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2421

취나물이라 불리는 참취

참취라는 이름보다 취나물로 더 많이 알려진 식물이 참취이다. 봄에 나물을 채취하러 가면 산채로는 최고의 인기를 얻고 있는 나물이 취나물이다. 또 그만큼 흔하기도 하고 전국 어디나 쉽게 발견되는 식물이다. 강원도 철원에서 군대 생활할 때 봄에 야전훈련을 가면 지천에 널려 있던 취나물을 채취하여 고추장에 쌈으로 먹은 추억이 있는 취나물이다. 그때 깨달은 것 하나는 생것을 많이 섭취하면 배탈이 난다는 사실이다. 요즘은 취나물을 재배하여 생산하는 곳도 많아 쉽게 마트에서 구할 수 있다.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자엽식물(쌍떡잎식물,雙子葉植物,dicotyledons), 이판화(離瓣花, polypetalous), 초롱꽃목(Campanulales), 국화과(Asteraceae), 참취속(Aster)의 ..

봉림산 자락의 며느리밑씻개

이번에 Pentax K-10을 중고로 16만 원에 구입 했다. 그 성능을 보기 위해 봉림산 자락으로 촬영 본보기를 찾아갔다가 ‘뭘 해도 미운 며느리’에 얽힌 이야기가 전하는 며느리밑씻개를 찍게 됐다. 며느리밑씻개는 사광이아재비, 가시덩굴여뀌, 가시메밀, 낭균, 사불검 등 많은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는 식물이다. 흡사한 식물로 집 주위나 들판에서 흔하게 만나는 며느리배꼽과는 달리, 며느리밑씻개는 들판이나 산야의 가장자리와 햇볕이 잘 드는 계곡 가장자리에서 자주 마주하게 된다.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자엽식물(쌍떡잎식물, 雙子葉植物, dicotyledons), 이판화(離瓣花, polypetalous), 마디풀목(Polygonales), 마디풀과(Polygonaceae), 마디풀속(Polygo..

창원 남산공동묘지의 민뿌리버섯

창원시 성산구 남산동 산 62번지와 63번지 일원은 옛날부터 남산동과 인근 원주민들이 묘지로 사용하여 공동묘지의 형태를 이루고 있는 곳이다. 그러다보니 명절 때 성묘를 오는 사람들이 많다. 공동묘지로 사용할 당시만 해도 큰 소나무도 없었고 숲이 없는 그런 산이었는데 화석연료로 땔감을 바꾼 후 지금은 40~50년 된 소나무가 주종을 이루고 숲을 형성하여 도심의 허파 구실을 하는 곳으로 탈바꿈 했다. 간혹 참나무 류와 밤나무, 아까시나무 등이 있지만 이 곳의 주인공은 단연 소나무들이다. 이 버섯의 숙주가 되는 나무가 아까시나무인 줄 알고 아까시흰구멍버섯으로 설명 했는데 알고보니 소나무에서 발생하는 민뿌리버섯이다. 아래의 설명도 모두 지우고 다시 민뿌리버섯으로 설명을 한다. 담자균문(Basidiomycota)..

식물/야생버섯 2020.08.30

봉림동 태복산의 난포자광대버섯

5시가 넘었는데 해가 한참 남아 있어 잠시 태복산[太福山=太白山]으로 버섯 탐사를 하러 갔다. 약수터를 지나 우측 산으로 들어서니 이미 이곳은 햇빛이 없는 상태다. 산자락의 초입부로 옮겨가니 딱 이 한 개체의 버섯을 만났다. 오늘 탐사는 이것을 마지막으로 하고 카메라를 삼각대에 조립하고 나니 햇빛이 없어 좋은 사진을 남기는 것은 포기하고 촛점을 맞추고 촬영을 했다. 땀이 온몸으로 흘러 저질 체력의 한계를 느끼면서 곧장 하산을 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름을 몰랐던 것인데 이번에 버섯 카페에서 이 버섯을 보게 됐고 오늘 만나게 되어 또 이름 하나를 추가한다.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주름버섯목(Agaricomycetes a-h), 광대버섯과(Amanitaceae), 광대버섯속(Amanita)..

식물/야생버섯 2020.08.28

불모산 성주사에서 만난 메꽃버섯붙이

불모산 성주사 곰절 가는 옛길에서 메꽃버섯붙이을 만났다. 이름이 생각나지 않아 카페에 물었다가 검색 끝에 이름을 알게 됐고 이미 3번이나 기록을 했다. 그래도 기념이니 다시 기록을 남긴다. “8호 바비”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다고 방송은 하고 있으나 약간의 비가 오고 미풍이라할 만큼 바람이 부는게 아직은 다이다.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구멍장이버섯목(Polyporales),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메꽃버섯속(Microporus)에 속한 메꽃버섯붙이의 학명은 Microporus vernicipes (Berk) Kuntze이고, 식용가치는 없고, 항종양, 항균 작용이 있어 약용하며, 전 세계에 분포한다. 메꽃버섯속(Micropo..

