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기록들/향교와 뿌리 73

합천향교와 은행나무

『합천향교陜川鄕校』는 세종 때 세워졌으며, 1881(고종 18)년에 합천에 홍수가 들어 합천군청을 합천읍에서 야로면으로 옮기면서 향교도 함께 옮겨 왔는데 이후 합천군청은 합천읍으로 다시 돌아 갔지만 향교는 야로면에 그대로 남게 되어 지금까지 합천향교로 이어지고 있다. 『합천향교陜川鄕校』는 평지에 위치하여 명륜당明倫堂의 좌측에 대성전大成殿이 나란히 배치된 것이 특징이다. 외삼문인 영귀루詠歸樓 안에는 동·서재는 없고 명륜당만 있으며, 임진왜란 때 목숨을 걸고 향교를 지킨 정씨부인의 사당이 있다. 대성전 영역은 담장을 둘렀으며, 내삼문을 들어서면 동·서무가 있고 대성전이 위치하는데 이는 교육기능이 쇠퇴하고 제례 기능만 남았음을 상징하는 것이다. 명륜당明倫堂의 마당에는 은행나무 노거수 한 그루가 높게 솟아 있는..

합천 강양향교 江陽鄕校

합천 강양향교江陽鄕校는 1965년 합천읍 합천리 690-2(충효로1길 5-12)인 이 장소에 새로 지었는데 현재 문화재자료 제210호로 지금까지는 문화재로 등록된 향교 중에서 가장 늦게 지정된 향교이다. 합천의 중심지인 합천읍에 합천향교가 있었는데 1881년(고종 18년) 큰 수해가 나서 군청을 야로면으로 옮기자 향교도 야로면으로 옮기고 합천향교라 이름했다. 그 후 다시 군청을 옮겨오면서 향교를 그냥 두었다가 야로면의 “합천향교”를 옮기려 하자 야로면의 반대로 이전하지 못하고 지내다가 합천·용주·율곡·대양면의 유림들을 위해 현재의 위치에 향교를 지었는데 야로면의 합천향교와 구별하기 위하여 “강양향교”라 했다. 이곳은 언덕의 정상부에 평삭平削한 좁은 땅이라 일반적인 향교처럼 ‘전학휴묘前學後廟’의 형태가 아..

朴月秋 박월추 시

무제 [해문-한국고전번역원] 東西有東西有西 동(서)쪽에 동쪽이 있고 서쪽에 서쪽이 있으니 善程岐路一般齊 좋은 길과 갈래길 하나같이 똑같은 법 淡無若水深還黑 맑기가 물보다 더한 것이 없지만 깊어지면 도리어 검고 高莫如天遠反低 높기가 하늘 만한 것이 없지만 멀어지면 도리어 낮아진다 從古蛟龍蒼海伏(종고교룡창해복) 예로부터 교룡은 푸른 바다에 숨고 元來鸞鳳竹梧棲(원래난봉죽오서) 처음부터 난봉은 대나무와 오동나무에 깃드는 법 欲知安身保命處(욕지안신보명처) 몸을 편케하고 명을 보존할 곳을 알고자 한다면 小小山前小小溪(소소산전소소계) 변변찮은 산 앞에 자그마한 시내가라네 *난봉(鸞鳳) : 전설상의 새인 난새와 봉황 *대나무와 오동나무 :《시경》 〈대아(大雅) 권아(卷阿)〉의 전(箋)에 “봉황의 성질은 오동나무가 아니..

거제향교 명륜당·대성전 기문과 현판

거제향교巨濟鄕校는 거제면 서정리 626(기성로7길 10)에 위치하며 1982년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06호로 지정된 문화재이다. 창건 년대는 미상이고 1592년 임진왜란으로 고현성古縣城이 함락되었을 때 향교도 소실되었으며, 1664년에 현령縣令 이동구가 고현에서 계룡산 기슭의 서정리로 옮겨 지었다. 1715년 다시 거제현 동쪽의 도촌동으로 이전하였다가 1854년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건물의 배치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이며 평지에 위치하는 구조이다. 현존하는 건물은 거제향교의 출입문인 풍화루風化樓 구실을 하는 외삼문外三門과 강학 공간인 명륜당明倫堂, 학생이 기거하는 동·서재東·西齋, 제례를 준비하는 고직사가 전면의 영역에 있고 명륜당 뒤쪽에 담장을 두르고 중앙에 대성전大成殿이 있고 좌우에 동·서..

남해향교 명륜당 대성전의 기문과 기록

남해향교南海鄕校는 남해읍 북변리 586에 위치하며 해발 42m이고, 좌표는 34°50'35"N 127°53'34"E를 가리킨다. 망운로10번길에 위치하는 남해향교 앞에는 차량이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고 외삼문 앞에 홍살문이 서있다. 남해향교는 경남유형문화재 제222호로 등록되어 있으며 고려와 조선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는 국가교육 기관으로 유생들의 학문과 함께 공자와 4성 및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배향하는 제례공간으로 구성 되어 있다. 세종 32년(1450)에 세워졌으며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홍살문 외삼문 동재 서재 명륜당 관리사와 동무 서무 대성전이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로 있다. 남해향교는 처음에 봉강산 아래에 있었지만 임진왜란으로 불타 소실 된 것을 현종 10년(1669)에 대성전을 건축하고,..

