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기록들/향교와 뿌리 73

김해향교에서 무너진 우리 정신을 생각한다.

김해향교.hwp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7호인 김해향교(金海鄕校)는 김해시 호계로543번길 20-5(대성동 224)에 위치한다. 김해향교가 있는 이곳의 지명은 조선시대에는 교동(校洞)이었으나, 1947년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대성정(大成町)으로 개명을 하여 지금은 대성동(大成洞)이라 불린다. 서울에 성균관이 있는 마을 지명은 명륜동으로 성균관의 교육공간인 명륜당(明倫堂)에서 이름이 유래한 것처럼 지방에는 학교를 뜻하는 교동이 있는 곳엔 분명 향교(鄕校)가 있다. 대성전은 五聖(공자ㆍ자사ㆍ증자ㆍ맹자ㆍ안자), 공문십철(孔門十哲), 송조6현(宋朝六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는 제사 공간이다. 일제가 김해의 교동을 대성정(大成町)으로 지명을 바꾼 것은 직접 교육을 통해 정신이 계승 되..

초·중·고 학생 인성교육 실시한 경남유도회 창원지부

경남유도회 창원지부에서는 학생들의 겨울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본생활습관 및 공동체 의식배양을 위한 충·효·예에 입각한 인성교육을 실시했다. 성적 위주의 경쟁교육은 개인의 이기적 사고가 우선 시 되면서 우리 전통문화의 하나인 이웃과 함께하는 공동체가 무너지고 학교폭력이 난무하는 사회적 문제로까지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경남유도회 창원지부에서는 이웃을 배려하고, 어른을 공경하며, 부모에게 효도하는 올바른 인성을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내용으로 학생들에게 예의범절을 가르쳤다. 이번 사업에 네 곳의 초등학교에서 199명이 참석했고, 2곳의 중학교에서 477명, 고등학교 2곳에서 140명이 경남유도회 창원지부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했다. 그러나 각 학교별 보..

경상남도향교재단 韓基仁 이사장 창원향교 固有禮

2014년 1월 8일 경상남도향교재단 한기인 이사장은 진눈깨비가 내리며 일기가 고르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창원향교 대성전에서 固有禮를 올렸다. 한기인 이사장은 경남유도회부회장을 역임했고, 진주향교 전교를 지냈으며, 성균관중앙상무위원으로 활동을 해오다가 경상남도향교재단 이사장에 선임되어 직무를 수행하기 전 창원향교에서 고유의례를 올리고 경상남도향교재단 이사장의 업무를 수행하였다. 이날 창원향교 전교 및 유도회회장 등 창원향교 유림들이 참석한 가운데 한기인(72) 이사장은 “앞으로 향교가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그때그때 일을 처리하는 방식이 아니라 미리계획을 세우고 계획 된 대로 하나씩 일을 풀어가는 방식을 취했으면 좋겠다.”는 뜻을 밝혔다.

창원향교 장의 2014년 봉심

2014년 첫날 창원향교 전교를 비롯해 6부 장의와 간부 등 52명의 장의들이 청말 해의 힘찬 기운을 받아 창원향교 대성전에서 삭월례를 올렸다. 창원향교 김주원 전교는 “올해는 창원향교가 보다 역동적이고 활발한 모습으로 바뀌기 위해 장의들의 역할이 적극적이어야 하며, 타 향교와 활발한 교류를 통해 좋은 장점들을 받아드릴 것입니다.”고 하였다. 또한 향교의례 및 釋奠大祭笏記에 대한 교육과 함께 홀기의 부분 수정을 위한 토론을 가졌고, 수정된 홀기에 의한 석전대제를 지내기로 결의 하였다. 초헌관이 대성전에 點燭을 할 때 동서무의 분헌관들도 각각 동서무에 함께 입장하여 점촉을 하고 종헌관이 의례를 할 때 분헌관들도 함께 의례를 하여 대성전에서 의례가 끝남과 동시에 동서무도 의례가 끝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제1회 창원정충문화대제전 봉행

丙子胡亂(인조 14년, 1636)의 치욕에도 불구하고 의연히 殉節한 精忠報國의 龜鑑이 된 창원 諸 將兵 追慕行事가 ‘제1회 창원정충문화대제전’이란 이름으로 10월 26일 창원용지문화공원 野外舞臺에서 奉行되었다. 이날 행사는 (사)정충문화진흥회가 주최를 하였고 제례는 昌原鄕校에서 진행하였다. 초헌관은 昌原市長 朴完洙, 아헌관에는 39師團119聯隊長 大領 孔天熙, 종헌관은 昌原市議會 議長 裵鍾天이 맡았으며, 集禮에는 창원향교 典校 金柱元, 贊唱은 창원향교 副典校 金判守, 祝에는 儒道會昌原支部長 金赫來가 각각 맡아 祭禮를 이끌었다. 누루하치가 만주 지방의 여진 부족을 통합한 후 후금을 세웠으며, 이를 이어받은 태종 홍타이지는 국호를 淸으로 고치고 스스로 皇帝라 稱하며, 朝鮮과는 지위를 君臣關係로 조정한 다음 ..

