡 중부지역에서는 금난초를 보지 못했다. 미종자목, 난초과(Orchidaceae), 은대난초속(Cephalanthera), 은난초의 학명은 Cephalanthera erecta (Thunb. ex Murray) Blume이다. 은난초는 산지의 응달에서 높이 30~60cm가량 자라며 5월 초에 흰색의 꽃을 피운다. 꽃은 5~10개 정도가 달리며 원줄기 끝에 수상으로 달리며 포는 좁은 삼각형이고 길이 1~3mm로서 첫째 포가 길어지기도 하지만 꽃차례보다 짧다. 꽃잎은 완전히 열리지 않고 오므리고 있는데 열매가 맺히는 것을..

사람의 얼굴빛을 닮았다는 사람주나무

사람주나무는 표고 100~1,300m에서 서식하고 해안을 따라 서해안에서는 백령도까지, 동해안에서는 속초, 설악산까지 자라며 전라도·경상도·충청남도에 있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이 원산인 아시아계 나무이다. 대극과에 속하는 낙엽 소교목으로 숲속에 서식한다. 높이는 약 6m이다. 사람주나무라는 이름은 봄에 잎이 돋았을 때 잎의 색깔이 사람의 홍조와 비슷하다고 하여 「붉을 주 朱」자를 써서 붙여진 것이다. 가지 또는 잎에 상처를 내면 백색 유액이 나며, 냄새를 맡으면 특유의 향기가 있다. 나무줄기의 껍질에는 흰 분가루가 묻어난다.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쥐손이풀목(Geraniales), 대극과(Euphorbiaceae), 사람주나무속(Sapium), 사람주나무의 학명은 Sapium j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