식물/야생버섯 2020.08.26

창원 자연학습원의 큰낙엽버섯

계속 비가 오는 날씨 속에 잠시 하늘이 개여 용호동의 자연학습원을 찾아봤다. 소나무 아래 잔디밭에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큰낙엽버섯이 발생하여 촬영을 했다. "큰낙엽버섯은 봄부터 가을까지 숲 속, 대나무 숲 등의 낙엽 위에 무리지어 발생하고 낙엽을 분해한다. 균사가 낙엽 사이에 흰 비로드 모양으로 싸고 있다. 흔하다. 대는 질기나 갓은 식용할 수 있고, 황균, 황진균의 약성도 있다."는 내 기록에 소나무 아래 잔디밭에도 발생함을 추가 한다. 요즘은 버섯을 만나도 모든 버섯을 기록하려는 의지가 많이 사라졌다. 흔하게 만나거나 식용할 수 있느냐가 큰 관심거리이다. 그리고 일반 사람들은 크기가 작은 버섯보다 눈에 잘 띄는 버섯을 알고 싶어하고 먹을 수 있는가에 관심이 많다. 주름버섯목(Agaricales), ..

식물/야생버섯 2020.08.13

창원 봉림공원의 젖버섯아재비

지금은 비가 소강상태이지만 하늘은 당장이라도 비를 내릴 정도로 흐리고 어제 부산 등 동해안 쪽에는 물난리로 사람들이 죽어간 날이다. 봉림동행정복지센터 헬스장에 가면서 봉림공원 스트로브잦나무 아래로 걸어가니 곳곳에 젖버섯아재비가 피어 있다. 갓 표면이 청색이라 먹을 수 없을 것 같지만 식용버섯이다. 땅에서 생기고 자루는 짧고 위아래의 굵기가 같으나 아래로 가면서 좁아진다. 주름살 간격은 촘촘하고 자루에 내려붙은 모양이고 잘 부스러지며 갓은 딱딱한 느낌이고 물기가 있어 약간 미끌거린다.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주름버섯강(Agaricomycetes), 무당버섯목(Russulales), 무당버섯과(Russulaceae), 젖버섯속(Lactarius)에 속한 젖버섯아재비의 학명은 Lactari..

식물/야생버섯 2020.07.25

풀솜나물

2008.10.18. 도의회 뒤 운동장 언덕에서 만난 풀솜나물 풀솜나물을 처음 봤을 때 떡쑥으로 알았으나 떡쑥속을 알고 보니 생소한 이름의 풀솜나물임을 알게 됐다. 전국의 햇빛이 잘 드는 언덕에 서식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잎 양면에 털이 적고 줄기 기부에서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관모가 순백색인 것이 특징이다. 창떡쑥으로도 불린다. 목련강(쌍떡잎식물 Magnoliopsida), 국화아강(Asteridae), 국화목(Asterales), 국화과(Compositae), 떡쑥속(Gnaphalium), 풀솜나물의 학명은 Gnaphalium japonicum Thunb이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선형이다. 꽃차례 밑의 잎은 선형으로 3-5장이 돌려난다. 꽃은 5-7월에 피며, 지금 1.5-2cm인 머리모양꽃이 줄기 끝..

5월의 해당화

2020.5.17. 봉암갯벌의 해당화 해당화는 전국 각지의 바닷가 모래땅이나 해안가 기슭에서 서식하며 5월에서 7월까지 붉은 자주색 꽃이 5개의 꽃잎을 달고 나온다. 요즘 야생상태의 것은 보기 힘들고 보통 이식한 것을 보게 된다. 봉암갯벌의 해당화도 이식의 결과물이다. 꽃말은 온화, 미인의 잠결로 알려져 있으며 양귀비와의 일화에서 꽃말과 꽃 이름이 탄생했다고 전한다. 당唐나라 헌종(이순李純)과 양귀비의 사랑 이야기는 숱한 전설 속에서 전해지는데 해당화에 얽힌 이야기는 『양귀비가 밤늦도록 마신 술이 깨지 않아 비몽사몽하고 있는데 헌종이 양귀비를 불러 황급히 시녀의 부축을 받으며 황제 앞에 당도하니 헌종이 그 모습을 보고 “아직도 술에 취해 있느냐?”라고 묻자 양귀비는 자신의 얼굴이 아직도 붉음에 비유하여 ..

떡쑥은 식용·약용식물

2020.5.17. 김해 금병공원에서 만난 떡쑥5.17 떡쑥은 전국 어디서나 흔하게 서식하는 두해살이풀로 어릴적엔 껌 대용으로 질겅질겅 씹으며 다녔던 친근한 풀이다. 쥐의 귀를 닮았다고 서국초鼠麴草라는 생약명이 붙었고 떡을 만들어 먹었다고 해서 떡쑥으로 불렸다고 전한다. 높이는 15~40cm 정도 자라며 노란 꽃은 5월~7월까지 피는 것을 보게 된다. 목련강(쌍떡잎식물 Magnoliopsida), 국화아강(Asteridae), 국화목(Asterales), 국화과(Compositae), 떡쑥속(Gnaphalium), 떡쑥의 학명은 Gnaphalium affine D.Don이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주걱모양 또는 거꿀피침모양이며 끝이 둥글거나 뾰족하고 길이 2-6cm, 나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