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 1263

진전면 이명리 한경유 기리는 효자한공기실비 孝子韓公紀實碑

2019.10.30 진전면 이명리 효자한공기실비(孝子韓公紀實碑) 진전면 이명리 626-1번지에는 청주한씨 문경공(文敬公) 한경유(韓敬維)의 효행을 기리는 효자한공기실비(孝子韓公紀實碑)가 있다. 불과 20m 뒤에는 청주한씨 이명리 입향조 한희로(韓希老)를 기리는 운계정(雲溪亭)이 있다. 아버지 ..

대마도 수선사의 최익현 선생 순국비

대마도 여행 2일째 한·일 양국 유지들이 구국항일투쟁의 상징인 최익현 선생의 넋을 기리고자 1986년 세운 순국비가 있다는 슈젠지(修善寺) 입구에 와서 대문이 열릴 때까지 계단에 앉아 기다리고 있었다.최익현 선생은 대마도(對馬島)에서 죽음을 맞이했다. 1907년 1월 4일 이곳 수선사(修善寺)에서 장례를 치르고 부산항으로 이송됐다. 이틀 후 부산 초량에 닿았는데 이 소식을 들은 많은 유림과 신민들은 눈물을 머금고 맞이하였으며 영구(靈柩)를 붙들고 통곡했다. 상여가 마련되어 정산(定山)본가로 운구하였는데 울부짖는 민중들 때문에 하루 10리 밖에 운구하지 못하였다. 영구는 15일 만에 정산에 도착하여 그해 음력 4월 1일에 논산시 노성면 무등산(無等山)에 안장되었다.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

창원읍성에서 가는 나루터 주물연진 主勿淵津

2017.2.27. 임해진 나루에서 본 주물연진 공관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산천조(山川條)〗에는 『주물연진(主勿淵津)』에 대해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주물연진(主勿淵津)은 부(府) 북쪽 40리 지점에 있으며 칠원현(漆原縣) 매포(買浦) 하류이다. 언덕 위에 작은 소공관(小公館)을 개설하여 배를 타고 왕래하는 왜국(倭國) 사신을 접대한다. 【在府北四十里漆原縣買浦下流岸上設小公館以待倭使之乘舩往來】고 기록했다. 2019.5.10. 동정동 천주산 입구 장붕익 선정비 주물연진(主勿淵津)은 창원도호부에서 관찰사가 있는 대구 경상감영으로 가는 도로를 잇는 포구(浦口) 중 하나로 창원도호부에서 출발하여 굴현(堀峴)고개로 향하다 보면 “하늘이 무너지지 않도록 받치고 있다.”는 천주산(天柱山) 입구에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