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 1263

남호 강처사 묘갈명 정사년 1917 南湖姜處士墓碣銘 丁巳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 선생은 학문을 독실하게 하고 정밀하게 사색해서 노사(蘆沙) 기씨(奇氏)의 진전을 얻었는데, 그의 훌륭한 제자가 있었으니, 남호(南湖) 처사 강공(姜公) 휘 영지(永祉) 자 낙중(洛中)이다. 강씨(姜氏)는 고려 때부터 우리나라의 알려진 성씨이다. 이조에 와서 휘 석덕(碩德)이 있으니, 벼슬이 대사헌(大司憲)이고, 시호는 대민(戴敏)이다. 이 분이 휘 희맹(希孟)을 낳았으니, 좌찬성(左贊成)이고, 진산군(晉山君)에 봉해졌으며, 시호는 문량(文良)이다. 이 분이 귀손(龜孫)을 낳았으니, 우의정(右議政)이고, 시호는 숙헌(肅憲)이다. 그 뒤로 명덕(名德)이 계속 이어졌다. 고조 휘 주동(柱東)은 증(贈) 호조 참판(戶曹參判)이며, 증조 휘 태환(泰煥)은 수작(壽爵) 가선대부(嘉善大夫..

진양 강공 묘갈명 晉陽姜公墓碣銘-암서집 제29권

내 선친이 돌아가시고 장사를 지낼 때 고을 이웃의 지구들 중 만사(挽詞)와 뇌문(誄文)을 보내 곡(哭)을 한 사람이 거의 200명이나 되었다. 불초(不肖)는 얼마 뒤 슬픔이 진정되고 차례로 기록해 보니, 같은 마을의 어른 통정(通政) 강공(姜公)이 지은 것이 압권이었다. 공의 집안은 대대로 본디 문학(文學)을 전하였고, 또 젊어서는 재주를 가지고 공령문(功令文)을 익혀서 일찍이 한 차례 진사시(進士試)에 응시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장처는 기국과 능력에 있어서, 무릇 고을에 큰일이 있게 되면 공의 도움을 받아서 해결하는 경우가 많았고, 고을 수령도 여러 차례 불러서 자기를 돕도록 하였다. 성품도 또한 질박하고 솔직하고 간소하고 강직하여 절대로 남을 따르거나 아첨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때때로 ..

청명 이수 淸明 二首

朝來新火起新烟 湖色春光淨客船 아ᄎᆞᄆᆡ 새 브레 새 ᄂᆡ 니러나ᄂᆞ니 ᄀᆞᄅᆞᇝ 빗과 보ᇝ빗괘 나그내 ᄇᆡ예 조햇도다 아침 되자 새 불붙여 연기 피워 올리니, 배들이 봄빛 짙은 강 가르며 오가는데. 繡羽衝花他自得 紅顔騎竹我無緣 어르누근 지치 고ᄌᆞᆯ 다딜어 뎌거시 自得ᄒᆞ니 블근 ᄂᆞᄎᆡ 대ᄆᆞᆯ 토ᄆᆞᆫ 내 말ᄆᆡ 업도다 새들은 꽃을 물고 하늘을 맘껏 날고 있고, 죽마 탄 아이들 속에 나 홀로 연고 없네 胡童結束還難有 楚女腰支亦可憐 되 아ᄒᆡᄃᆞᆯᄒᆡ ᄆᆡ무ᅀᅥ슈믄 도로혀 뎌러니 이슈미 어려우니 楚ㅅ 겨지븨 허리와 四支ᄂᆞᆫ ᄯᅩ 可히 ᄃᆞᇫ오도다 옷 잘 챙겨 입은 아이 눈에 잘 띄지 않고, 가는 허리 여인들이 안쓰러워 보이는데 不見定王城舊處 長懷賈傅井依然 定王ᄋᆡ 城 샛던 녯 ᄯᅡᄒᆞᆯ 보디 몯ᄒᆞ..

