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기록/비판.정려각.마애비 201

웅천 북부동 비석군 – 현감 서명빈 사적비

옛 국도 2호선변(웅천로)인 진해구 북부동 595-1에는 11기의 비석군이 도로를 따라 일렬로 서있다. 비석군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좌측에서 일곱 번째 비석은 螭首(이수 : 용이나 교룡이 있는 것) 모양이며 재질은 사암을 다듬어 세웠다. 이수의 높이는 60cm, 폭 73cm, 두께 96cm이고, 비신의 높이는 167cm, 폭 68.5cm,, 두께 16.5cm이다.      비의 전면에는 가로로 嘉善大夫行縣監徐公事蹟碑(가선대부행현감서공사적비)라 새기고 사적의 내용은 세로로 음각했다.   가선대부 전 현감 서명빈 사적비공의 이름은 명빈이고 자는 질보, 본관은 달성이니 서울 사람이다. 여러 대에 걸쳐 관계에 진출하였으나 청렴결백함을 가문의 전통으로 이어왔는데 공은 어려서부터 이러한 가문의 가르침을 받아 일찍이 ..

웅천 북부동 비석군 – 현감 최덕중 청덕선정비

<2016.11.9. 현감 최덕중 청덕선정비> 옛 국도 2호선변(웅천로)인 진해구 북부동 595-1에는 11기의 비석군이 도로를 따라 일렬로 서있다. 비석군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좌측에서 다섯 번째 비석은 螭首(이수 : 용이나 교룡이 있는 것)와 비신을 사암을 다듬어 세웠다. 이수의 높이는 45cm, ..

진해구 웅천 북부동 비석군 – 웅천면장 양제환 송덕기념비

<2016.11.9. 진해구 북부동 웅천면장 양제환 송덕기념비> 옛 국도 2호선변(웅천로)인 진해구 북부동 595-1에는 11기의 비석군이 도로를 따라 일렬로 서있다. 비석군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좌측에서 네 번째 비석은 圭首(규수 : 모서리에 각이 있는 것) 형태의 비신을 다듬었다. 비석의 내용..

진해구 웅천 북부동 비석군 – 현감 엄종남 시혜비

<2016.11.9. 진해구 북부동 현감 엄종남 시혜비> 옛 국도 2호선변(웅천로)인 진해구 북부동 595-1에는 11기의 비석군이 도로를 따라 일렬로 서있다. 비석군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좌측에서 세 번째 비석은 한 몸의 화강석에 荷葉(하엽 : 비석의 상부에 연꽃 모양과 寶珠(보주)가 있는 것)의 ..

진해구 웅천 북부동 비석군 – 현감 남궁 욱 청덕비

<2016.11.9. 진해구 북부동 현감 남궁 욱 청덕비> 옛 국도 2호선변(웅천로)인 진해구 북부동 595-1에는 11기의 비석군이 도로를 따라 일렬로 서있다. 비석군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좌측에서 두 번째 비석은 한 몸의 화강석에 荷葉(하엽 : 비석의 상부에 연꽃 모양과 寶珠(보주)가 있는 것)의 ..

진해구 원포동 권신민 유허비

진해구 원포동 산 33-1번지는 큰발티(大峙; 大發嶺)라 부르는 ‘대발령제1쉼터 만남의 광장’ 뒤편에 위치한다. 이곳 큰발티는 국도2호를 따라 웅천으로 오고 가는 고개로 장천동 동북쪽에 있는 해발 110m의 큰 고개이다. 院浦洞(원포동)은 부산에 있던 ‘STX 조선 주식회사’가 이전해 오면서 본 마을 주민이 모두 이주하여 민가가 없어졌지만 조선시대 국립 여관격인 八峴院(팔현원)이 있어 원개(院浦)라 불렀다.    碑座直首(비좌직수)형 비는 전면이 동쪽을 향하고 있으며 ‘行嘉善大夫安東權公信敏遺墟碑(행가선대부안동권공신민유허비)’라 새겼고, 뒷면에는 비 내력을 적었다. 비의 높이는 167cm, 폭 56cm, 두께 9cm이고, 상단의 비좌는 높이 17cm, 폭 76cm, 두께 55cm이다.   비문의 내용은 아..

진해구 웅동1동주민센터 앞 이봉하 행적 기념비

<2016.12.05. 마천동 웅동1동주민센터 앞 이봉하 행적 기념비갈> ‘李鳳夏行績紀念碑(이봉하행적기념비)’는 자연석에 이봉하의 행적을 적은 비갈로 마천동 웅동1동주민센터 앞에 건립한 높이 96cm, 폭 40cm, 두께 43cm인 기념비이다. 李鳳夏(이봉하 : 1926. 1. 14)는 진해경찰서 수사과장, 창녕..