고성향교 명륜당 영역 상량문과 기문

固城鄕校重修記 國有學鄕有校 卽斯道尙賴聖哲之敎 未嘗息也 本鄕校一邑之敎宮也 修之學明之學 雉六藝盖自宗周之敎典也 而以學者講修化成備才德 修身齊家治平之資 以開萬世太平之本野 其爲經學之可不盛大乎 故先斯訓世道 蔑貞斯學不振 殿宇傾頹漏庭荒蕪 吾道之慨 斯文痛何可堪勝哉 往年崔典校漢斗時任 校宮憂動惕屬於斯 而分修葺 則未免姑息之計 鄕中衆論必當 全面改修施工 樹百年大策可也 從其議具 其工事計劃書類 請願於政府當局者 凡數十次終及獲得 文化財管理費數億金 以圖域門要衆修者 殿廡堂樓等 凡十一棟八十八餘架也 數年施工制度 切緻工役精密 碧瓦參着 宮殿一新 吾鄕校宮之修至 此完美斯道復明 儒道中興之基 實由崔典校尊衛之至誠也 鄕人士因以請記 其事於余 惟馨洛亦以鄕人所 當稱美者 樂爲書之 此以歸之其功 孔子誕二五四三年 壬申晩秋節 全州 崔馨洛 記 時任郡守 河一淸 掌議 朴敬五 고..

창녕향교 명륜당 동서재 중수기

창녕군 교리 440(향교길 54)은 옛 우리나라 전통 교육기관인 창녕향교昌寧鄕校가 위치한 곳으로 1983년 8월 6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2호로 지정된 곳이다. 구글 지도의 좌표로는 「위도 35°32'51.9"N 경도 128°29'52.7"E」를 표시한다. 『창녕향교昌寧鄕校 대성전大成殿 영역과 중수기重修記』로 이미 창녕향교 기록의 대략적 내용을 블로그에 올렸다. 그리고 기록하지 못한 학업學業의 공간인 명륜당明倫堂에 대한 기록들을 정리한다. 창녕향교중수기昌寧鄕校重修記, 명륜당중수기明倫堂重修記, 동서재중건기東西齋重建記 및 학생들의 지침서가 되는 숙흥야매잠夙興夜寐箴이 편액으로 걸려 있어 이를 해문 한 내용도 포함 했다. 아직 옮기지 못한 편액들은 이후 아래에 올릴 것이다. 昌寧鄕校重修記 昨年春鄕校大成殿東..

창녕향교 대성전 영역과 중수기 重修記

창녕향교 내삼문은 대성전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2020.3.9. 창녕향교 대성전 전경 창녕군 교리 440(향교길 54)은 옛 우리나라 전통 교육기관인 창녕향교昌寧鄕校가 위치한 곳으로 1983년 8월 6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2호로 지정된 곳이다. 구글 지도의 좌표로는 「위도 35°32'51.9"N 경도 128°29'52.7"E」를 표시한다. 창녕향교를 언제 세웠는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효종(재위 1649∼1659) 때 다시 세웠다고 전한다. 1904년에 보수하고 1987년에 동·서재東·西齋를 복원하였다. 건물은 출입문인 외삼문外三門, 배움의 영역인 명륜당明倫堂과 동·서재, 사당祠堂인 대성전大成殿과 동·서무東·西廡 등의 건물이 있으며, 명륜당의 왼편에는 관리사가 있다. 창녕향교의 건물배치는 배..

밀양향교 외부 영역과 풍화루 기문 風化樓 記文

밀양시 교동 733(밀양향교3길 19)은 옛 우리나라 교육기관인 밀양향교密陽鄕校가 위치한 곳으로 1983년 8월 12일 경상남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14호로 지정된 곳이다. 구글 지도의 좌표로는 「위도 35°30'23.1"N 경도128°45'17.1"E」를 표시한다. 이 밀양향교密陽鄕校는 서기 1100년경에 창건되었다고 전하고 있는데 교동(校洞)마을 뒤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다. 선조 25년(1602년)에 부사府使 최기崔沂가 중건重建하였고, 특히 제례의 공간인 대성전大成殿은 순조 21년(1821년) 부사 이현시李玄始가 중수重修하여 오늘에 이르며 동무東蕪, 서무西蕪, 내삼문內三門이 있다. 교육의 공간인 명륜당明倫堂을 위시하여 동재東齋, 서재西齋, 풍화루風化樓 등이 있고, 건물 배치형식은 경사지에 이축선二軸線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