전 한식일일야 前寒食一日也

佳辰强飮食猶寒 隱几蕭條帶鶡冠 됴ᄒᆞᆫ ᄢᅴ 고ᄃᆞᆯ파 마시며 머구니 오히려 ᄎᆞ니 几ᄅᆞᆯ 비겨 蕭條히 鶡冠ᄋᆞᆯ 셋노라 좋은 절기라 애써 술을 마시나 음식이 오히려 차니, 안석에 기대어 쓸쓸히 갈관을 쓰고 있노라. 春水船如天上坐 老年花似霧中看 보ᇝ 므렛 ᄇᆡᄂᆞᆫ 하ᄂᆞᆯ 우희 안잣ᄂᆞᆫ ᄃᆞᆺᄒᆞ니 늘근 나햇 고ᄌᆞᆫ ᄀᆞᄅᆞᆺ 소개 보ᄂᆞᆫ ᄃᆞᆺᄒᆞ도다 봄물에 떠 있는 배는 하늘에 앉은 듯하니, 노년에 보이는 꽃들은 안갯속으로 보는 듯하도다. 娟娟戲蝶過閑幔 片片輕鷗下急湍 고온 노ᄂᆞᆫ 나ᄇᆡᄂᆞᆫ 겨ᄅᆞᄅᆞ왼 帳ᄋᆞ로 디나가고 片片히 가ᄇᆡ야온 ᄀᆞᆯ며기ᄂᆞᆫ ᄲᆞᄅᆞᆫ 여흐레 ^ ᄂᆞ리ᄂᆞ다 곱디고은 노니는 나비는 한가로이 휘장을 지나가고, 조각조각 가벼운 백구는 급한 여울에 내려오네. 雲白山..

학생강공 묘갈명 병서 學生姜公墓碣銘幷序

學生姜公墓碣銘幷序 公諱萬圭。字達洙。姜氏。貫晋陽。高句麗元師以式。爲上祖。高麗兵部尙書殷烈公民瞻。爲中顯祖。晋州君渭祥。爲分派祖也。有諱仁壽。號和齋。孝廉薦監察。贈司憲府執義。三傳。翼文號戇菴。師事鄭寒岡先生。有士林重望。文科弼善。至司諫。光海昏朝。立節。贈禮曹判書。子鷗洲大適。與兄寒沙大遂。俱有經學盛名。薦洗馬。丙子胡亂。兄弟倡義。著殊勳。贈左承旨。子徽俊號鵞湖。贈户判。於公。間八世。曾祖曰泰邦。祖曰時汶。考諱遇賢。妣。高靈朴氏龍貞女。以高宗癸巳。生公于陜川郡大陽而鵝川里故第。公。資性稳藉。志氣堅剛。自幼。知愛親敬兄之節。稍長。見其父及兄之從事儒業。不遑經理產業。於是。掇學而幹家。使父兄。安其所業。及其析箸而異居也。有一嶺之隔。而間日來往。定省温清。必誠必敬。以其餘日。盡力于農畒。晨出而暮還。無柱費一寸之光陰。能倍出其田產。以是。田園漸廣。家日以潤。乃隨其力。益虔其奉養。凡飮食衣服..

학생강공 천표명 병서 學生姜公阡表銘并序

學生姜公阡表銘并序 余凤交姜君允瑞東秀。壬戍夏。二君訪余鳳林室東秀。請其先考晩堂公阡上之文曰。吾父有至行。不忍泯没。願得秉管君子一言。以光來世。以狀出眎。允瑞傍助而固其請曰。是狀也。約而無濫。子信而爲徵。余不得辭。而按其狀。公諱秉祚 字奉準。晚堂。其號也。姜氏其先。晋陽人。以高麗兵部尚書殷烈公諱民瞻。爲上祖。自後赫舃。爲東方著姓。六傳。元鑑。太子詹事。五傳。元啟。三重大匡典法判書。佐翼功臣。三傳。勗。封晋川君。入李朝。曰安重。曰琯父子。幷爲翰林。琯子應台。歷典翰大司成。以忠孝。蒙旌。享臨川院。學者稱誠齋先生。傳至諱一齋號瞑齋。自州東白也村。移居樞洞。於公。間八世。曾祖曰水竹亭文伍。重齋金先生。銘其墓曰。温維基德維儀。素乎履。行無詭。祖曰錫字。有質行。考諱在善。號樞溪。妣達城徐氏。父聖淳。以高宗丁亥四月六日。生公于樞洞世第。儀形瑞秀。性温而資淳。自幼少。未嘗肯與人争。不言之過誤。受學于家..

밭가는 아낙의 노래 - 대숙륜

女耕田行-戴叔倫 밭가는 아낙의 노래 - 대숙륜 乳燕入巢箏成竹 갓 깨어난 제비 새끼 둥지에 들고 죽순이 대나무가 되는 이즈음 誰家二女種新穀 어느 집의 두 딸이 새로이 곡식을 심네 無人無牛不及犁 사람도 없고 소도 없어 쟁기는 엄두도 못 내고 持刀斫地翻作泥 칼을 가지고 땅을 갈며 진흙땅을 갈아엎네 自言家貧母年老 스스로 말하길 집이 가난하고 어머니는 연로하시며 長兄從軍未聚嫂 큰오빠는 결혼도 못하고 군에 끌려갔답니다. 去年突疫牛囤空 작년에 짐승 역병이 돌아 외양간이 텅 비니 截絹買刀都市中 옷감을 팔아 도시에 나가 칼을 샀답니다. 頭巾掩面畏人識 남들이 알아볼까 두려워 두건으로 얼굴을 가린 채 以刀代牛誰與同 칼을 잡고 소 할 일을 대신한다지만 누가 함께 하겠습니까. 姊妹相携心正苦 자매들이 손을 맞잡고 마음 고생 하는..

