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 각산봉수를 찾아 2018.11.27 사천 각산봉수와 케이블카 2016년 4월 17일 아들과 함께 각산(角山 해발 408m) 정상에 올라 각산이 보여주는 풍경을 사진으로 담고자 봉수대에 올랐다. 그때는 봉수대가 목적이 아니라서 주위 풍경을 담고 문화재로서의 봉수를 기록했는데 오늘 방문은 봉수대 기록이 목적이다. 그때.. 역사의 기록/봉수대 2018.11.28
고성 좌이산봉수를 찾아 2018.11.22. 고성 좌이산봉수대 고성군 하일면 송천리 산 52-4번지에 위치하는 고성 좌이산봉수대(固城 佐耳山烽燧臺)는 1994년 7월 4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138호로 지정했다. 이곳 좌이산봉수(해발 415.8m)는 남해안 봉수대의 요충지로서 역할을 했을 것이다. 좌이산봉수를 관리하는 소을비포성지(所乙非浦城址)까지 남쪽으로 직선거리 2.43km이다. 소을비포성은 임진왜란 당시 이충무공 전투작전의 요충지였으며 전초기지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했던 곳이다. 좌이산봉수에서 날씨만 좋으면 멀리 거제 가라산봉수가 바라보이는 곳이다. 또한 통영 미륵산봉수와 24.54km의 거리로 봉화불이나 연기는 충분히 직접 봉수군(烽燧軍)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곳이다. 직접 연락을 받는 동남방향의 통영 우산봉수까지 12... 역사의 기록/봉수대 2018.11.24
창원시 장복산봉수 실체를 찾아. 2018.11.10 장복산봉수대 흔적 모습 지난 10월 27일 옛 웅천의 봉수 중 장복산봉수(長福山烽燧)를 찾아서 장복산(해발 582.2m) 정상에 올라 봉수대(烽燧臺)의 흔적을 찾아보았다. 이미 많은 분들이 정상을 답사하고 봉수의 흔적을 찾으려 했겠지만 폐기 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더 이상 봉수의 흔적을 찾는 사람이 없었다. 나 역시 장복산 정상을 방문하고 봉수 자리가 아닐 수도 있겠다는 생각은 했지만 능력의 부재로 포기했다. 그런데 ‘松鶴(송학)’이라는 분이 장복산 6부 능선자락에 봉수대의 흔적이 있다며 사진을 보여 주었다. 사진을 보는 순간 지금까지 잊혀진 장복산봉수가 맞다는 확신이 들었다. ‘松鶴(송학)’님께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2018.11.17 동쪽 원거리에서 본 모습 2018... 역사의 기록/봉수대 2018.11.12
함양 용유담은 강현의 땅이라. 2018.11.03 함양 용유교 위에서 본 용유담 이번에 환경부는 우리나라에서 댐을 건설하여 물이용을 하겠다는 12개의 댐건설계획을 전면 백지화 했다. 함양 용유담(咸陽 龍㳺潭)에 건설하려던 댐 역시 계획이 취소되었다. 이곳 함양에서 댐을 반대하던 주민들이 경남의 환경운동엽합 회원들을 초대하여 조촐한 기념행사를 했다. 환경운동연합회원들이 금계마을에서 용유담까지 지리산 둘레길을 걷는 동안 지나가는 자동차를 얻어 타고 용유담에 먼저 도착하여 나의 14대조 진주강씨 진천군파 강대수(姜大遂)의 이름이 적혀 있다는 바위를 찾아 나섰다. 제법 이곳 용유담을 찾아 왔지만 선조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는 바위를 보지 못해 항상 아쉬웠는데 이번에는 오롯이 이 마암비(磨巖碑)을 찾는데 시간을 다 썼다. 2018.11.3 용유.. 역사의 기록/비판.정려각.마애비 2018.11.11
함양 벽송사 목장승(경상남도 민속자료 제2호) 2017.11.5 마천면 벽송사 목장승 각이 있는 풍경 함양군 마천면 추성리 산 18-19번지에는 1974년 12월 24일에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2호로 지정된 함양 벽송사 목장승이 서있다. 목장승은 2기로 왼쪽에는 높이 180cm, 둘레 125cm로 ‘금호장군(禁護將軍)’이라는 명문이 음각되어 있다. 대체로 잘 남.. 역사의 기록/문화재 여행 2018.11.03
자연의 일부가 된 담양 소쇄원 2011.6.12. 담양 소쇄원 조감도 대부분 여행을 통해 사람들은 안목(眼目)을 넓히고 관광지에서 타인의 새로운 생각을 접하면서 자신의 가슴과 영혼에 새로운 영감과 지식을 쌓게 된다. 2011년 고등학교 동창들과 소쇄원(瀟灑園)을 방문한 적이 있다. 당시 우리나라 전통 집 형태와 조선시대 .. 역사의 기록/문화재 여행 2018.11.01
창원시 웅천 장복산봉수를 찾아 2018.10.27 장복산 정상 창원시 진해구 태백동 산 52-1번지는 장복산(長福山, 해발 582.2m) 정상부의 주소이다. 교남지권지73(嶠南誌卷之七十三) 웅천군(熊川郡)의 기록 중 봉수(烽燧)에 대한 기록에 의하면 이곳에 장복산봉수(長福山烽燧)가 있었다고 기록 되어 있다. 또한 신증 동국여지승람(.. 역사의 기록/봉수대 2018.10.28
통영 항일운동 본거지 구 통영청년단회관 2010.11.28 구 통영청년단회관 통영시 서문로 21에 위치한 ‘구 통영청년단회관(舊 統營靑年團會館)’은 2002년 5월 31일에 등록문화재 제36호로 지정되어 관리하는 근대문화유산이다. 이 건물은 줄곧 충무고등공민학교, 통영 서도회사무실, 재단법인 통영사연구회, 통영문화원이 새 청사로 .. 역사의 기록/문화재 여행 2018.10.27
창원 회원동 회원서원 檜原書院 2018.10.22 창원 회원동 회원서원 창원시 회원구 회원북23길 22에 위치한 회원서원(檜原書院)은 한강 정구(寒岡 鄭逑:1543~1620)를 추모하는 그의 문하생인 장문재(張文哉)가 관해정(觀海亭)을 세운 것에서 출발한다. 한강 정선생이 세상을 떠난 1634년(인조 12)에 서원을 세웠으며, 1708년(숙종 34).. 역사의 기록/누각.정자.재실 2018.10.25
고성 곡산봉수를 찾아 2018.10.20 고성 곡산봉수를 서쪽에서 본 모습 오랜만에 억지로 시간을 내어 고성군 동해면 장기리 산 171번지에 위치한 고성 곡산봉수대(固城 曲山烽燧臺)를 찾아 나섰다. 곡산봉수(曲山烽燧:해발 316m)는 2001년 9월 27일 경상남도기념물 제236호로 지정 등록되었으며, 구절산(九節山:해발 559m) .. 역사의 기록/봉수대 2018.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