창원 회원서원 享禮奉行

昌原 檜原書院은 文穆公寒岡鄭逑先生(1534~1620)과 文正公眉叟許穆先生(1595~1682)의 도덕과 학행을 추모하기 위해 1642년(인조 12)에 創建하여 두 분의 位牌를 모신 곳으로 매년 음력 9월 中丁日에 지방 儒林들이 享禮를 奉行한다. 음력 2013년 9월 14일에 初獻官은 會原區廳長 金興洙, 아헌관은 儒道會昌原支部內西支會長 徐長洙, 종헌관은 金鍾澤이 각각 맡아 50여명의 유림이 모인 가운데 享禮를 올렸다. 檜原書院 孔守一 院長은 相見禮에서 “김흥수 구청장이 초헌관이 되어 향례를 봉행하고 儒林의 道理를 살펴주시니 원장으로 마음이 뿌듯합니다.”라고 하였고, 金興洙 區廳長은 “어르신들이 이렇게 불러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모르는 것은 배우며 마음에 담겠습니다.”고 하였다.

成均館 儒道會 昌原支部會長에 金赫來(김혁래)씨 당선

成均館 儒道會 昌原支部 選擧管理 委員會는 2013년 7월 20일(토요일) 10시에 昌原鄕校 儒林會館3층 강당에서 成均館 儒道會 昌原支部會長의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운영위원 임시총회를 개최하여 선거관리규정 제13조에 의거 昌原支部會長을 선출을 하였다. 유권자인 운영위원의 총수는 98명인데 이중 11명은 기권하고 지정된 기표방법 외 날인과 2번 날인된 투표지 21표는 무효처리 하고, 유효표 66표로 당선자를 가린 결과 金赫來(김혁래,72세) 후보가 당선증 교부를 받았다. 또한 副會長에는 宋晋哲(송진철,73세)씨가 監察에는 曺永茂(조영무,71세)씨와 남상순씨가 운영위원 승인을 받아 당선되었다. 金赫來씨는 출마의 변에서 “아직 부족한 점이 많지만 그동안 배우고 익힌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熱과 誠을 다하여 유도회..

창원시 2013년 제41회 성년의 날 기념식

만 스무 살 된 젊은이들에게 성년이 되는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 거행되는 의식인 전통 성년식이 5월 20일 성년의 날을 맞이하여 창원문성대학 9호관에서 창원향교와 창원문성대학이 주관하고 창원시가 주최하는 행사가 올해 성년이 되는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인간의 일생에서 중요한 네가지 관문인 관혼상제(冠婚喪祭) 중에 관례(冠禮)와 계례(笄禮)는 삼한시대 이전부터 조선초까지 이어져 나려왔으나 최근에 자취를 감추었다. 1999년 문화관광부가 개발하여 시행하는 표준 성년식은 참가자가 전통관례복장을 하고 의식을 주관하는 어른인 ‘큰손님’을 모시고, ‘큰손님’의 교훈말씀인 ‘삼가례’ 즉 머리를 빗겨 주고 관자(冠者)에게는 건을, 계자(笄者)에게는 비녀를 꽂아 주는 의식인 가관례, 그리고 성년에 이른 청소년..

창원향교 2013년 춘기 석전대제 봉행

공기 2564년 창원향교 춘기(春期) 석전대제(釋奠大祭)가 지난 11일 오전 지방의원과 기관단체장, 창원시공무원, 지역유림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성전에서 봉행됐다. 이날 석전대제에는 김주원(金株元) 전교가 초헌관을 맡았고 아헌관은 박태우(朴泰佑) 창원교육지청 교육장이, 종헌관은 노승팔(盧承八) 유림이 맡아 제례를 진행했다. 또한 동·서무의 성현에 분향(焚香)하는 분헌관(分獻官)에는 노승영(盧承榮), 정병호(鄭秉鎬), 이석문(李石文), 박정건(朴鼎建)이 봉행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85호인 석전대제는 예(禮)와 덕(德)을 중요시하는 공자를 모시는 사당인 문묘(文廟)에서 봄·가을 두 차례 지내는 제례이며 공자와 옛 성인들의 학덕을 추모하는 정형화된 의식을 말한다. 김주원 전교는 “이번 춘기 석전대제..

2013년 창원향교 기로연 봉행

2013년 3월 27일 기로연(耆老宴) 행사(行事)가 창원향교강당(昌原鄕校講堂)에서 있었다. 기로연은 “조선 중기 이후부터는 정경(正卿)으로서 70세 이상 되는 문신(文臣)으로 국한하였다. 그러나 태조 이후 두 번째로 기로소에 들어간 숙종 때에 와서 나이가 많은 일반 백성들도 참여한 경우가 있었다. 임금 중 세 번째로 기로소에 들어간 영조는 이를 기념하기 위해 영조 20년(1744) 10월 7일에 숭정전(崇政殿)에서 진연(進宴)을 열었는데, 70세 이상의 관원을 모두 참석시켰다. 또 영조 때에도 나이가 많은 일반 백성들이 참여한 기록이 자주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때에 이러한 관행이 일반화한 것 같다.”고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이 전하는 것처럼 70세 이상의 창원향교(昌原鄕校) 유림(儒林)들과 초청되신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