척암강공 묘갈명 병서 隻菴姜公墓碣銘并序

隻菴姜公墓碣銘并序 公諱貞秀。字子元。隻菴其號也。姜氏。貫晋陽。高麗兵馬都元師號以式。爲始祖。傳至國子博士諱啓庸。高麗元宗朝。爲通信使書狀官。封晋山府院君。生諱引文。官殿中内給使。生諱師瞻。忠烈朝監察御使。累傳諱蓍號養眞堂。恭愍王朝登第。歷任重職。封晋山府院君。謚恭穆。生諱准伯號通亭。恭讓王朝。官密直。往還明朝。政堂文學大司憲。朝鮮朝。特徵東北面都巡使。辭不就。三傳。諱孟鄭。世祖朝領議政。諡文景。於公間十五世。高祖諱鳳曄。曾祖諱在喆。祖曰愼庵仁會。壽階通政。有孝行蒙旌。考曰淑亭永鎬。以仁孝。著鄕黨。述菴宋公在晟。撰碣銘。妣金海金氏鎬善女。光武四年八月五日。生公于晋治南冬勿洞世庄。公品性寬厚。風儀淳正。早受學于家庭。不煩提督而自知力學。文理夙就。弱冠。淹貫諸子。時家甚貧。無以資仰事俯育。於是。朝出而耕田。夜歸讀古人書。所履不出乎世傳家學規模。既而。受業于良庵朴公門。又就正于河晦峰權松山諸..

연영강공 묘갈명 병서 淵永姜公墓碣銘幷序

淵永姜公墓碣銘幷序 公諱永壽。字文弘。姜氏其先。晋陽人。高句麗兵馬元師以式。爲始祖。譜系上祖。曰文科國子博士啟庸。自是名德繼世。諱引文。文科殿中內給事。諱師瞻。監察御史。諱昌貴。門下侍中晋山府院君。諱君。政堂文學。鳳山君。謚文敬。諱著。門下替成事。晋山府院君。諡恭穆。諱淮伯號通亭。正憲大夫都巡問使。諱孟卿。中國通信使。高祖曰默庵尙烈。曾祖諱命周。祖曰雙巖載伯。考諱明會。妣晋陽鄭氏。都事元復女。本生考諱仲會。妣東城李氏。父大演。高宗丁酉七月二十一日生公。公相貌俊秀。而動容則仁。質性穩藉。而發氣則剛。幼受學于祖考雙巖公。不提督而自循課程。雙巖公。見公動作異凡兒。每曰他日昌吾家者。此兒也。 旣冠。畧涉經史。時所後父下世已久。母夫人。守節勤紡績。治家甚勞。公曰見母勞。而子豈可以安坐讀書乎。於是。撤學而幹家。助母夫人。共力而立產。克誠以孝。母美人。曰吾不幸早寡。而有孝嗣如此。死無恨矣。事本生庭。..

퇴촌마을 풍영대기

風咏臺記 昌之鎭山曰天柱其一枝蜿蟺起伏東走二十里爲旃檀其狀岩岩仰可以捫星斗 俯可以挹湖海山之南有庄曰退村地平衍野開豁勢寬而氣聚安氏居焉世有偉 人碩德吾友士允克趾先烈不以貧苦而自沮杜門養性務樸素厭紛華嗜泉石如 圖書之耽玩乃就所居數弓許而得東岡之陡而奧者曰壁谷幽而邃窈而廓兩面 皆蒼壁壁間有水㶁㶁而出匯而爲泓瀅澈如鑑開折而爲瀑奔放如雷轟奇岩異 石錯列左右松蘿躑躅蔭映上下窅然若與人世不相聞眞靈區也士允甚愛之刻 風咏臺三字於壁面每春秋風和景明携冠童杖枯藜逍遙於壁之顚或講質經史或 談討古今或命韻言志卽事寓興心廣神怡悠然有沂雩之趣私累淨盡義理昭融 以全吾本然之天而樂其眞樂也苟然矣則是谷也於治心養氣之助豈敢曰淺淺 乎哉士允曾有所軆認而自得焉必不以余之言爲耄而不加勉也余亦癖於山水 心竊欣慕而爲之記 商山 金相頊 記 풍영대기 해문-이현호 창원의 진산은 천주산이라 부른다. 천주산의 한 가지가 지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