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구 드림로드에서 만난 고깔쥐눈물버섯 <2015/8/29 진해 드림로드의 고깔쥐눈물버섯> 진해 드림로드의 하늘마루로 가는 등성이에 올라 일행들이 하늘마루로 가는 동안 등성의 주위를 살피니 화장실 방향의 전망대 아래에 거뭇거뭇한 버섯이 보여 촬영을 하였다. 여름에 흔하게 보이는 버섯이지만 막상 이렇게 만나니 생소하.. 식물/야생버섯 2015.08.31
진해구 드림로드 입구의 삼색도장버섯 <2015/8/29 태백동 드림로드 입구 삼색도장버섯> 정보사회연구소에서 주관하고 봉곡평생교육센터가 주최하는 “창원둘레길 400리를 걷다”에 참가하기 위하여 진해구 태백동 드림로드 입구에 도착을 해서 일행들을 기다렸다. 이곳에서 출발하여 天子庵(천자암) 입구까지 걷게 되는 이.. 식물/야생버섯 2015.08.31
세한재를 품은 동정동 은행나무 보호수 <2015/8/24 의창구 갓골 은행나무 보호수> 동정동(東井洞)은 창원대도호부 성내(城內)에 위치했던 마을로 성의 중심인 관헌으로부터 동쪽 방향의 우물이 있는 곳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었다 해서 붙여진 마을 이름이다. 옛 지명은 갓골이라 불렀고, 요즘도 갓골이라고 하면 아는 사.. 식물/보호수와 노거수 2015.08.27
내서읍 원계리 느티나무 노거수 <2015/8/22 원계리 느티나무 노거수> 노거수를 찾는 사람들이 내서읍에서 찾아 간곳 중에는 원계리 당산목인 느티나무도 포함 되어 있었다. 이 원계리 노거수는 마을 입구에 160cm 정도의 높이로 돌로 쌓은 둥근 조산을 조성하고 그 중앙에 느티나무를 심었다. 마을 입구에 조산을 조성한.. 식물/보호수와 노거수 2015.08.25
안성리 독뫼산의 녹황색녹슨송편버섯(임시명) <2015/8/22 내서읍 안성리 독뫼산의 녹황색녹슨송편버섯> 노거수를 찾는 사람들과 함께 내서읍 안성리 독뫼산의 마을 숲을 찾아갔다가 죽은 활엽수의 나뭇가지에서 발생한 버섯이 있어 촬영을 했는데 삼각대를 쓰지 않고 찍었더니 선명도가 떨어져 관공이 흐릿하게 나왔다. 그래서 다.. 식물/야생버섯 2015.08.25
내서읍 첨두서원 옛터 지키는 은행나무 <2015/8/22 내서읍 삼계리 옛 첨두서원 은행나무> ‘유명하고 존귀한 사람을 만나 뵌다.’는 뜻을 가진 첨두서원(瞻斗書院)의 구지(舊址)인 내서읍 삼계리 705-2번지에는 도랑에 뿌리가 들어난 ‘첨두서원 은행나무 노거수’라 명명하는 늙고 굵은 나무가 있다. 은행나무의 나이는 280년.. 식물/보호수와 노거수 2015.08.24
내서읍 옛 첨두서원 입구에 돋은 난버섯아재비-추정 <2015/8/22 내서읍 삼계리 난버섯아재비> ‘노거수를 찾는 사람들’의 현장 답사가 이번 달에는 내서읍 일원에서 진행 되었다. 강사는 친구 박정기씨가 한다. 옛 첨두서원 자리에 위치한 창원시에서 두 번째로 크고 오래된 은행나무는 보호수 지정도 되어있지 않은 그냥 노거수이다. 이.. 식물/야생버섯 2015.08.23
내서읍 안성리 독뫼의 작은 숲이 전하는 이야기 <2015/8/25 안성리 독뫼산 푸조나무> “노찾사”가 찾아간 내서읍 안성리는 오래된 마을이기도 하지만 풍수적으로도 잘 만들어진 비보 숲을 갖춘 마을이다. 안성저수지 퇴숫도랑 바위에 風浴(풍욕)이라 쓴 금석문이 남아있다는 것은 갓쟁이 또는 머리에 먹물이 든 사람들이 나름의 세.. 식물/보호수와 노거수 2015.08.23
다양한 이름을 가진 잔나비불로초 <2012/9/8 하동공설시장> 2012년 경남의 5일장을 취재하러 갔다가 하동공설시장에 약초를 팔러 나온 할머니의 바구니에 담긴 버섯을 발견하고 사진으로 남겨 두었다. 그릇에 함께 담긴 이름 ‘평지’를 찾아보니 평목영지버섯으로 알게 되었다. 그리고 버섯을 공부하면서 알아보니 결국.. 식물/야생버섯 2015.08.17
봉림동 봉림산의 구름송편버섯(운지) <2015/8/15 봉림산 구름송편버섯> 오랫만에 봉림산을 올라보니 땅에서 발생하는 버섯류들은 거의 사라졌고 썩은 활엽수 그루터기에서 발생한 구름송편버섯(운지버섯)과 갈색꽃구름버섯만 보게 되었다. 싱싱하게 돋아나는 구름송편버섯은 가장자리에 흰색테를 두른것이 선명하고, 뒷.. 식물/야생버섯 2015.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