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 1264

동읍 노연리 연안 김성연 묘

2019.3.12 동읍 노연리 절충장군 연안 김성연 묘 동읍 노연리 노옥마을 뒤 의창구 동읍 노연리 473번지의 구릉에는 조선 후기 창원 출신의 무신(武臣)을 지낸 김성연(金性淵)의 묘가 있다. 본관은 연안(延安). 김경사(金敬思)의 후손이다. 아버지는 김용(金容)이고, 어머니는 정지겸(鄭志謙)의 딸로서 동래정씨(東萊鄭氏)이다. 김성연은 1800년(순조 1) 무과에 급제하여 어영총관을 지냈고, 1821년 중시에 급제하여 절충장군이 되었다. 이 후 오위경력(五衛經歷)을 거쳐 1828년 경상도순중군(慶尙道巡中軍)이 되었으며 이어 흥해군수로 제수되었으나 교지를 받기 수일 전에 죽었다. 절충장군행경상순중군의당연안김공성연지묘(折衝將軍行慶尙巡中軍毅堂延安金公性淵之墓) 김성연의 묘지 전경 그의 묘지에 세운 비문에는 이..

창원황씨 묘표에서 보는 갑자 별칭

2019.2.11 창원 적현동 창원황씨 선산묘표 창원황씨의 선산이 있는 창원시 성산구 적현동 산 20번지 아래에는 추경각((追敬閣)이라는 묘제를 모시는 각(閣)이 창원시 성산구 적현동 188-1번지에 위치해 있다. 이곳을 방문하기 전 약 320m 전방 입구에는 “창원황씨선산국내(昌原黃氏仙山局內)”라 새긴 묘표가 서있다. 이 묘표에는 “현묵곤돈엄무월일(玄默困敦奄茂月日)”이라는 글씨를 비석의 전면 좌측에 새겼는데 이는 “임자11월(壬子十一月)”이라는 의미이다. 이 묘표는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볼 때 1792년 11월에 세우지 않았을까 추측해 본다. 이 묘표의 선산국내(仙山局內)를 살펴보면 선산은 조상(祖上)의 무덤이 있는 곳을 의미하고 국내는 묘의 지역(地域) 안이란 뜻이다. 따라서 이 묘표를 지나면 창원황씨..

내서 중리 밀양박씨 여산서당 廬山書堂

2017.1.18. 내서읍 중리 밀성박씨 여산서당 창원시 회원구 내서읍 중리 977는 밀양박씨 무숙공 박진영(朴震英)을 향사하기 위해 밀성박씨 후손들이 설립한 려산서당(廬山書堂)이 있는 곳이다. 박진영의 자는 실재(實哉), 호는 광서(匡西)이다. 그는 1569년 함안군 하리에서 증 형조 판서 동천공(贈刑曹判書桐川公) 박오(朴旿)의 아들로 태어났다. 일찍이 정구(鄭逑)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다. 그 공로로 선무 원종 이등 공훈(宣武原從二等功勳)에 오르고 곧 이어 관직에 나섰다. 1619년 순천 군수와 우영장을 겸임하였고, 1624년 이괄의 난에서 전공을 세웠다. 이 공로로 그는 다시 진무 일등 공훈(振武一等功勳)에 올랐다. 이어 평산 부사와 해서도 방어사를 겸임하다가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