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2421

안민고개의 구름송편버섯

안민고개에서 만난 구름송편버섯은 평소 내가 알고 있던 운지(구름송편버섯)과는 달라 보여 카페에 물으니 구름송편버섯이라 알려 준다. 아직 성장하고 있는 버섯이라 그런지 갓부분에 털이 풍성하고 테의 색상도 갈색 흰색 검은색 등 뚜렷한 색깔을 하고 있으며 아래의 관공도 선명한 편이다. 구름송편버섯도 발생하는 환경의 영향을 받는지 발생한 곳에 따라 조금씩 달라 보인다. 봉림동 봉림산의 구름송편버섯(운지) 봉림동 봉림산의 구름송편버섯(운지) 오랫만에 봉림산을 올라보니 땅에서 발생하는 버섯류들은 거의 사라졌고 썩은 활엽수 그루터기에서 발생한 구름송편버섯(운지버섯)과 갈색꽃구름버섯만 보게 되었다. 싱싱하게 돋아나는 구름� blog.daum.net 동읍 용잠리의 색다른 구름송편버섯(운지) 동읍 용잠리의 색다른 구름송편..

식물/야생버섯 2020.09.20

안민고개의 노란다발버섯

아들과 불모산 정상에서 헤어진 후 안민고개에서 만나기로 하여 차량으로 안민고개에 도착한 후 버섯들이 있는지 살피다가 무리를 이룬 노란다발버섯 무리들을 만났다. 개암버섯과 많이 닮은 노란다발버섯은 대가 쉽게 뿌러지고 보통은 나무에서 발생하지만 이처럼 땅에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담자균문(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주름버섯목(Agaricales), 독청버섯과(Strophariaceae), 개암버섯속(Naematoloma)의 노란다발버섯은 학명이 Naematoloma fasciculare (Huds) P. Karst이고, 독성이 강한 버섯으로 개암버섯과 매우 유사하다. 시기 : 초봄부터 초겨울까지 장소 : 활엽수, 침엽수의 죽은 나무, 그루터기, 땅에 묻힌 나..

식물/야생버섯 2020.09.20

창원향교의 늙은 느티나무

杏壇老槐 향교의 늙은 느티나무 泮宮老槐幾經春 향교에 오래된 홰나무 몇 해가 지났던가 萬古風霜堪耐身 만고풍상을 감내한 몸일세 大殿位牌恒守近 대성전 위패 항상 가까이 지키었고 明堂講席每監隣 명륜당 강론 자리 이웃에서 살피었네 蔚昌玉葉儒林好 울창한 귀한 잎은 유생이 좋아하고 雄壯瓊枝學者親 웅장한 장한 가지 학문을 하는 사람 좋아했네 巨木長生誰不頌 큰 나무 오래 삶을 누가 칭송하지 않겠는가. 盡心保護萬人伸 진심으로 보호함을 만인이 펴리라. 牛山 南相珣

구산면 트라피스트수녀원의 기와버섯 변종

마창기술봉사단의 봉사활동 장소로 정한 수정리에 있는 트라피트수녀원에서 왕대 제거 작업을 하던 중 대숲에서 한 개체의 묘하게 예쁜 버섯을 발견했다. 이름은 알 수 없고 무당버섯속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어 무당버섯속으로 분류를 한다. 이름을 모르는 버섯류들을 블로그에 올리지 않으니 아예 사장이 되어 컴퓨터 속에서 잠만자고 있어 지금부터는 그 실재하는 모습은 남겨둠으로써 다음에 유사한 버섯과 비교의 대상이 되게 하고자 한다.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무당버섯목(Russulales), 무당버섯과(Russulaceae), 무당버섯속(Russula)의 기와버섯은 학명이 Russula virescens (Schaeff.) Fr.이다. 갓은 중앙이 약간 오목한 ..

식물/야생버섯 2020.09.17

구산면 트라피스트수녀원의 황소비단그물버섯

큰 곰솔 아래 축대에 황소비단그물버섯이 5개체가 발생해 있어 처음에는 사진만 남기고 말까 했는데 좋은 사진을 찍기 위해 뽑다 보니 결국 챙겨와 집에서 된장찌개로 먹었다. 비단그물버섯속에서 식감도 좋은 단연 맛있는 버섯이라 가져오길 잘했다 생각했다. 버섯의 초보자도 황소비단그물버섯은 한번만 만나면 쉽게 알 수 있는 버섯으로 습기가 있으면 끈적임이 있고 열을 가하면 주홍색이 나타난다. 소나무 아래에 둥글게 발생하는 수도 있다.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그물버섯목(Boletales), 비단그물버섯과(Suillaceae), 비단그물버섯속(Suillus)의 황소비단그물버섯은 학명이 Suillus bovinus (Pers.) Rouss이다. 갓은 크기 3~..

