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비판.정려각.마애비 201

성주사 곰절의 금석문-송설당마애비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 213-2번지의 성주사聖住寺 가는 길옆에는 자연 거석의 일부를 직사각형으로 다듬어 글을 새긴 마애석이 있다. 이곳의 해발고도는 133m이고 위치기반 고도계는 「위도35°10'37"N 경도128°42'56"E」이다. 평면으로 다듬은 면의 위쪽 중앙에는 『송설당松雪堂』이라 새겨 이 마애석을 『송설당마애석松雪堂磨崖石』이라 이름 붙인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松雪堂 송설당¹⁾ – 해석 文山 和順崔氏 화순최씨 身爲女子 聖恩如天 여자의 몸이지만 성스러운 은혜 베품은 하늘 같다네 閣建七星 壽祝萬年 칠성각을 건설하니 만년이나 오랫동안 살기를 빈다오. 辛丑十月日 1901년 10월 일 【주석】 송설당¹⁾ : 송설당松雪堂(1855~1939)은 일제강점기 전 재산을 희사하여 재단법인 송설학원을 설..

진북 정현리 대현 김해김씨 표효각 表孝閣

진북면 정현리 564(대현길 12-1)번지 앞에는 김해김씨金海金氏 삼형제의 효행을 기리는 표효각表孝閣이 있다. 절효공節孝公 김극일金克一의 후손으로 아버지 김현호金顯昊를 극진히 모신 득명得命, 득추得秋, 득해得海 삼형제의 효성을 후대의 사람들이 본받기 바라며 세운 비각이다. 비각 입구의 협문은 삼악문三萼門이라 편액 했고 본각은 표효각表孝閣이라 이름했다. 表孝閣記 金得命字輝遠 有二弟 仲曰得秋字光遠 季曰得海字德天 金海人節孝公克一之后 父顯昊妣慶州金昌默女 以英廟己卯 金氏生伯于咸安竝谷坊鼎峴村 弟以戊子癸巳 而姜氏生仲季 自兒時兄弟式好不知爲分刑也 迨其長成 幷心事親 養志養禮 一遵小學 父年八十遘瘧 八年委牀 三兄弟晨夕侍側間可曰惟思 雉炙蟹漿 時天寒無求路 三兄弟出門仰天而泣登山 有雉在前 臨溪水蟹自躍氷得面供之 病忽癒 里人咸曰異哉天出..

성주사 곰절의 금석문-남무아미타불마애비

『불모산성주사佛母山聖住寺』 표지석에서 옛길을 따라 걸어서 가다 보면 길 좌측에 『남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이라 새긴 마애비磨崖碑를 만난다. 『남무아미타불南無阿彌陀佛』을 중심으로 좌우에 사람들의 이름과 화주化主 강등암姜藤巖의 업적을 새겨 두었다. ③의 해설을 붙이자면 비신碑身과 비개碑蓋는 제대로 갖추어 안정적인 형태를 이루었으며, 『광서임진추光緖壬辰秋』라는 내용이 각자 되어 있어 고종 29년(1892) 가을에 건립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전체 높이는 204cm, 비신 높이 133cm, 너비 105cm이다. ① 金鍾瑨 号杞泉 김종진 호기천-김종진은 기천이라 불렀다. ② 化主藤巖璨勛 화주등암찬훈 襢越同參僉貟 단월동참첨원 【주석】 화주는 조실祖室인 등암藤巖으로 이름이 찬훈璨勛이며 성은 강씨姜氏이다. 보시(단월襢越..

성주사 곰절의 경주이씨 마애석

2020.5.26. 성주사의 경주이씨 선산 표지석 성주사의 절집 쪽에 있는 개울의 큰 바위에는 경주이씨의 선산을 알리는 표지석이 있는데 이곳의 해발 높이는 139m이고, 구글지도는 위치를 「위도 35°10'33.4"N 경도 128°43'03.7"E」를 가리킨다. 성주사 동종이 있는 곳에서 성주사탬플스테이를 하는 곳으로 내려서 좌측의 계곡 맞은 편을 보면 『경주이씨마애석慶州李氏磨崖石』이라 이름하는 마애석이 보인다. 철책을 어렵게 넘어서 그 내용을 보니 경주이씨 선산의 표지석으로 바위의 위쪽에 조부 방화芳華, 아버지 성률星律의 묘지가 있는 위치를 걸음의 수로 기록해 두었다. 이 마애석에 기록을 남긴 사람은 첫째 손자인 인식仁植과 둘째 손자인 인곤仁坤이며 지금으로부터 130년 전 1890년에 이 선산 표시석인..

성주사의 금석문-어수각 주변의 마애비군

어린시절 성주사 곰절은 내가 노는 놀이터처럼 다녔던 곳이다. 초등학교 때 봄·가을 모든 소풍은 오로지 성주사 곰절로 12번을 갔고 중학교 때에도 5번 소풍을 간 장소이다. 당시의 모습과 지금의 절 모습은 천지개벽天地開闢을 했다고 할 정도로 달라졌지만 이곳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당시에도 절 입구의 커다란 돌들에는 금석문들이 새겨져 있었지만 한자漢字인 관계로 읽으려고도 하지 않았고 누가 가르쳐 주지도 않아 세월이 지난 지금에서야 겨우 읽어 보는 수준이다. ‘어수각御水閣’이라는 글귀가 새겨진 금석문은 지금의 위치에 있지 않았지만 출입구의 변경으로 지금의 위치에 옮겨 두었다. 그리고 그 옆으로 바위에 새긴 글자들은 예전 그대로이다. 성주사 곰절 주위에는 이러한 금석문이 조금 더 남아 있..

김해 대동면 진주강씨 3인 효열비 孝烈碑

2020.3.8.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에서 원지마을로 가는 도로 모습   2020.3.8.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 진주강씨 비각 모습 대동면 초정리 산 30(대동로 555)은 초정리草亭里에서 원지院址마을로 가는 길 좌측에 위치하며 진주강씨 3인의 효렬비孝烈碑 3기가 하나의 담장 안에 서로 마주하며 있다. 위치기반고도계는 해발 13m이고 「위도 35°14'39"N 경도 128°58'30"E」를 가러킨다.이 3기의 비석은 진주강씨 박사공파 통정공通亭公 강회백姜淮伯 후손들의 충훈과 효자의 비석으로 비 제목들은 정면의 비는 『충훈진주강공지비忠勳晋州姜公之碑』 좌측의 비는 『효자가선대부진주강공지비孝子嘉善大夫晋州姜公之碑』 우측의 비는 『효자통덕랑진주강공지려孝子通德郞晋州姜公之閭』이다. 가선대부 강득대와 통덕랑 강성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