식물/야생버섯 2020.09.15

구산면 트라피스트수녀원 대밭의 회갈색무당버섯

마창기술봉사단을 따라 트라피트수녀원으로 대나무 제거하는 봉사활동을 하게 되었다. 참다래 농장 쪽으로 왕대가 침범하여 이를 막기 위해 대나무를 자르고 땅을 절개 작업하여 뿌리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 작업이었다. 잠시 왕대나무 숲으로 들어가니 잡풀은 전혀 없고 대나무의 잔뿌리로 인해 흙바닥이 드러난 상태이다. 그 대숲 속에는 몇 개체의 버섯류가 발생하여 잠시 촬영을 했다. 이름을 모르는 것은 카페에 물어 두었고 도감을 찾거나 알고 있는 버섯은 차례로 정리를 해본다.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무당버섯목(Russulales), 무당버섯과(Russulaceae), 무당버섯속(Russula)의 회갈색무당버섯은 학명이 Russula sororia이다. 약용..

식물/야생버섯 2020.09.14

불모산의 홍릉낙엽버섯

카페에 이름이 달려 그 내용을 옮겨 둔다. 이 버섯은 낙엽버섯과에 속한 것이며 이름이 근래에 완성된 모양이다. 9월 9일에 창원천에서 봤던 홍릉낙엽버섯과는 외관상 많이 달라 동일한 홍릉낙엽버섯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 갓의 크기도 훨씬 컸고 대가 붙은 모양도 편심이 아니라 중앙형이고 둥근모양이 아니라 완전히 편편한 모양을 하고 있었으며 군집이 아니라 홀로 발생한 경우라 동일 종으로 생각할 수 없었다. 그리고 다시 돌아오던 중 만난 군집형태의 홍릉낙엽버섯은 창원천변에서 만났던 버섯과 많이 닮았다. 아래에 설명 없이 사진을 올려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됐다. 담자균문(Basidiomycota),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주름버섯목(Agarica..

식물/야생버섯 2020.09.13

썩어가는 의자에 발생한 쥐눈물버섯속의 버섯

카페에도 물었으나 어떤 답도 없다. 이리저리 찾아보다가 쥐눈물버섯속(Coprinellus)의 버섯까지는 알았는데 정확한 이름을 달고 있지는 않는 버섯이다. 버섯의 갓에 붙어 있던 파편이 떨어져 의자에 붙어 있었고 아침이 되고 조금 있다가 다시 버섯을 보니 이미 검은색으로 녹아 흘렀다. 추정하건대 밤에만 핀다는 노랑쥐눈물버섯일 가능성이 있다. 담자균문(Basidiomycota),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주름버섯목(Agaricales), 먹물버섯과(Coprinaceae), 쥐눈물버섯속(Coprinellus)의 버섯이다. 노랑쥐눈물버섯(황갈색먹물버섯 : Corprinus rudians) 크기 버섯갓 지름2~3cm, 버섯대 굵기 3~4mm, 길이 2~..

식물/야생버섯 2020.09.13

불모산의 흰털깔때기버섯(임시명)

예전에 불모산에서 이 버섯의 흔적을 본적이 있었지만 그 때는 너무 노균이라 사진으로 남기지 못했다. 오늘 만난 흰털깔때기버섯(임시명)은 그 때 보았던 그 장소 근처였다. 아마도 발생한 곳에서 계속 발생하는 모양이다. 몇 개를 가져와 맛을 볼까 하다가 처음 본 버섯이라 그러지 않았다. 까페에서 달아준 이름으로 검색하고 찾아보니 식용도 하는 모양이다. 담자균문(Basidiomycota),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주름버섯목(Agaricales), 주름버섯과(Agaricaceae), 깔대기버섯속(Clitocybe)의 흰털깔때기버섯(임시명)의 학명은 Clitocybe sp이다. 갓은 지름 4~12㎝정도로 어릴 때는 둥근 산 모양에서 점차 편평하게 된 후..

식물/야생버섯 2020.09.13

불모산의 깔때기무당버섯

깔때기무당버섯은 2014년 8월에 불모산에서 만난 후 이전에도 불모산 500m 상부의 고지에서 만났다. 한참을 이름을 몰라 헤매다가 무당버섯과에서 이름을 찾게 됐다. 이번에는 깔때기 모양을 한 개체는 볼 수 없었으나 물방울을 분비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무당버섯목(Russulales), 무당버섯과(Russulaceae), 무당버섯속(Russula)의 깔때기무당버섯은 학명이 Russula foetens Pers. ex Fr이고, 독버섯으로 식용해서는 안 된다. 깔때기무당버섯의 갓 지름은 9-12cm로 성장하면서 얕은 깔때기모양으로 된다. 표면은 탁한 황토갈색이며 습기가 있을 때 끈적끈적하고, 가장자리는 뚜렷한 방사선의 흠이..

식물/야생버섯 2020.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